윤 대통령 “순방 통해 일자리 창출…공직자들, 현장 절규에 응답해야”

입력 2023.10.30 (10:49) 수정 2023.10.30 (10: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우리 기업을 위한 약 107조 원 규모의 ‘거대한 운동장’이 중동 지역에 만들어졌다”고, 앞선 중동 순방 성과를 설명했습니다.

대통령실 참모들을 비롯한 각 부처 고위 공무원들에게 ‘민생 현장으로 나가 목소리를 들으라’고 재차 당부하기도 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오늘(30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지난주 사우디아라비아·카타르 순방 결과와, 공직자들의 민생현장 소통, 국민연금 개혁에 대한 입장 등을 직접 밝혔습니다.

■ “‘경제 운동장’ 넓히고 일자리 창출”

윤석열 대통령은 우선 “올해 초 UAE(아랍에미리트) 국빈 방문에 이어 ‘중동 BIG 3’ 국가와의 정상외교를 완성했다”고, 지난주 사우디·카타르 국빈 방문 결과를 평가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사우디와 카타르에서 총 202억 불 규모, 63개 MOU(양해각서)와 계약을 체결했다”면서, 지난해 사우디 빈 살만 왕세자 방한 때 체결한 290억 불 MOU와, 올해 UAE 국빈 방문 때 발표된 300억 불 투자 약속까지 합하면 792억 불 규모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이런 대규모 수출과 수주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통해 경제와 민생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와 함께 사우디와 530만 배럴의 원유 공동비축 계약을 체결해, 국제 원유 수급 위기가 발생해도 우리가 비축 원유 우선 구매권을 가진다면서 “이번 순방을 통해 에너지 안보를 단단히 다졌다”고 말했습니다.

또 사우디와 수소 산업 MOU를 체결해 “수소의 생산과 유통, 그 활용 등 수소 생태계 전반에 걸친 협력의 발판을 마련했다”, “UAE를 포함한 중동 파트너국들과 원전 협력을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며, 중동 국가들의 ‘그린 산업’ 전환에 협력 기반을 마련했다고 밝혔습니다.

기존의 건설 분야에서, 첨단 제조업과 바이오, 의료, 스마트팜, 디지털, 신재생 무탄소 에너지, 초대형 인프라 사업 참여까지, 중동 국가들과의 경제 협력 지평을 넓히고자 한다고도 했습니다.

중동 국가들과 중장기적인 국방·방위산업 협력의 기반도 닦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대외의존도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우리나라는 기업이 뛸 수 있는 ‘경제 운동장’을 확장하면서, 5천만의 시장에서 5억, 50억의 시장으로 시장을 넓혀 성장동력을 찾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관계 부처들은 경제외교와 글로벌 시장 개척이 일자리 창출과 민생에 직결된다는 점을 명심하고, 정부와 경제사절단이 ‘원팀 코리아’로 만들어낸 성과를 꼼꼼하게 챙기고 후속조치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 “민간에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해야”

윤석열 대통령은 이 같은 정상외교 성과를 바탕으로 우리 기업이 국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우리 법과 제도를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하도록 맞춰나가야 한다”고도 주문했습니다.

이를 통해 일자리가 창출된다면서, “이 일자리는 국민의 혈세로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민간 주도의 시장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전 정부 시기 막대한 국민 혈세를 투입했음에도 5년간 취업자 수 증가 폭이 21만 3천 명이었는데 비해, 우리 정부는 1년 6개월 만에 민간 주도로 52만 6천 명의 신규 취업자가 증가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일자리의 질도 개선되고 있다. 이전 정부 대비 비정규직의 규모와 비중이 모두 감소하고, 근로 여건도 개선됐다”면서 “파탄 난 재정과 무너진 시장경제 회복을 위해 국민, 기업, 정부가 함께 노력한 결과”라고 자평했습니다.

■ “현장 절규에 신속하게 응답하는 게 최우선”

윤석열 대통령은 ‘현장에 나가 국민 목소리를 들으라’고 대통령실 참모들과 내각에 재차 지시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지난주 대통령실 참모들이 36곳의 민생 현장을 찾아 국민들의 절박한 목소리를 생생하게 듣고 왔다면서, “지금 당장 눈앞에서 도움을 기다리는 국민의 외침, 현장의 절규에 신속하게 응답하는 것보다 더 우선적인 일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저도 지금보다 더 민생 현장을 파고들 것이고, 대통령실에서 직접 청취한 현장의 절규를 신속하게 해결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대통령실의 현장 방문을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국민과 소통하는 시스템으로 정착시킬 것”이라며, 부처 고위 당국자들도 현장을 직접 찾아 ‘살아있는 정책’을 만들라고 당부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번 정기국회에서 입법을 기다리는 민생 관련 법안들이 많다면서, 다수를 대상으로 한 범죄의 피해액을 합산해 가중 처벌하는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의 개정, 중소기업 기술 탈취에 현재 3배 이내로 규정된 징벌적 손해배상을 5배까지 강화하는 ‘상생협력법’ 개정을 국회에 요청하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윤 대통령 “순방 통해 일자리 창출…공직자들, 현장 절규에 응답해야”
    • 입력 2023-10-30 10:49:32
    • 수정2023-10-30 10:51:44
    정치
윤석열 대통령이 “우리 기업을 위한 약 107조 원 규모의 ‘거대한 운동장’이 중동 지역에 만들어졌다”고, 앞선 중동 순방 성과를 설명했습니다.

