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시간제 유지하되 일부 업종만 유연화”…근로시간 개편 설문 결과 발표
입력 2023.11.13 (19:45)
수정 2023.11.13 (19: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가 오늘 근로시간 개편 관련 대국민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주 52시간제는 유지하면서 일부 업종만 개선하겠다"는 정책 방향을 내놨습니다.
배지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가 근로시간 개편안 전면 재검토를 선언한지 8개월 만에 "주 52시간제를 유지하겠다"며 한 발 물러선 개편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이성희/고용노동부 차관 : "주 52시간제의 틀을 유지하면서 연장근로 관리단위 유연화 방안을 논의해 보겠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오늘 브리핑을 통해 지난 6월부터 8월까지 실시한 '근로시간 관련 대국민 설문조사 결과'와 함께 정책 추진 방향을 발표했습니다.
정부 설문조사 결과, 현행 주 52 시간제에 대해 국민의 48.2%는 '장시간 근로 해소에 도움이 됐다"고 평가했습니다.
반면, 54.9%는 '업종, 직종별 다양한 수요 반영이 곤란하다'고 응답했습니다.
연장근로 제한 단위를 현행 주간에서 월이나 분기, 연 단위로 확대하는 방안에는 노사와 국민 모두 동의 비율이 비동의보다 10%p 이상 높았습니다.
현재 연장 근로는 한 주에 12시간까지만 가능합니다.
연장근로 유연화가 필요한 업종으로는 제조업과 건설업이 꼽혔습니다.
직종별로는 설치·정비·생산직이나 보건·의료직, 연구·공학·기술직의 연장 근로를 유연하게 적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다만, 장시간 근로를 막기 위한 주 상한 근로시간 설정 등 근로자 건강권 보호 방안도 함께 논의되어야 할 거로 전망됐습니다.
이번 설문은 정부가 지난 3월 근로시간 제도 개편 방안을 발표한 뒤 사실상 '주 69시간제'라는 역풍을 맞자, 대국민 설문조사를 시행해 정책에 반영하기로 하면서 이뤄졌습니다.
정부는 조사 결과 발표 등을 토대로 향후 "노사정 대화를 통해 근로시간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배지현입니다.
영상편집:유지영
정부가 오늘 근로시간 개편 관련 대국민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주 52시간제는 유지하면서 일부 업종만 개선하겠다"는 정책 방향을 내놨습니다.
배지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가 근로시간 개편안 전면 재검토를 선언한지 8개월 만에 "주 52시간제를 유지하겠다"며 한 발 물러선 개편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이성희/고용노동부 차관 : "주 52시간제의 틀을 유지하면서 연장근로 관리단위 유연화 방안을 논의해 보겠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오늘 브리핑을 통해 지난 6월부터 8월까지 실시한 '근로시간 관련 대국민 설문조사 결과'와 함께 정책 추진 방향을 발표했습니다.
정부 설문조사 결과, 현행 주 52 시간제에 대해 국민의 48.2%는 '장시간 근로 해소에 도움이 됐다"고 평가했습니다.
반면, 54.9%는 '업종, 직종별 다양한 수요 반영이 곤란하다'고 응답했습니다.
연장근로 제한 단위를 현행 주간에서 월이나 분기, 연 단위로 확대하는 방안에는 노사와 국민 모두 동의 비율이 비동의보다 10%p 이상 높았습니다.
현재 연장 근로는 한 주에 12시간까지만 가능합니다.
연장근로 유연화가 필요한 업종으로는 제조업과 건설업이 꼽혔습니다.
직종별로는 설치·정비·생산직이나 보건·의료직, 연구·공학·기술직의 연장 근로를 유연하게 적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다만, 장시간 근로를 막기 위한 주 상한 근로시간 설정 등 근로자 건강권 보호 방안도 함께 논의되어야 할 거로 전망됐습니다.
이번 설문은 정부가 지난 3월 근로시간 제도 개편 방안을 발표한 뒤 사실상 '주 69시간제'라는 역풍을 맞자, 대국민 설문조사를 시행해 정책에 반영하기로 하면서 이뤄졌습니다.
정부는 조사 결과 발표 등을 토대로 향후 "노사정 대화를 통해 근로시간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배지현입니다.
