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 ‘아열대 과일’ 출하…농가 새 소득원 되나?

입력 2023.11.17 (10:14) 수정 2023.11.17 (10: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기후 온난화와 기술 향상으로 이제 내륙에서도 아열대 작물을 재배하는 농가가 많은데요,

추운 기후 때문에 한지형 마늘로 유명한 경북 의성에서도 레몬과 귤을 재배해 곧 출하를 앞두고 있다고 합니다.

김지홍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푸른 잎 사이로 주황색 열매가 주렁주렁 매달렸습니다.

이달 말 처음 수확하는 국내 감귤 품종 윈터 프린스입니다.

일조량이 많고 일교차가 큰 의성 기후 덕에 당도가 높고, 과즙이 풍부합니다.

한겨울에 나오는 한라봉보다 출하 시기가 빨라, 농가 소득에도 도움이 됩니다.

[김인규/의성군농업기술센터 과수기술팀장 : "농가 소득이 점점 줄어드는 부분이 있어서 대체 작물을 발굴하는 단계에 있었고요. 겨울철 과원 온도가 그렇게 높지 않게 관리를 해도 수확까지 가능한 작물입니다."]

레몬이 노란빛으로 익어갑니다.

일 년에 2번 이상 수확할 수 있고, 영상 2도까지 견딜 수 있어 난방비 부담도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손이 덜 가는 작물이다 보니 적은 인력으로도 재배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아열대 작물을 재배하는 경북 농가는 지난해 기준 백50여 곳.

재배면적은 축구장 55개 크기인 39헥타르로, 천혜향 등 감귤류를 비롯해 망고와 바나나, 파파야까지 다양합니다.

경상북도는 2021년 아열대 농업 육성 지원 조례를 만들어 아열대 과수연구회를 꾸리고, 전문단지도 조성하고 있습니다.

[이현숙/경북도농업기술원 원예경영연구과 : "고소득 작물로 알려지면서 재배면적이 늘어가고 있습니다. (열매가 달리는 시기에) 수세 안정시키는 기술이라든지 이런 것들을 연구해서 현장에 애로사항들을 해결해나갈 계획입니다."]

아열대 특화 작물이 기후 위기와 부족한 인력으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 농가에 새로운 활로가 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지홍입니다.

촬영기자:최동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의성 ‘아열대 과일’ 출하…농가 새 소득원 되나?
    • 입력 2023-11-17 10:14:01
    • 수정2023-11-17 10:55:44
    930뉴스(대구)
[앵커]

기후 온난화와 기술 향상으로 이제 내륙에서도 아열대 작물을 재배하는 농가가 많은데요,

추운 기후 때문에 한지형 마늘로 유명한 경북 의성에서도 레몬과 귤을 재배해 곧 출하를 앞두고 있다고 합니다.

김지홍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푸른 잎 사이로 주황색 열매가 주렁주렁 매달렸습니다.

이달 말 처음 수확하는 국내 감귤 품종 윈터 프린스입니다.

일조량이 많고 일교차가 큰 의성 기후 덕에 당도가 높고, 과즙이 풍부합니다.

한겨울에 나오는 한라봉보다 출하 시기가 빨라, 농가 소득에도 도움이 됩니다.

[김인규/의성군농업기술센터 과수기술팀장 : "농가 소득이 점점 줄어드는 부분이 있어서 대체 작물을 발굴하는 단계에 있었고요. 겨울철 과원 온도가 그렇게 높지 않게 관리를 해도 수확까지 가능한 작물입니다."]

레몬이 노란빛으로 익어갑니다.

일 년에 2번 이상 수확할 수 있고, 영상 2도까지 견딜 수 있어 난방비 부담도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손이 덜 가는 작물이다 보니 적은 인력으로도 재배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아열대 작물을 재배하는 경북 농가는 지난해 기준 백50여 곳.

재배면적은 축구장 55개 크기인 39헥타르로, 천혜향 등 감귤류를 비롯해 망고와 바나나, 파파야까지 다양합니다.

경상북도는 2021년 아열대 농업 육성 지원 조례를 만들어 아열대 과수연구회를 꾸리고, 전문단지도 조성하고 있습니다.

[이현숙/경북도농업기술원 원예경영연구과 : "고소득 작물로 알려지면서 재배면적이 늘어가고 있습니다. (열매가 달리는 시기에) 수세 안정시키는 기술이라든지 이런 것들을 연구해서 현장에 애로사항들을 해결해나갈 계획입니다."]

아열대 특화 작물이 기후 위기와 부족한 인력으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 농가에 새로운 활로가 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지홍입니다.

촬영기자:최동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