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식당에서 플라스틱 빨대·종이컵 계속 쓴다…정책 혼선

입력 2023.11.07 (18:22) 수정 2023.11.07 (18: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태평양 한가운데 한반도 면적의 7배가 넘는 섬이 있습니다.

시민, 여권, 지폐도 있는 정식 국가지만 누구도 살 수 없고- 아마 살고 싶어 하는 사람도 없을 겁니다.

태평양 거대 쓰레기 지대.

거대한 플라스틱 쓰레기가 만든 섬이기 때문이죠.

한국에서 1년동안 쓰는 플라스틱만 컵, 몇개인지 아십니까.

33억 갭니다.

이 컵을 쌓으면 지구에서 달까지 닿습니다.

정부도 환경 보호와 자원 절약을 위해 식당이나 카페에서 일회용품을 쓰면 과태료를 매기는 조치를 지난해 11월부터 시행했는데요.

그런데 이달말 1년간 계도 기간이 끝나고 본격적인 시행을 앞두고 있었는데, 계도기간이 사실상 무기한 연장됐습니다.

환경 단체는 환경정책의 후퇴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김진호 기잡니다.

[리포트]

정부는 지난해 11월 24일부터 식당과 카페 등에서 플라스틱 빨대나 종이컵을 사용할 경우 과태료 300만원을 부과하는 정책을 발표하고 계도기간 1년을 내걸었습니다.

그런데 이달 23일 계도기간 만료를 앞두고 기존 정책을 사실상 철회했습니다.

이에 따라 식당과 카페 등 중소매장에서도 계속 1회용 종이컵과 플라스틱 빨대 등 규제 대상용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규제를 따라야 하는 소상공인의 부담이 정부가 밝힌 규제 철회 배경입니다.

다회용 컵을 설거지하거나 종이 빨대를 사는 비용이 특정 계층에 피해를 입힌다는 것입니다.

[임상준/환경부 차관 :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분들에게 지금의 이 규제로 또 하나의 무거운 짐을 지우는 것은 정부의 도리가 아닐 것입니다."]

소상공인 단체는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다만, 정부의 1회용품 정책과 환경보호 의지에 대한 신뢰성에는 상처를 입게 됐습니다.

당장 연간 300억 개 가까이 버려지는 1회용 컵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의지가 정부에 없다는 겁니다.

종이컵을 포함해 지난해 국내에서 발생한 1회용품 쓰레기는 70만 톤 수준이었습니다.

그 중 60% 이상이 음식점과 상점을 포함한 소규모 사업장에서 나왔습니다.

환경단체도 즉각 반발했습니다.

[허승은/녹색연합 녹색사회팀장 : "정책이 규제 중심으로 가야 된다라는 의견들이 모아지고 있는데 전혀 그 소리는 듣지 않고 환경부 본연의 역할을 하고 있느냐 이런 말을 할 수밖에 없죠."]

매장 내 플라스틱 컵 사용은 여전히 과태료 대상이라 현장 혼선도 예상됩니다.

환경부는 규제에 대비해 친환경 제품을 미리 구입해둔 업체와의 형평성 문제는 정부 지원 등으로 풀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진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카페·식당에서 플라스틱 빨대·종이컵 계속 쓴다…정책 혼선
    • 입력 2023-11-07 18:22:04
    • 수정2023-11-07 18:29:19
    뉴스 6
[앵커]

태평양 한가운데 한반도 면적의 7배가 넘는 섬이 있습니다.

시민, 여권, 지폐도 있는 정식 국가지만 누구도 살 수 없고- 아마 살고 싶어 하는 사람도 없을 겁니다.

태평양 거대 쓰레기 지대.

거대한 플라스틱 쓰레기가 만든 섬이기 때문이죠.

한국에서 1년동안 쓰는 플라스틱만 컵, 몇개인지 아십니까.

33억 갭니다.

이 컵을 쌓으면 지구에서 달까지 닿습니다.

정부도 환경 보호와 자원 절약을 위해 식당이나 카페에서 일회용품을 쓰면 과태료를 매기는 조치를 지난해 11월부터 시행했는데요.

그런데 이달말 1년간 계도 기간이 끝나고 본격적인 시행을 앞두고 있었는데, 계도기간이 사실상 무기한 연장됐습니다.

환경 단체는 환경정책의 후퇴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김진호 기잡니다.

[리포트]

정부는 지난해 11월 24일부터 식당과 카페 등에서 플라스틱 빨대나 종이컵을 사용할 경우 과태료 300만원을 부과하는 정책을 발표하고 계도기간 1년을 내걸었습니다.

그런데 이달 23일 계도기간 만료를 앞두고 기존 정책을 사실상 철회했습니다.

이에 따라 식당과 카페 등 중소매장에서도 계속 1회용 종이컵과 플라스틱 빨대 등 규제 대상용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규제를 따라야 하는 소상공인의 부담이 정부가 밝힌 규제 철회 배경입니다.

다회용 컵을 설거지하거나 종이 빨대를 사는 비용이 특정 계층에 피해를 입힌다는 것입니다.

[임상준/환경부 차관 :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분들에게 지금의 이 규제로 또 하나의 무거운 짐을 지우는 것은 정부의 도리가 아닐 것입니다."]

소상공인 단체는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다만, 정부의 1회용품 정책과 환경보호 의지에 대한 신뢰성에는 상처를 입게 됐습니다.

당장 연간 300억 개 가까이 버려지는 1회용 컵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의지가 정부에 없다는 겁니다.

종이컵을 포함해 지난해 국내에서 발생한 1회용품 쓰레기는 70만 톤 수준이었습니다.

그 중 60% 이상이 음식점과 상점을 포함한 소규모 사업장에서 나왔습니다.

환경단체도 즉각 반발했습니다.

[허승은/녹색연합 녹색사회팀장 : "정책이 규제 중심으로 가야 된다라는 의견들이 모아지고 있는데 전혀 그 소리는 듣지 않고 환경부 본연의 역할을 하고 있느냐 이런 말을 할 수밖에 없죠."]

매장 내 플라스틱 컵 사용은 여전히 과태료 대상이라 현장 혼선도 예상됩니다.

환경부는 규제에 대비해 친환경 제품을 미리 구입해둔 업체와의 형평성 문제는 정부 지원 등으로 풀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진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