대통령실 참모들을 비롯한 각 부처 고위 공무원들에게 ‘민생 현장으로 나가 목소리를 들으라’고 재차 당부하기도 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오늘(30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지난주 사우디아라비아·카타르 순방 결과와, 공직자들의 민생현장 소통, 국민연금 개혁에 대한 입장 등을 직접 밝혔습니다.

■ “‘경제 운동장’ 넓히고 일자리 창출”

윤석열 대통령은 우선 “올해 초 UAE(아랍에미리트) 국빈 방문에 이어 ‘중동 BIG 3’ 국가와의 정상외교를 완성했다”고, 지난주 사우디·카타르 국빈 방문 결과를 평가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사우디와 카타르에서 총 202억 불 규모, 63개 MOU(양해각서)와 계약을 체결했다”면서, 지난해 사우디 빈 살만 왕세자 방한 때 체결한 290억 불 MOU와, 올해 UAE 국빈 방문 때 발표된 300억 불 투자 약속까지 합하면 792억 불 규모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이런 대규모 수출과 수주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통해 경제와 민생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와 함께 사우디와 530만 배럴의 원유 공동비축 계약을 체결해, 국제 원유 수급 위기가 발생해도 우리가 비축 원유 우선 구매권을 가진다면서 “이번 순방을 통해 에너지 안보를 단단히 다졌다”고 말했습니다.

또 사우디와 수소 산업 MOU를 체결해 “수소의 생산과 유통, 그 활용 등 수소 생태계 전반에 걸친 협력의 발판을 마련했다”, “UAE를 포함한 중동 파트너국들과 원전 협력을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며, 중동 국가들의 ‘그린 산업’ 전환에 협력 기반을 마련했다고 밝혔습니다.

기존의 건설 분야에서, 첨단 제조업과 바이오, 의료, 스마트팜, 디지털, 신재생 무탄소 에너지, 초대형 인프라 사업 참여까지, 중동 국가들과의 경제 협력 지평을 넓히고자 한다고도 했습니다.

중동 국가들과 중장기적인 국방·방위산업 협력의 기반도 닦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대외의존도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우리나라는 기업이 뛸 수 있는 ‘경제 운동장’을 확장하면서, 5천만의 시장에서 5억, 50억의 시장으로 시장을 넓혀 성장동력을 찾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관계 부처들은 경제외교와 글로벌 시장 개척이 일자리 창출과 민생에 직결된다는 점을 명심하고, 정부와 경제사절단이 ‘원팀 코리아’로 만들어낸 성과를 꼼꼼하게 챙기고 후속조치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 “민간에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해야”

윤석열 대통령은 이 같은 정상외교 성과를 바탕으로 우리 기업이 국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우리 법과 제도를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하도록 맞춰나가야 한다”고도 주문했습니다.

이를 통해 일자리가 창출된다면서, “이 일자리는 국민의 혈세로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민간 주도의 시장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전 정부 시기 막대한 국민 혈세를 투입했음에도 5년간 취업자 수 증가 폭이 21만 3천 명이었는데 비해, 우리 정부는 1년 6개월 만에 민간 주도로 52만 6천 명의 신규 취업자가 증가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일자리의 질도 개선되고 있다. 이전 정부 대비 비정규직의 규모와 비중이 모두 감소하고, 근로 여건도 개선됐다”면서 “파탄 난 재정과 무너진 시장경제 회복을 위해 국민, 기업, 정부가 함께 노력한 결과”라고 자평했습니다.

■ “현장 절규에 신속하게 응답하는 게 최우선”

윤석열 대통령은 ‘현장에 나가 국민 목소리를 들으라’고 대통령실 참모들과 내각에 재차 지시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지난주 대통령실 참모들이 36곳의 민생 현장을 찾아 국민들의 절박한 목소리를 생생하게 듣고 왔다면서, “지금 당장 눈앞에서 도움을 기다리는 국민의 외침, 현장의 절규에 신속하게 응답하는 것보다 더 우선적인 일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저도 지금보다 더 민생 현장을 파고들 것이고, 대통령실에서 직접 청취한 현장의 절규를 신속하게 해결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대통령실의 현장 방문을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국민과 소통하는 시스템으로 정착시킬 것”이라며, 부처 고위 당국자들도 현장을 직접 찾아 ‘살아있는 정책’을 만들라고 당부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번 정기국회에서 입법을 기다리는 민생 관련 법안들이 많다면서, 다수를 대상으로 한 범죄의 피해액을 합산해 가중 처벌하는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의 개정, 중소기업 기술 탈취에 현재 3배 이내로 규정된 징벌적 손해배상을 5배까지 강화하는 ‘상생협력법’ 개정을 국회에 요청하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