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여권’ 도입…폐배터리 관리체계 만든다

입력 2023.11.14 (21:41) 수정 2023.11.14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앞으로 전기차에서 다 쓰고 분리되는 사용 후 배터리에는 고유의 여권이 부착될 전망입니다.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떻게 사용됐는지 배터리 이력을 투명하게 관리해서 재활용하는 비중을 늘리기 위해섭니다.

민정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기차에서 사용한 뒤 수명이 다해 분리한 배터리, 전기차 수요가 크게 늘면서 오는 2030년이면 42만 개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문제는 폐배터리로 인한 환경 오염과 안전에 관한 우려입니다.

하지만 처리만 제대로 한다면 폐배터리의 활용 가치는 높아진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42만 개의 배터리를 모두 재활용할 경우, 전기차 약 17만 대 분의 핵심 광물을 확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리튬이나 니켈 같은 희귀 광물을 추출해 국내에서 자체 조달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겁니다.

[김필수/한국전기자동차협회장 : "대한민국이 고부가가치 배터리 원료가 거의 없잖아요. 배터리 원료를 전체 중에서 일부를 자급자족할 수 있는 사이클(순환)이 만들어진다는 측면에서…"]

이 때문에 배터리 업계가 모여 새로운 관리체계를 만들었습니다.

우선 명칭부터 단순한 폐기물이 아닌 '사용 후 배터리'로 바꾸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공급망을 강화하기 위해 이른바 '배터리 여권'이라는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도 만들기로 했습니다.

거래되는 모든 배터리의 성능과 안전점검 결과를 등록해 안전성을 강화하고 거래의 투명성을 높이자는 겁니다.

또 사업자를 3단계로 나눠 각 단계마다 참여할 수 있는 자격 요건도 정하기로 했습니다.

[장영진/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 "장기적으로는 우리 산업 발전에 있어서 사용 후 재료들, 이런 부분들을 원활하게 수집하고 가공하고 유통하는 것이 기후위기 시대의 새로운 경쟁력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국회 논의 등을 거쳐 관리 체계를 법제화한다는 방침입니다.

KBS 뉴스 민정희입니다.

영상편집:서정혁/그래픽:채상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배터리 여권’ 도입…폐배터리 관리체계 만든다
    • 입력 2023-11-14 21:41:40
    • 수정2023-11-14 22:02:32
    뉴스 9
[앵커]

앞으로 전기차에서 다 쓰고 분리되는 사용 후 배터리에는 고유의 여권이 부착될 전망입니다.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떻게 사용됐는지 배터리 이력을 투명하게 관리해서 재활용하는 비중을 늘리기 위해섭니다.

민정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기차에서 사용한 뒤 수명이 다해 분리한 배터리, 전기차 수요가 크게 늘면서 오는 2030년이면 42만 개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문제는 폐배터리로 인한 환경 오염과 안전에 관한 우려입니다.

하지만 처리만 제대로 한다면 폐배터리의 활용 가치는 높아진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42만 개의 배터리를 모두 재활용할 경우, 전기차 약 17만 대 분의 핵심 광물을 확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리튬이나 니켈 같은 희귀 광물을 추출해 국내에서 자체 조달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겁니다.

[김필수/한국전기자동차협회장 : "대한민국이 고부가가치 배터리 원료가 거의 없잖아요. 배터리 원료를 전체 중에서 일부를 자급자족할 수 있는 사이클(순환)이 만들어진다는 측면에서…"]

이 때문에 배터리 업계가 모여 새로운 관리체계를 만들었습니다.

우선 명칭부터 단순한 폐기물이 아닌 '사용 후 배터리'로 바꾸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공급망을 강화하기 위해 이른바 '배터리 여권'이라는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도 만들기로 했습니다.

거래되는 모든 배터리의 성능과 안전점검 결과를 등록해 안전성을 강화하고 거래의 투명성을 높이자는 겁니다.

또 사업자를 3단계로 나눠 각 단계마다 참여할 수 있는 자격 요건도 정하기로 했습니다.

[장영진/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 "장기적으로는 우리 산업 발전에 있어서 사용 후 재료들, 이런 부분들을 원활하게 수집하고 가공하고 유통하는 것이 기후위기 시대의 새로운 경쟁력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국회 논의 등을 거쳐 관리 체계를 법제화한다는 방침입니다.

KBS 뉴스 민정희입니다.

영상편집:서정혁/그래픽:채상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올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