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시장 화재 7년…복구 첫 삽 ‘초읽기’
입력 2023.11.20 (08:00)
수정 2023.11.20 (08: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대구 서문시장 4지구에 대형 화재가 발생한 지 어느덧 7년째가 됐습니다.
하지만 복구 사업은 첫 삽조차 뜨지 못하고 있는데요.
최근 상가 재건을 위한 시공사 선정이 마무리 절차를 밟으며 복구에 청신호가 켜졌습니다.
이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016년 11월, 점포 6백여 곳이 불에 타며 5백억 원에 이르는 재산 피해를 냈던 서문시장 4지구 화재.
이후 7년이 되도록 복구는 첫 삽조차 뜨지 못했습니다.
불이 났던 현장입니다.
화재 건물은 철거됐지만, 재건축이 이뤄지지 않으며 이렇게 잡풀만 무성한 공터로 남아 있습니다.
복구가 지연된 건 주차장 구성과 공사 방식 등에 대한 이해당사자 간 이견으로 행정 절차가 지연됐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까다로운 공사 환경과 건설 경기 침체까지 덮치며 재건축 시공사 선정도 올해만 수차례 유찰됐습니다.
그러나 최근 협의 끝에 사업시행계획인가 등 절차를 마치고, 수의계약 방식으로 시공사를 선정하기로 하면서 복구에 청신호가 켜졌습니다.
[김홍관/서문시장 4지구 시장정비사업조합장 : "다음 달쯤 총회를 해서 전체 조합원들이 시공사 선정을 할 예정입니다. 시공사 선정하고 종전·종후 감정평가 후 조합원 분양 신청하고 관리처분계획 수립해서 내년 중에 착공할 예정입니다."]
재건축될 상가 건물은 4천7백여 ㎡ 터에 지하 4층 지상 4층 규모로, 점포 천여 개가 입점할 수 있도록 조성될 전망입니다.
목표 완공 시점은 2026년, 4지구가 화재의 오랜 상흔을 딛고 백 년 전통의 명성을 회복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
대구 서문시장 4지구에 대형 화재가 발생한 지 어느덧 7년째가 됐습니다.
하지만 복구 사업은 첫 삽조차 뜨지 못하고 있는데요.
최근 상가 재건을 위한 시공사 선정이 마무리 절차를 밟으며 복구에 청신호가 켜졌습니다.
이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016년 11월, 점포 6백여 곳이 불에 타며 5백억 원에 이르는 재산 피해를 냈던 서문시장 4지구 화재.
이후 7년이 되도록 복구는 첫 삽조차 뜨지 못했습니다.
불이 났던 현장입니다.
화재 건물은 철거됐지만, 재건축이 이뤄지지 않으며 이렇게 잡풀만 무성한 공터로 남아 있습니다.
복구가 지연된 건 주차장 구성과 공사 방식 등에 대한 이해당사자 간 이견으로 행정 절차가 지연됐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까다로운 공사 환경과 건설 경기 침체까지 덮치며 재건축 시공사 선정도 올해만 수차례 유찰됐습니다.
그러나 최근 협의 끝에 사업시행계획인가 등 절차를 마치고, 수의계약 방식으로 시공사를 선정하기로 하면서 복구에 청신호가 켜졌습니다.
[김홍관/서문시장 4지구 시장정비사업조합장 : "다음 달쯤 총회를 해서 전체 조합원들이 시공사 선정을 할 예정입니다. 시공사 선정하고 종전·종후 감정평가 후 조합원 분양 신청하고 관리처분계획 수립해서 내년 중에 착공할 예정입니다."]
재건축될 상가 건물은 4천7백여 ㎡ 터에 지하 4층 지상 4층 규모로, 점포 천여 개가 입점할 수 있도록 조성될 전망입니다.
