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 부산’ 뜨거운 논쟁…자치단체별 입장은?

입력 2023.11.10 (21:37) 수정 2023.11.10 (22: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중앙 정치권에서 국민의힘이 제기한 '메가 서울' 찬반 논란이 불붙고 있는데요,

국민의힘은 한 발 더 나가, 서울과 부산, 광주를 3개 축으로 하는 메가시티로 확장하겠다는 구상을 밝혔습니다.

이렇다 보니 '메가 부산' 추진에 대한 논쟁도 뜨겁습니다.

자치단체별 입장은 어떤지, 노준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도시공학 전문가 등 16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국민의힘 뉴시티 프로젝트 특별위원회.

늦어도 다음 달까지 특별법이든 일반법이든, 즉, '메가시티' 구성과 관련한 구체적인 성과를 내놓기로 했습니다.

우선 논의 대상은 '메가 서울'과 '메가 부산' '메가 광주'입니다.

[조경태/국민의힘 뉴시티 프로젝트 특위 위원장/어제 : "부산을 비롯한 메가시티화, 광주를 비롯한 메가시티화가 되어서 자족도시로 이어지게 하고 서울, 부산, 광주가 삼각 축으로 해서 유기적인 협력 관계로…."]

반응은 즉시 나타났습니다.

부산시에 양산과 김해를 넣는 이른바, '메가 부산' 논쟁이 불붙었습니다.

인구 유출이 심각한 상황에 도시 경쟁력을 키울 '메가 부산'이 새로운 대안이라는 '찬성'.

반면 내년 총선을 겨냥한 선거용 정책일 뿐, 지역 균형 발전에 해법이 될 수 없다는 '반대'.

부산과 경남 입장은 어떨까.

먼저 부산시는 "부·울·경 특별연합 좌초 이후 경남과 행정통합을 논의 중"이라며 "지금 단계에 '메가 부산' 추진은 혼선을 주는 일"이라고 밝혔습니다.

[박형준/부산시장 : "경제동맹이라는 보다 효율적인 실무 조직을 통해 하나도 빠짐없이 지금 (광역경제권이) 진행되고 있고 또 부산·경남 행정통합이 논의되고 있어서 행정통합을 우선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

경남도도 비슷한 입장문을 냈습니다.

경남도 역시 "양산·김해를 흡수하는 '메가 부산'은 수도권 대응 해법이 될 수 없다"며 부산·경남 행정통합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일부 정치인을 제외하면,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진보당 등 지역 정치권도 행정통합이냐, 특별연합 재추진이냐, 그 해법만 달랐을 뿐, '메가 부산' 추진에 반대했습니다.

자치단체와 사전 협의 없이 시작된 '메가 부산' 논쟁이 정작, 지역사회 반대 속에 소모적 갈등만 키우고 있습니다.

KBS 뉴스 노준철입니다.

영상편집:전은별/그래픽:박서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메가 부산’ 뜨거운 논쟁…자치단체별 입장은?
    • 입력 2023-11-10 21:37:38
    • 수정2023-11-10 22:08:24
    뉴스9(부산)
[앵커]

중앙 정치권에서 국민의힘이 제기한 '메가 서울' 찬반 논란이 불붙고 있는데요,

국민의힘은 한 발 더 나가, 서울과 부산, 광주를 3개 축으로 하는 메가시티로 확장하겠다는 구상을 밝혔습니다.

이렇다 보니 '메가 부산' 추진에 대한 논쟁도 뜨겁습니다.

자치단체별 입장은 어떤지, 노준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도시공학 전문가 등 16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국민의힘 뉴시티 프로젝트 특별위원회.

늦어도 다음 달까지 특별법이든 일반법이든, 즉, '메가시티' 구성과 관련한 구체적인 성과를 내놓기로 했습니다.

우선 논의 대상은 '메가 서울'과 '메가 부산' '메가 광주'입니다.

[조경태/국민의힘 뉴시티 프로젝트 특위 위원장/어제 : "부산을 비롯한 메가시티화, 광주를 비롯한 메가시티화가 되어서 자족도시로 이어지게 하고 서울, 부산, 광주가 삼각 축으로 해서 유기적인 협력 관계로…."]

반응은 즉시 나타났습니다.

부산시에 양산과 김해를 넣는 이른바, '메가 부산' 논쟁이 불붙었습니다.

인구 유출이 심각한 상황에 도시 경쟁력을 키울 '메가 부산'이 새로운 대안이라는 '찬성'.

반면 내년 총선을 겨냥한 선거용 정책일 뿐, 지역 균형 발전에 해법이 될 수 없다는 '반대'.

부산과 경남 입장은 어떨까.

먼저 부산시는 "부·울·경 특별연합 좌초 이후 경남과 행정통합을 논의 중"이라며 "지금 단계에 '메가 부산' 추진은 혼선을 주는 일"이라고 밝혔습니다.

[박형준/부산시장 : "경제동맹이라는 보다 효율적인 실무 조직을 통해 하나도 빠짐없이 지금 (광역경제권이) 진행되고 있고 또 부산·경남 행정통합이 논의되고 있어서 행정통합을 우선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

경남도도 비슷한 입장문을 냈습니다.

경남도 역시 "양산·김해를 흡수하는 '메가 부산'은 수도권 대응 해법이 될 수 없다"며 부산·경남 행정통합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일부 정치인을 제외하면,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진보당 등 지역 정치권도 행정통합이냐, 특별연합 재추진이냐, 그 해법만 달랐을 뿐, '메가 부산' 추진에 반대했습니다.

자치단체와 사전 협의 없이 시작된 '메가 부산' 논쟁이 정작, 지역사회 반대 속에 소모적 갈등만 키우고 있습니다.

KBS 뉴스 노준철입니다.

영상편집:전은별/그래픽:박서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