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 일부 학살 피해자 명단 있다…학살 사실 인정해야”

입력 2023.11.09 (21:41) 수정 2023.11.09 (22: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일본 간토대지진이 일어난지 100년이 지났지만 일본 정부는 당시 조선인에 대한 학살을 여전히 부인하고 있습니다.

오늘(9일) 일본 의회에서 일본 정부가 일부 피해자의 명단을 갖고 있고 배상까지 논의한 적이 있다며 기록이 없다는 건 거짓이라는 비판이 나왔습니다.

도쿄 지종익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1923년 간토대지진 발생 당시, 일본에선 조선인이 우물에 독을 탔다는 등의 유언비어가 퍼지면서 조선인 수천 명이 학살당했습니다.

당시 백여 명이 숨진 것으로 알려진 사이타마현의 지사는 조선인 희생자를 애도했습니다.

[오노 모토히로/사이타마현 지사/9월 5일 : "유언비어로 인해 조선인 학살이 있었다는 것에 대해서는 매우 마음이 아픕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일본 정부는 학살 사실조차 인정하지 않는다는 비판이 의회에서 나왔습니다.

[후쿠시마 미즈호/일본 참의원 : "법무상! 사이타마현의 희생자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합니까?"]

[고이즈미 류지/일본 법무상 : "지방자치단체장의 개별 언동에 일일이 의견을 말하는 것은 삼가고자 합니다."]

일본 정부는 학살당한 중국인들의 피해 조사 문서도 보관하고 있습니다.

간토대지진 다음 해인 1924년, 주중국 일본공사관이 일본 외무성에 보낸 겁니다.

[일본 외무성 심의관 : "해당 복사본은 현재 외무성 외무자료관이 보관하고 있습니다."]

이후 피해 배상에 관한 일본 정부의 각의 결정, 중국과의 협의 과정까지 기록으로 남아있다고 의원은 추궁했습니다.

[후쿠시마 미즈호/일본 참의원 : "공문서가 확실히 있습니다. 기록이 있는 겁니다. 살해에 관한 기록이 있잖아요. 그런데 기록이 없다고 하는 건 거짓 아닌가요?"]

법무상은 기존 입장만 되풀이했습니다.

[고이즈미 류지/일본 법무상 : "(기록이 없다는) 관방장관의 발언은 과거의 정부의 견해를 밝힌 것입니다. 법무상으로서도 정부 견해와 동일합니다."]

일본 정부는 학살 사실을 외면하고 있지만, 학살을 뒷받침하는 근거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백 년이 지난 지금도 꾸준히 확인되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지종익입니다.

촬영:유근호/영상편집:이웅/자료조사:문종원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본 정부, 일부 학살 피해자 명단 있다…학살 사실 인정해야”
    • 입력 2023-11-09 21:41:06
    • 수정2023-11-09 22:06:13
    뉴스 9
[앵커]

일본 간토대지진이 일어난지 100년이 지났지만 일본 정부는 당시 조선인에 대한 학살을 여전히 부인하고 있습니다.

오늘(9일) 일본 의회에서 일본 정부가 일부 피해자의 명단을 갖고 있고 배상까지 논의한 적이 있다며 기록이 없다는 건 거짓이라는 비판이 나왔습니다.

도쿄 지종익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1923년 간토대지진 발생 당시, 일본에선 조선인이 우물에 독을 탔다는 등의 유언비어가 퍼지면서 조선인 수천 명이 학살당했습니다.

당시 백여 명이 숨진 것으로 알려진 사이타마현의 지사는 조선인 희생자를 애도했습니다.

[오노 모토히로/사이타마현 지사/9월 5일 : "유언비어로 인해 조선인 학살이 있었다는 것에 대해서는 매우 마음이 아픕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일본 정부는 학살 사실조차 인정하지 않는다는 비판이 의회에서 나왔습니다.

[후쿠시마 미즈호/일본 참의원 : "법무상! 사이타마현의 희생자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합니까?"]

[고이즈미 류지/일본 법무상 : "지방자치단체장의 개별 언동에 일일이 의견을 말하는 것은 삼가고자 합니다."]

일본 정부는 학살당한 중국인들의 피해 조사 문서도 보관하고 있습니다.

간토대지진 다음 해인 1924년, 주중국 일본공사관이 일본 외무성에 보낸 겁니다.

[일본 외무성 심의관 : "해당 복사본은 현재 외무성 외무자료관이 보관하고 있습니다."]

이후 피해 배상에 관한 일본 정부의 각의 결정, 중국과의 협의 과정까지 기록으로 남아있다고 의원은 추궁했습니다.

[후쿠시마 미즈호/일본 참의원 : "공문서가 확실히 있습니다. 기록이 있는 겁니다. 살해에 관한 기록이 있잖아요. 그런데 기록이 없다고 하는 건 거짓 아닌가요?"]

법무상은 기존 입장만 되풀이했습니다.

[고이즈미 류지/일본 법무상 : "(기록이 없다는) 관방장관의 발언은 과거의 정부의 견해를 밝힌 것입니다. 법무상으로서도 정부 견해와 동일합니다."]

일본 정부는 학살 사실을 외면하고 있지만, 학살을 뒷받침하는 근거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백 년이 지난 지금도 꾸준히 확인되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지종익입니다.

촬영:유근호/영상편집:이웅/자료조사:문종원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