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환경공단이 공단 내부 인사조치와 수의계약 비위 의혹을 제기 참여자치 21일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한 것에 대해 지역 시민사회가 ‘재갈 물리기’라고 강력히 규탄했습니다.
광주시민단체협의회는 오늘(8) 오전 광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 산하 공기업이 공익적 목적으로 진행한 시민사회의 의혹 제기에 대해 고발하는 건 흔한 일이 아니다”며 “민주적이고 투명한 행정이라면 고발이 아닌 감사위원회의 감사권을 발동시켜 사실관계를 확인해야 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무분별하게 고발을 남발하는 것은 시민의 헌법적 권리를 강압을 통해 막아보겠다는 졸렬한 행동”이라며 “오히려 이렇게까지 과하게 대응하는 것 자체가 문제를 숨기기 위한 과장된 대처는 아닌지 의심하게 된다”고 비판했습니다.
앞서 참여자치21은 보도자료를 통해 “광주환경공단 신임 이사장 내정 이후 수의계약이 강요되고, 이미 맺은 계약들이 경영본부에 의해 일방적으로 뒤바뀌는 등의 일이 일어나고 있다”며 “특정감사를 진행해야 할 상황”이라고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이에 광주환경공단은 곧바로 해명자료를 통해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하고, 지난 2일 참여자치21일 허위사실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광주 시민단체 “환경공단 고발은 시민사회 재갈 물리기”
-
- 입력 2023-11-08 15:31:56

광주환경공단이 공단 내부 인사조치와 수의계약 비위 의혹을 제기 참여자치 21일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한 것에 대해 지역 시민사회가 ‘재갈 물리기’라고 강력히 규탄했습니다.
광주시민단체협의회는 오늘(8) 오전 광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 산하 공기업이 공익적 목적으로 진행한 시민사회의 의혹 제기에 대해 고발하는 건 흔한 일이 아니다”며 “민주적이고 투명한 행정이라면 고발이 아닌 감사위원회의 감사권을 발동시켜 사실관계를 확인해야 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무분별하게 고발을 남발하는 것은 시민의 헌법적 권리를 강압을 통해 막아보겠다는 졸렬한 행동”이라며 “오히려 이렇게까지 과하게 대응하는 것 자체가 문제를 숨기기 위한 과장된 대처는 아닌지 의심하게 된다”고 비판했습니다.
앞서 참여자치21은 보도자료를 통해 “광주환경공단 신임 이사장 내정 이후 수의계약이 강요되고, 이미 맺은 계약들이 경영본부에 의해 일방적으로 뒤바뀌는 등의 일이 일어나고 있다”며 “특정감사를 진행해야 할 상황”이라고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이에 광주환경공단은 곧바로 해명자료를 통해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하고, 지난 2일 참여자치21일 허위사실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습니다.
-
-
김애린 기자 thirsty@kbs.co.kr
김애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