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위성 3차 발사 사실상 연기…다음 달 발사 나서나?

입력 2023.10.31 (19:32) 수정 2023.10.31 (19: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한은 지난 8월 군사정찰위성 2차 발사 실패 직후 10월에 3차 발사를 하겠다고 공언했는데요,

10월의 마지막날인 오늘까지 별다른 동향이 포착되지 않았습니다.

스스로 공표한 시한을 지키지 못한 셈인데, 러시아와의 기술 협력이 변수가 됐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김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틀 전 위성으로 찍힌 서해위성발사장입니다.

발사대는 이동식 건물로 가려져 있고, 차량의 움직임도 보이지 않습니다.

북한은 10월 안에 3차 발사를 하겠다고 했지만, 10월의 마지막 날인 오늘까지도 별다른 동향은 포착되지 않았습니다.

[이성준/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 : "북한의 그런 발사 동향이나 준비 사항을 추적하고 있으나 시기를 저희가 예단하기는 어렵습니다."]

북한이 스스로 공표한 시한을 넘기면서까지 발사를 미룬 건 우선 기술적 결함이 예상보다 크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여기에 지난달 정상회담을 통해 약속한 러시아와의 위성 관련 기술 협력도 변수가 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한미 정보당국은 북한이 위성발사체 엔진 시험을 계속 하고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도 러시아의 기술이 제공됐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양무진/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 "러시아의 기술 제공이 반영된 시험으로 봐야 합니다. 러시아 기술 제공 이후에도 실패시 후폭풍이 더 크다는 점에 상당히 공을 들일 것으로 분석합니다."]

따라서 북한이 체면보다는 발사 성공에 방점을 찍고, 시간을 충분히 들여 발사 준비를 할 거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다만 11월 말 우리 군이 '425 사업'을 통해 개발 중인 독자 정찰위성 1호기를 발사할 예정인 만큼, 북한이 위성 경쟁에서 뒤쳐지지 않기 위해, 11월 안으로 발사 시기를 조율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영상편집:이형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 위성 3차 발사 사실상 연기…다음 달 발사 나서나?
    • 입력 2023-10-31 19:32:50
    • 수정2023-10-31 19:41:48
    뉴스 7
[앵커]

북한은 지난 8월 군사정찰위성 2차 발사 실패 직후 10월에 3차 발사를 하겠다고 공언했는데요,

10월의 마지막날인 오늘까지 별다른 동향이 포착되지 않았습니다.

스스로 공표한 시한을 지키지 못한 셈인데, 러시아와의 기술 협력이 변수가 됐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김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틀 전 위성으로 찍힌 서해위성발사장입니다.

발사대는 이동식 건물로 가려져 있고, 차량의 움직임도 보이지 않습니다.

북한은 10월 안에 3차 발사를 하겠다고 했지만, 10월의 마지막 날인 오늘까지도 별다른 동향은 포착되지 않았습니다.

[이성준/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 : "북한의 그런 발사 동향이나 준비 사항을 추적하고 있으나 시기를 저희가 예단하기는 어렵습니다."]

북한이 스스로 공표한 시한을 넘기면서까지 발사를 미룬 건 우선 기술적 결함이 예상보다 크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여기에 지난달 정상회담을 통해 약속한 러시아와의 위성 관련 기술 협력도 변수가 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한미 정보당국은 북한이 위성발사체 엔진 시험을 계속 하고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도 러시아의 기술이 제공됐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양무진/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 "러시아의 기술 제공이 반영된 시험으로 봐야 합니다. 러시아 기술 제공 이후에도 실패시 후폭풍이 더 크다는 점에 상당히 공을 들일 것으로 분석합니다."]

따라서 북한이 체면보다는 발사 성공에 방점을 찍고, 시간을 충분히 들여 발사 준비를 할 거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다만 11월 말 우리 군이 '425 사업'을 통해 개발 중인 독자 정찰위성 1호기를 발사할 예정인 만큼, 북한이 위성 경쟁에서 뒤쳐지지 않기 위해, 11월 안으로 발사 시기를 조율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영상편집:이형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