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레저체험센터 공사 또 중단…“10억 원대 대금 체불”

입력 2023.11.06 (19:05) 수정 2023.11.06 (20: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와 제주도가 서귀포를 해양레저관광 거점도시로 만들겠다며 4백억 원 규모의 해양레저체험센터를 조성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착공한지 3년째가 되도록 윤곽은 나오지 않고, 공사는 멈춰 섰습니다.

안서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제주도가 발주한 해양레저체험센터 공사 현장입니다.

2년 전 첫 삽을 뜬 이 사업은 올해 말까지 수심 15m의 다이빙풀과 서핑보드장 등을 만들기로 해 기대를 모았습니다.

국비를 포함해 사업비만 4백억 원, 하지만 현재 공정률은 토목공사 부문만 50% 수준으로 건축공사는 시작조차 못 했습니다.

자재 파동에 이어 지역 해녀와의 갈등, 법정 보호종 발견 등으로 수차례 공사를 중단했기 때문입니다.

지난 3월 겨우 재개한 공사마저 두 달 전 또다시 멈췄습니다.

장비 대여금 체불이 쌓이면서 기사들이 손을 놨기 때문입니다.

[체불 피해자/음성변조 : "돈만 주면 되는데 돈 주려고 생각을 안 해요. 이 돈을 받아야 이자도 물고 먹고 살아나가야 하는데."]

포크레인부터 바지선까지, 한 달에서 길게는 1년 가까이 기사 10여 명에게 체불 된 금액만 10억 원에 이른다고 토로합니다.

[체불 피해자/음성변조 : "참다가 참다가 도저히 재정적으로 못 참고 대출받아서 그 돈을 메꾸고 결국엔 다들 신용불량자가 돼버리고."]

건설사 측은 하도급 업체에 이미 선급금을 냈다는 입장입니다.

[원도급업체 책임자/음성변조 : "돈을 다 줬는데 (하도급 업체) 관리 부족으로 제 생각에는 그런데. 빨리 노임이라든지 장비비를 줬으면 좋겠습니다."]

하지만 하도급 업체는 공사 지연 기간에 발생한 민원 처리 비용이 크다며, 추가 정산이 필요하단 입장입니다.

[하도급업체 대표/음성변조 : "지연 또는 중지 기간에 들어간 투입 비용은 결국은 하도급 비용이 다 들어갔는데 그걸 왜 하도급에서 책임져서 해야 하는지."]

발주처인 제주도는 체불금 정리를 위해 업체들과 협의하고 있다며 최대한 빨리 조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윤일/제주도 해양산업과 주무관 : "하도급사에서는 간접비 관련 요구서를 최종적으로 제출할 계획에 있으니까 그거 들어오는 대로 저희가 신속하게 검토해서."]

제주도는 계획보다 2년 늦춰진 2025년 말쯤 센터 완공을 목표로 하지만, 이마저도 올해 말 토목 공사 시기를 놓치면 완공 시기는 더 늦춰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안서연입니다.

촬영기자:고성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해양레저체험센터 공사 또 중단…“10억 원대 대금 체불”
    • 입력 2023-11-06 19:05:48
    • 수정2023-11-06 20:14:19
    뉴스7(제주)
[앵커]

정부와 제주도가 서귀포를 해양레저관광 거점도시로 만들겠다며 4백억 원 규모의 해양레저체험센터를 조성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착공한지 3년째가 되도록 윤곽은 나오지 않고, 공사는 멈춰 섰습니다.

안서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제주도가 발주한 해양레저체험센터 공사 현장입니다.

2년 전 첫 삽을 뜬 이 사업은 올해 말까지 수심 15m의 다이빙풀과 서핑보드장 등을 만들기로 해 기대를 모았습니다.

국비를 포함해 사업비만 4백억 원, 하지만 현재 공정률은 토목공사 부문만 50% 수준으로 건축공사는 시작조차 못 했습니다.

자재 파동에 이어 지역 해녀와의 갈등, 법정 보호종 발견 등으로 수차례 공사를 중단했기 때문입니다.

지난 3월 겨우 재개한 공사마저 두 달 전 또다시 멈췄습니다.

장비 대여금 체불이 쌓이면서 기사들이 손을 놨기 때문입니다.

[체불 피해자/음성변조 : "돈만 주면 되는데 돈 주려고 생각을 안 해요. 이 돈을 받아야 이자도 물고 먹고 살아나가야 하는데."]

포크레인부터 바지선까지, 한 달에서 길게는 1년 가까이 기사 10여 명에게 체불 된 금액만 10억 원에 이른다고 토로합니다.

[체불 피해자/음성변조 : "참다가 참다가 도저히 재정적으로 못 참고 대출받아서 그 돈을 메꾸고 결국엔 다들 신용불량자가 돼버리고."]

건설사 측은 하도급 업체에 이미 선급금을 냈다는 입장입니다.

[원도급업체 책임자/음성변조 : "돈을 다 줬는데 (하도급 업체) 관리 부족으로 제 생각에는 그런데. 빨리 노임이라든지 장비비를 줬으면 좋겠습니다."]

하지만 하도급 업체는 공사 지연 기간에 발생한 민원 처리 비용이 크다며, 추가 정산이 필요하단 입장입니다.

[하도급업체 대표/음성변조 : "지연 또는 중지 기간에 들어간 투입 비용은 결국은 하도급 비용이 다 들어갔는데 그걸 왜 하도급에서 책임져서 해야 하는지."]

발주처인 제주도는 체불금 정리를 위해 업체들과 협의하고 있다며 최대한 빨리 조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윤일/제주도 해양산업과 주무관 : "하도급사에서는 간접비 관련 요구서를 최종적으로 제출할 계획에 있으니까 그거 들어오는 대로 저희가 신속하게 검토해서."]

제주도는 계획보다 2년 늦춰진 2025년 말쯤 센터 완공을 목표로 하지만, 이마저도 올해 말 토목 공사 시기를 놓치면 완공 시기는 더 늦춰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안서연입니다.

촬영기자:고성호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제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