목표 완공 시점은 2026년, 4지구가 화재의 오랜 상흔을 딛고 백 년 전통의 명성을 회복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문시장 화재 7년…복구 첫 삽 ‘초읽기’
-
- 입력 2023-11-20 08:00:47
- 수정2023-11-20 08:49:12

[앵커]
대구 서문시장 4지구에 대형 화재가 발생한 지 어느덧 7년째가 됐습니다.
하지만 복구 사업은 첫 삽조차 뜨지 못하고 있는데요.
최근 상가 재건을 위한 시공사 선정이 마무리 절차를 밟으며 복구에 청신호가 켜졌습니다.
이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016년 11월, 점포 6백여 곳이 불에 타며 5백억 원에 이르는 재산 피해를 냈던 서문시장 4지구 화재.
이후 7년이 되도록 복구는 첫 삽조차 뜨지 못했습니다.
불이 났던 현장입니다.
화재 건물은 철거됐지만, 재건축이 이뤄지지 않으며 이렇게 잡풀만 무성한 공터로 남아 있습니다.
복구가 지연된 건 주차장 구성과 공사 방식 등에 대한 이해당사자 간 이견으로 행정 절차가 지연됐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까다로운 공사 환경과 건설 경기 침체까지 덮치며 재건축 시공사 선정도 올해만 수차례 유찰됐습니다.
그러나 최근 협의 끝에 사업시행계획인가 등 절차를 마치고, 수의계약 방식으로 시공사를 선정하기로 하면서 복구에 청신호가 켜졌습니다.
[김홍관/서문시장 4지구 시장정비사업조합장 : "다음 달쯤 총회를 해서 전체 조합원들이 시공사 선정을 할 예정입니다. 시공사 선정하고 종전·종후 감정평가 후 조합원 분양 신청하고 관리처분계획 수립해서 내년 중에 착공할 예정입니다."]
재건축될 상가 건물은 4천7백여 ㎡ 터에 지하 4층 지상 4층 규모로, 점포 천여 개가 입점할 수 있도록 조성될 전망입니다.
목표 완공 시점은 2026년, 4지구가 화재의 오랜 상흔을 딛고 백 년 전통의 명성을 회복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
대구 서문시장 4지구에 대형 화재가 발생한 지 어느덧 7년째가 됐습니다.
하지만 복구 사업은 첫 삽조차 뜨지 못하고 있는데요.
최근 상가 재건을 위한 시공사 선정이 마무리 절차를 밟으며 복구에 청신호가 켜졌습니다.
이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016년 11월, 점포 6백여 곳이 불에 타며 5백억 원에 이르는 재산 피해를 냈던 서문시장 4지구 화재.
이후 7년이 되도록 복구는 첫 삽조차 뜨지 못했습니다.
불이 났던 현장입니다.
화재 건물은 철거됐지만, 재건축이 이뤄지지 않으며 이렇게 잡풀만 무성한 공터로 남아 있습니다.
복구가 지연된 건 주차장 구성과 공사 방식 등에 대한 이해당사자 간 이견으로 행정 절차가 지연됐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까다로운 공사 환경과 건설 경기 침체까지 덮치며 재건축 시공사 선정도 올해만 수차례 유찰됐습니다.
그러나 최근 협의 끝에 사업시행계획인가 등 절차를 마치고, 수의계약 방식으로 시공사를 선정하기로 하면서 복구에 청신호가 켜졌습니다.
[김홍관/서문시장 4지구 시장정비사업조합장 : "다음 달쯤 총회를 해서 전체 조합원들이 시공사 선정을 할 예정입니다. 시공사 선정하고 종전·종후 감정평가 후 조합원 분양 신청하고 관리처분계획 수립해서 내년 중에 착공할 예정입니다."]
재건축될 상가 건물은 4천7백여 ㎡ 터에 지하 4층 지상 4층 규모로, 점포 천여 개가 입점할 수 있도록 조성될 전망입니다.
목표 완공 시점은 2026년, 4지구가 화재의 오랜 상흔을 딛고 백 년 전통의 명성을 회복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
-
-
이지은 기자 easy@kbs.co.kr
이지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