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 한 포기 ‘천 원’ 김장 부담 줄었지만, 포장 김치 찾는 이유는?
입력 2023.11.15 (06:46)
수정 2023.11.15 (09: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본격적인 김장철을 맞아 정부와 유통업계는 주요 재료를 최대 50%까지 할인하며 김장 물가 잡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올해 김장 비용은 지난해보다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오히려 김장을 하지 않고 사서 먹겠다는 사람들도 늘고 있습니다.
박진수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대형마트.
카트 안엔 배추나 무 등 겨우내 먹을 김치 재료가 한가득입니다.
[정옥희/서울 송파구 : "물김치도 담가야 하고요, 또 배추김치는 기본이고요. 꾸준히 해 먹었기 때문에 그냥 습관처럼 그냥 해 먹는 거예요."]
올해 김장 비용은 21만 8천 원으로 지난해보다 9%가량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농산물 비축 물량이 만 톤 넘게 시장에 풀렸고, 정부 할인 지원 금액도 245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70% 이상 늘었기 때문입니다.
실제 주요 김장 재료 14개 품목 가운데 배추와 마늘 등 9개는 지난해보다 가격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배추 한 포기를 천 원에 파는 행사도 곳곳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추경호/경제부총리 : "얼마입니까? (2,850원, 2,850원.) 이 한 망에? (네, 지금 도매가가 한 4,500원 됩니다.)"]
이렇게 비용은 지난해보다 줄었지만 김치를 담그지 않고 사 먹겠다는 가구는 오히려 10명 중 3명으로 늘었습니다.
김장을 하지 않는 이유로는 절반 이상이 그때 그때 필요한 만큼만 살 수 있다는 점을 꼽았고, 김치 담그기가 번거롭기 때문이라는 응답도 30% 이상이었습니다.
[이승애/서울 서초구 : "그때그때 먹고 싶으면 사 먹거나 뭐 조금씩 먹는 정도면 충분한 것 같아요. 들이는 힘에 비해서 노동력보다…. 노력은 많이 들어가는데 결과가 그렇게 썩 좋은 것 같지 않아요."]
1인 가구가 늘어나며 김치를 사 먹는 사람은 당분간 늘어날 전망입니다.
KBS 뉴스 박진수입니다.
촬영기자:권순두/영상편집:정광진/그래픽:이근희
본격적인 김장철을 맞아 정부와 유통업계는 주요 재료를 최대 50%까지 할인하며 김장 물가 잡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올해 김장 비용은 지난해보다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오히려 김장을 하지 않고 사서 먹겠다는 사람들도 늘고 있습니다.
박진수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대형마트.
카트 안엔 배추나 무 등 겨우내 먹을 김치 재료가 한가득입니다.
[정옥희/서울 송파구 : "물김치도 담가야 하고요, 또 배추김치는 기본이고요. 꾸준히 해 먹었기 때문에 그냥 습관처럼 그냥 해 먹는 거예요."]
올해 김장 비용은 21만 8천 원으로 지난해보다 9%가량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농산물 비축 물량이 만 톤 넘게 시장에 풀렸고, 정부 할인 지원 금액도 245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70% 이상 늘었기 때문입니다.
실제 주요 김장 재료 14개 품목 가운데 배추와 마늘 등 9개는 지난해보다 가격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배추 한 포기를 천 원에 파는 행사도 곳곳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추경호/경제부총리 : "얼마입니까? (2,850원, 2,850원.) 이 한 망에? (네, 지금 도매가가 한 4,500원 됩니다.)"]
이렇게 비용은 지난해보다 줄었지만 김치를 담그지 않고 사 먹겠다는 가구는 오히려 10명 중 3명으로 늘었습니다.
김장을 하지 않는 이유로는 절반 이상이 그때 그때 필요한 만큼만 살 수 있다는 점을 꼽았고, 김치 담그기가 번거롭기 때문이라는 응답도 30% 이상이었습니다.
[이승애/서울 서초구 : "그때그때 먹고 싶으면 사 먹거나 뭐 조금씩 먹는 정도면 충분한 것 같아요. 들이는 힘에 비해서 노동력보다…. 노력은 많이 들어가는데 결과가 그렇게 썩 좋은 것 같지 않아요."]
1인 가구가 늘어나며 김치를 사 먹는 사람은 당분간 늘어날 전망입니다.
KBS 뉴스 박진수입니다.
촬영기자:권순두/영상편집:정광진/그래픽:이근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배추 한 포기 ‘천 원’ 김장 부담 줄었지만, 포장 김치 찾는 이유는?