영상편집:유지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52시간제 유지하되 일부 업종만 유연화”…근로시간 개편 설문 결과 발표
-
- 입력 2023-11-13 19:45:12
- 수정2023-11-13 19:51:37

[앵커]
정부가 오늘 근로시간 개편 관련 대국민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주 52시간제는 유지하면서 일부 업종만 개선하겠다"는 정책 방향을 내놨습니다.
배지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가 근로시간 개편안 전면 재검토를 선언한지 8개월 만에 "주 52시간제를 유지하겠다"며 한 발 물러선 개편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이성희/고용노동부 차관 : "주 52시간제의 틀을 유지하면서 연장근로 관리단위 유연화 방안을 논의해 보겠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오늘 브리핑을 통해 지난 6월부터 8월까지 실시한 '근로시간 관련 대국민 설문조사 결과'와 함께 정책 추진 방향을 발표했습니다.
정부 설문조사 결과, 현행 주 52 시간제에 대해 국민의 48.2%는 '장시간 근로 해소에 도움이 됐다"고 평가했습니다.
반면, 54.9%는 '업종, 직종별 다양한 수요 반영이 곤란하다'고 응답했습니다.
연장근로 제한 단위를 현행 주간에서 월이나 분기, 연 단위로 확대하는 방안에는 노사와 국민 모두 동의 비율이 비동의보다 10%p 이상 높았습니다.
현재 연장 근로는 한 주에 12시간까지만 가능합니다.
연장근로 유연화가 필요한 업종으로는 제조업과 건설업이 꼽혔습니다.
직종별로는 설치·정비·생산직이나 보건·의료직, 연구·공학·기술직의 연장 근로를 유연하게 적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다만, 장시간 근로를 막기 위한 주 상한 근로시간 설정 등 근로자 건강권 보호 방안도 함께 논의되어야 할 거로 전망됐습니다.
이번 설문은 정부가 지난 3월 근로시간 제도 개편 방안을 발표한 뒤 사실상 '주 69시간제'라는 역풍을 맞자, 대국민 설문조사를 시행해 정책에 반영하기로 하면서 이뤄졌습니다.
정부는 조사 결과 발표 등을 토대로 향후 "노사정 대화를 통해 근로시간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배지현입니다.
영상편집:유지영
정부가 오늘 근로시간 개편 관련 대국민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주 52시간제는 유지하면서 일부 업종만 개선하겠다"는 정책 방향을 내놨습니다.
배지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가 근로시간 개편안 전면 재검토를 선언한지 8개월 만에 "주 52시간제를 유지하겠다"며 한 발 물러선 개편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이성희/고용노동부 차관 : "주 52시간제의 틀을 유지하면서 연장근로 관리단위 유연화 방안을 논의해 보겠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오늘 브리핑을 통해 지난 6월부터 8월까지 실시한 '근로시간 관련 대국민 설문조사 결과'와 함께 정책 추진 방향을 발표했습니다.
정부 설문조사 결과, 현행 주 52 시간제에 대해 국민의 48.2%는 '장시간 근로 해소에 도움이 됐다"고 평가했습니다.
반면, 54.9%는 '업종, 직종별 다양한 수요 반영이 곤란하다'고 응답했습니다.
연장근로 제한 단위를 현행 주간에서 월이나 분기, 연 단위로 확대하는 방안에는 노사와 국민 모두 동의 비율이 비동의보다 10%p 이상 높았습니다.
현재 연장 근로는 한 주에 12시간까지만 가능합니다.
연장근로 유연화가 필요한 업종으로는 제조업과 건설업이 꼽혔습니다.
직종별로는 설치·정비·생산직이나 보건·의료직, 연구·공학·기술직의 연장 근로를 유연하게 적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다만, 장시간 근로를 막기 위한 주 상한 근로시간 설정 등 근로자 건강권 보호 방안도 함께 논의되어야 할 거로 전망됐습니다.
이번 설문은 정부가 지난 3월 근로시간 제도 개편 방안을 발표한 뒤 사실상 '주 69시간제'라는 역풍을 맞자, 대국민 설문조사를 시행해 정책에 반영하기로 하면서 이뤄졌습니다.
정부는 조사 결과 발표 등을 토대로 향후 "노사정 대화를 통해 근로시간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배지현입니다.
영상편집:유지영
-
-
배지현 기자 veteran@kbs.co.kr
배지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