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찾는 이태원 유가족…여야는 해법 두고 네 탓 공방

입력 2023.10.30 (19:25) 수정 2023.10.30 (20: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어제 서울광장에서 열린 시민추모식 행사에 이어 오늘은 국회에서 이태원 참사를 추모하는 행사가 열렸습니다.

여야는 한목소리로 추모의 뜻을 밝히면서도 이태원 특별법 처리 등 후속조치에 대해선 다른 입장을 보였습니다.

보도에 정재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태원 참사 1주기였던 어제, 서울광장에서 열린 시민 추모대회에 참석했던 희생자 유가족.

오늘 오후엔 국회에서 열린 추모제를 찾았습니다.

[이탄희/국회 생명안전포럼 책임연구의원 : "유가족과 생존피해자 여러분께 고개 숙여 인사드립니다. 그리움과 황망함, 그리고 비통함 속에 1년이란 시간이 얼마나 길게 느껴지셨을지…."]

여야 원내대표가 모두 참석해 한목소리로 추모의 뜻을 밝혔습니다.

다만 재발 방지 대책 등을 두고는 서로 입장이 엇갈렸습니다.

국민의힘은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면서도 국회에서 재난안전법 처리가 미진했던 점을 지적하며 소모적인 논쟁보다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김기현/국민의힘 대표 : "참사를 정쟁에 이용할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면 이렇게 오랜 시간 이 법안의 처리가 미뤄질 이유가 없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참사 1년이 다 되도록 진상규명과 책임자처벌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며 여당에 이태원 참사 특별법을 합의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홍익표/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인요한 혁신위원장이 밝힌 추모의 뜻이 진심이라면 이태원 참사 특별법 합의 처리를 제1의 혁신 조치로 실천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태원 참사 특별법은 진상규명을 위한 독립적인 특조위 구성과 필요시 특검 요청 등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야 4당 주도로 국회 신속처리안건으로 지정된 뒤 지난 8월 소관 상임위 문턱을 넘어 현재 국회 법사위에 계류 중입니다.

KBS 뉴스 정재우입니다.

촬영기자:윤대민·박장빈/영상편집:김유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회 찾는 이태원 유가족…여야는 해법 두고 네 탓 공방
    • 입력 2023-10-30 19:25:47
    • 수정2023-10-30 20:02:09
    뉴스7(제주)
[앵커]

어제 서울광장에서 열린 시민추모식 행사에 이어 오늘은 국회에서 이태원 참사를 추모하는 행사가 열렸습니다.

여야는 한목소리로 추모의 뜻을 밝히면서도 이태원 특별법 처리 등 후속조치에 대해선 다른 입장을 보였습니다.

보도에 정재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태원 참사 1주기였던 어제, 서울광장에서 열린 시민 추모대회에 참석했던 희생자 유가족.

오늘 오후엔 국회에서 열린 추모제를 찾았습니다.

[이탄희/국회 생명안전포럼 책임연구의원 : "유가족과 생존피해자 여러분께 고개 숙여 인사드립니다. 그리움과 황망함, 그리고 비통함 속에 1년이란 시간이 얼마나 길게 느껴지셨을지…."]

여야 원내대표가 모두 참석해 한목소리로 추모의 뜻을 밝혔습니다.

다만 재발 방지 대책 등을 두고는 서로 입장이 엇갈렸습니다.

국민의힘은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면서도 국회에서 재난안전법 처리가 미진했던 점을 지적하며 소모적인 논쟁보다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김기현/국민의힘 대표 : "참사를 정쟁에 이용할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면 이렇게 오랜 시간 이 법안의 처리가 미뤄질 이유가 없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참사 1년이 다 되도록 진상규명과 책임자처벌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며 여당에 이태원 참사 특별법을 합의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홍익표/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인요한 혁신위원장이 밝힌 추모의 뜻이 진심이라면 이태원 참사 특별법 합의 처리를 제1의 혁신 조치로 실천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태원 참사 특별법은 진상규명을 위한 독립적인 특조위 구성과 필요시 특검 요청 등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야 4당 주도로 국회 신속처리안건으로 지정된 뒤 지난 8월 소관 상임위 문턱을 넘어 현재 국회 법사위에 계류 중입니다.

KBS 뉴스 정재우입니다.

촬영기자:윤대민·박장빈/영상편집:김유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제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KBS는 올바른 여론 형성을 위해 자유로운 댓글 작성을 지지합니다.
다만 해당 기사는 댓글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자체 논의를 거쳐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