-
- 입력 2023-11-15 06:46:32
- 수정2023-11-15 09:26:14

[앵커]
본격적인 김장철을 맞아 정부와 유통업계는 주요 재료를 최대 50%까지 할인하며 김장 물가 잡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올해 김장 비용은 지난해보다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오히려 김장을 하지 않고 사서 먹겠다는 사람들도 늘고 있습니다.
박진수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대형마트.
카트 안엔 배추나 무 등 겨우내 먹을 김치 재료가 한가득입니다.
[정옥희/서울 송파구 : "물김치도 담가야 하고요, 또 배추김치는 기본이고요. 꾸준히 해 먹었기 때문에 그냥 습관처럼 그냥 해 먹는 거예요."]
올해 김장 비용은 21만 8천 원으로 지난해보다 9%가량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농산물 비축 물량이 만 톤 넘게 시장에 풀렸고, 정부 할인 지원 금액도 245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70% 이상 늘었기 때문입니다.
실제 주요 김장 재료 14개 품목 가운데 배추와 마늘 등 9개는 지난해보다 가격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배추 한 포기를 천 원에 파는 행사도 곳곳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추경호/경제부총리 : "얼마입니까? (2,850원, 2,850원.) 이 한 망에? (네, 지금 도매가가 한 4,500원 됩니다.)"]
이렇게 비용은 지난해보다 줄었지만 김치를 담그지 않고 사 먹겠다는 가구는 오히려 10명 중 3명으로 늘었습니다.
김장을 하지 않는 이유로는 절반 이상이 그때 그때 필요한 만큼만 살 수 있다는 점을 꼽았고, 김치 담그기가 번거롭기 때문이라는 응답도 30% 이상이었습니다.
[이승애/서울 서초구 : "그때그때 먹고 싶으면 사 먹거나 뭐 조금씩 먹는 정도면 충분한 것 같아요. 들이는 힘에 비해서 노동력보다…. 노력은 많이 들어가는데 결과가 그렇게 썩 좋은 것 같지 않아요."]
1인 가구가 늘어나며 김치를 사 먹는 사람은 당분간 늘어날 전망입니다.
KBS 뉴스 박진수입니다.
촬영기자:권순두/영상편집:정광진/그래픽:이근희
본격적인 김장철을 맞아 정부와 유통업계는 주요 재료를 최대 50%까지 할인하며 김장 물가 잡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올해 김장 비용은 지난해보다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오히려 김장을 하지 않고 사서 먹겠다는 사람들도 늘고 있습니다.
박진수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대형마트.
카트 안엔 배추나 무 등 겨우내 먹을 김치 재료가 한가득입니다.
[정옥희/서울 송파구 : "물김치도 담가야 하고요, 또 배추김치는 기본이고요. 꾸준히 해 먹었기 때문에 그냥 습관처럼 그냥 해 먹는 거예요."]
올해 김장 비용은 21만 8천 원으로 지난해보다 9%가량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농산물 비축 물량이 만 톤 넘게 시장에 풀렸고, 정부 할인 지원 금액도 245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70% 이상 늘었기 때문입니다.
실제 주요 김장 재료 14개 품목 가운데 배추와 마늘 등 9개는 지난해보다 가격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배추 한 포기를 천 원에 파는 행사도 곳곳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추경호/경제부총리 : "얼마입니까? (2,850원, 2,850원.) 이 한 망에? (네, 지금 도매가가 한 4,500원 됩니다.)"]
이렇게 비용은 지난해보다 줄었지만 김치를 담그지 않고 사 먹겠다는 가구는 오히려 10명 중 3명으로 늘었습니다.
김장을 하지 않는 이유로는 절반 이상이 그때 그때 필요한 만큼만 살 수 있다는 점을 꼽았고, 김치 담그기가 번거롭기 때문이라는 응답도 30% 이상이었습니다.
[이승애/서울 서초구 : "그때그때 먹고 싶으면 사 먹거나 뭐 조금씩 먹는 정도면 충분한 것 같아요. 들이는 힘에 비해서 노동력보다…. 노력은 많이 들어가는데 결과가 그렇게 썩 좋은 것 같지 않아요."]
1인 가구가 늘어나며 김치를 사 먹는 사람은 당분간 늘어날 전망입니다.
KBS 뉴스 박진수입니다.
촬영기자:권순두/영상편집:정광진/그래픽:이근희
-
-
박진수 기자 realwater@kbs.co.kr
박진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