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원, 국민의힘 최고위원직 사퇴…당원권 정지 징계 5개월여만

입력 2023.10.31 (15:03) 수정 2023.10.31 (15: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각종 설화 논란으로 국민의힘 윤리위원회에서 당원권 1년 징계를 받은 김재원 최고위원이 최근 최고위원직에서 자진해서 사퇴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당 지도부 관계자는 오늘(31일) KBS와 통화에서 "김 최고위원이 어제 최고위원직 사퇴서를 제출했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5월 10일 국민의힘 윤리위가 당원권 정지 1년의 징계 결정을 내린 지 5개월여 만입니다.

당시 각종 설화 논란으로 윤리위 징계 대상에 함께 오른 태영호 전 최고위원은 징계 심사 하루 전날 자진 사퇴해 당원권 3개월 정지 처분을 받았으나, 김 최고위원은 사퇴하지 않았습니다.

김 최고위원은 지난 3월 전당대회를 전후로 '5·18 민주화 운동 정신을 헌법 전문에 넣겠다는 윤석열 대통령 후보 발언은 선거 때 표를 얻으려고 한 것', '전광훈 목사가 우파 진영을 천하 통일했다', '제주 4·3은 격이 낮은 기념일'이라는 발언을 해 징계 대상에 올랐습니다.

김 최고위원의 자진사퇴는 인요한 위원장이 이끄는 당 혁신위원회가 최근 '1호 안건'으로 당 화합 차원에서 당내 인사들에 대한 '대사면'을 꺼낸 것을 염두에 둔 결정으로 보입니다.

최고위원직 사퇴로 '반성'의 뜻을 재차 밝히면서 징계 해제 부담을 덜어주려 한 것 아니냐는 해석입니다.

당원권 1년 정지 처분을 받았던 김 최고위원은 사실상 내년 4월 총선 공천을 받지 못할 처지에 놓였었지만, 징계가 취소되면 총선 출마 길이 열리게 됩니다.

당 지도부는 이번 주 최고위에서 혁신위 제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으로, 당내에서는 이준석 전 대표, 홍준표 대구시장, 김 최고위원 등이 징계 해제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김재원, 국민의힘 최고위원직 사퇴…당원권 정지 징계 5개월여만
    • 입력 2023-10-31 15:03:49
    • 수정2023-10-31 15:16:16
    정치
각종 설화 논란으로 국민의힘 윤리위원회에서 당원권 1년 징계를 받은 김재원 최고위원이 최근 최고위원직에서 자진해서 사퇴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당 지도부 관계자는 오늘(31일) KBS와 통화에서 "김 최고위원이 어제 최고위원직 사퇴서를 제출했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5월 10일 국민의힘 윤리위가 당원권 정지 1년의 징계 결정을 내린 지 5개월여 만입니다.

당시 각종 설화 논란으로 윤리위 징계 대상에 함께 오른 태영호 전 최고위원은 징계 심사 하루 전날 자진 사퇴해 당원권 3개월 정지 처분을 받았으나, 김 최고위원은 사퇴하지 않았습니다.

김 최고위원은 지난 3월 전당대회를 전후로 '5·18 민주화 운동 정신을 헌법 전문에 넣겠다는 윤석열 대통령 후보 발언은 선거 때 표를 얻으려고 한 것', '전광훈 목사가 우파 진영을 천하 통일했다', '제주 4·3은 격이 낮은 기념일'이라는 발언을 해 징계 대상에 올랐습니다.

김 최고위원의 자진사퇴는 인요한 위원장이 이끄는 당 혁신위원회가 최근 '1호 안건'으로 당 화합 차원에서 당내 인사들에 대한 '대사면'을 꺼낸 것을 염두에 둔 결정으로 보입니다.

최고위원직 사퇴로 '반성'의 뜻을 재차 밝히면서 징계 해제 부담을 덜어주려 한 것 아니냐는 해석입니다.

당원권 1년 정지 처분을 받았던 김 최고위원은 사실상 내년 4월 총선 공천을 받지 못할 처지에 놓였었지만, 징계가 취소되면 총선 출마 길이 열리게 됩니다.

당 지도부는 이번 주 최고위에서 혁신위 제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으로, 당내에서는 이준석 전 대표, 홍준표 대구시장, 김 최고위원 등이 징계 해제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