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中 건설업 생산 10% 줄면 중간재 수출 타격…우리 GDP 0.4% ↓”

입력 2023.11.08 (12:00) 수정 2023.11.08 (12: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의 건설업 생산이 10% 감소하면 우리나라의 대(對)중국 중간재수출이 줄어들며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은 0.4% 감소한다는 국책연구원의 분석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 보고서는 또 우리나라 대중국 수출품이 중국에서 가공돼 제3국으로 재수출되는 과거의 국제분업 관계가 약화 되고 국제 중간재 시장에서도 중국과의 경쟁이 치열해졌다고 지적했습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정규철 경제전망실장은 오늘(8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중국 건설업 위축의 영향과 중장기 무역구조 변화의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먼저 보고서는 최근 중국 건설업체의 재무건전성이 악화 되면서 중국의 금융 시장은 크게 동요되지 않고 있지만, 실물투자를 위축되고 있어, 대중국 중간재 수출을 해 온 우리 경제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습니다.

보고서에서는 구체적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중국 건설업 생산이 10% 감소하는 시나리오를 설정했습니다.

중국 GDP 가운데 건설업이 직접 창출하는 부가가치 비중은 7.5%에 불과하지만, 건설업 생산 과정에 투입되는 중국의 중간재 생산이 함께 감소하면서 전체 경제에도 영향을 크게 미치게 됩니다.

이에 따라 건설업 생산이 10% 줄면 중국 GDP의 2.4%가 감소하고, 이 영향으로 우리나라의 대중국 중간재 수출도 타격을 받아 우리나라 GDP가 0.4% 정도 감소한다고 보고서는 추정했습니다.

우리나라 산업 가운데서는 건설자재 생산과 운송과 밀접한 화학산업과 광업, 해운업, 비금속광물, 금속제품 제조업에서 중국 건설업 위축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고서는 중국의 중간재 경쟁력이 높아지면서, 우리나라와 중국 간 국제분업 관계가 약화 되고 해외 중간재 시장에서의 중국과의 경쟁도 치열해지는 변화 양상이 나타난다고 지적했습니다.

중국의 노동비용 상승과 중국의 기술발전으로 과거에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품이 중국에서 가공돼 제3국으로 재수출되는 국제분업 관계는 축소되고, 중국의 내수에 의존하는 부분이 확대된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2007년에 대중국 수출 가운데 37.2%가 가공돼 제3국으로 재수출됐는데, 이 비중은 2014년에 23.6%, 지난해에는 22%로 크게 줄었습니다.

아울러 우리나라가 중간재 수출을 확대하고 있는 베트남 같은 국제 중간재 시장에서도 중국의 중간재와의 경쟁이 점차 치열해져 중국의 점유율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보고서는 이러한 현상은 중국과의 국제분업구조 변화에 대응해 수출시장의 다변화가 필요하지만, 국내 기업의 국제경쟁력 제고가 동반되지 않은 다변화는 효과적일 수 없음을 시사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뚜렷한 단기 대책을 찾기는 어렵지만, 수출과 투자시장 다변화 등을 통한 위험 분산 전략은 지속적으로 추구할 필요가 있고 중국의 수요구조가 투자에서 소비 중심으로 바뀔 것에 대비해 중국 소비시장 개척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함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장벽 완화, 노동시장 유연화, 교육제도 개편 등 우리 경제구조 개혁을 통해 경제 역동성 강화를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KDI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KDI “中 건설업 생산 10% 줄면 중간재 수출 타격…우리 GDP 0.4% ↓”
    • 입력 2023-11-08 12:00:29
    • 수정2023-11-08 12:10:03
    경제
중국의 건설업 생산이 10% 감소하면 우리나라의 대(對)중국 중간재수출이 줄어들며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은 0.4% 감소한다는 국책연구원의 분석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 보고서는 또 우리나라 대중국 수출품이 중국에서 가공돼 제3국으로 재수출되는 과거의 국제분업 관계가 약화 되고 국제 중간재 시장에서도 중국과의 경쟁이 치열해졌다고 지적했습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정규철 경제전망실장은 오늘(8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중국 건설업 위축의 영향과 중장기 무역구조 변화의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먼저 보고서는 최근 중국 건설업체의 재무건전성이 악화 되면서 중국의 금융 시장은 크게 동요되지 않고 있지만, 실물투자를 위축되고 있어, 대중국 중간재 수출을 해 온 우리 경제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습니다.

보고서에서는 구체적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중국 건설업 생산이 10% 감소하는 시나리오를 설정했습니다.

중국 GDP 가운데 건설업이 직접 창출하는 부가가치 비중은 7.5%에 불과하지만, 건설업 생산 과정에 투입되는 중국의 중간재 생산이 함께 감소하면서 전체 경제에도 영향을 크게 미치게 됩니다.

이에 따라 건설업 생산이 10% 줄면 중국 GDP의 2.4%가 감소하고, 이 영향으로 우리나라의 대중국 중간재 수출도 타격을 받아 우리나라 GDP가 0.4% 정도 감소한다고 보고서는 추정했습니다.

우리나라 산업 가운데서는 건설자재 생산과 운송과 밀접한 화학산업과 광업, 해운업, 비금속광물, 금속제품 제조업에서 중국 건설업 위축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고서는 중국의 중간재 경쟁력이 높아지면서, 우리나라와 중국 간 국제분업 관계가 약화 되고 해외 중간재 시장에서의 중국과의 경쟁도 치열해지는 변화 양상이 나타난다고 지적했습니다.

중국의 노동비용 상승과 중국의 기술발전으로 과거에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품이 중국에서 가공돼 제3국으로 재수출되는 국제분업 관계는 축소되고, 중국의 내수에 의존하는 부분이 확대된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2007년에 대중국 수출 가운데 37.2%가 가공돼 제3국으로 재수출됐는데, 이 비중은 2014년에 23.6%, 지난해에는 22%로 크게 줄었습니다.

아울러 우리나라가 중간재 수출을 확대하고 있는 베트남 같은 국제 중간재 시장에서도 중국의 중간재와의 경쟁이 점차 치열해져 중국의 점유율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보고서는 이러한 현상은 중국과의 국제분업구조 변화에 대응해 수출시장의 다변화가 필요하지만, 국내 기업의 국제경쟁력 제고가 동반되지 않은 다변화는 효과적일 수 없음을 시사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뚜렷한 단기 대책을 찾기는 어렵지만, 수출과 투자시장 다변화 등을 통한 위험 분산 전략은 지속적으로 추구할 필요가 있고 중국의 수요구조가 투자에서 소비 중심으로 바뀔 것에 대비해 중국 소비시장 개척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함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장벽 완화, 노동시장 유연화, 교육제도 개편 등 우리 경제구조 개혁을 통해 경제 역동성 강화를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KDI 제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