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보] 미 기본적으로 ICBM…러시아 기술 이전 ‘촉각’
입력 2023.11.22 (00:25)
수정 2023.11.22 (00: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엔 워싱턴 연결해 미국 반응 알아봅니다.
김기현 특파원...
미국 반응이 나왔나요?
[기자]
미국은 현재 북한의 발사 이후 상황을 정밀 분석 중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당초 북한이 예정했던 시각보다 발사가 빨라진 만큼 그 이유는 물론 발사체가 그린 궤적과 전체 이동 거리 등에 대한 자세한 분석을 토대로 반응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 국무부는 일단 북한이 위성이라고 주장하는 발사체의 기본 재원을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매튜 밀러 미 국무부 대변인은 실제, 발사에 앞서 가졌던 브리핑에서 위성 발사 계획과 관련한 질문에 미국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우려한다는 반응을 내기도 했습니다.
여기에 북한의 이른바 인공위성 발사 과정에서 러시아 측 기술 이전 가능성에도 주목하는 모습입니다.
밀러 대변인은 이와 관련해 러시아와 북한 간 군사 교류에 대한 미국 측 우려는 잘 알려져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러시아가 북한에 탄도 미사일 기술을 이전하는 건 스스로 찬성 투표했던 유엔 안보리 결의 사항 위반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여기에 북한을 향해서도 러시아의 침략 전쟁에 사용될 수 있는 무기를 공급하지 말라고 재차 촉구한 바 있습니다.
[앵커]
미국의 반응이 안나왔지만, 결국 규탄과 함께 도발 중단 촉구로 귀결될 것으로 보이죠?
[기자]
네, 북한의 발사 직후 현재 관련 내용을 파악하는 대로 입장을 내놓을 것을 보입니다.
북한은 정찰 위성 발사의 주요 이유로 미국의 군사행동을 감시하기 위해서라는 입장인 데, 미국 측에선 북한의 위성 발사 자체가 유엔 안보리 이사회 결의 위반에 해당된다는 입장입니다.
유엔 역시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에 따른 안보리를 소집한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비슷한 움직임 재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반, 안보리 차원에서 논의는 그동안 공전이 거듭됐던 만큼 이번에도 별도 결의 같은 추가 합의가 나올 가능성은 그다지 높지 않다는 관측입니다.
다만, 상임이사국 가운데 중국과 러시아가 미국과 다른 입장을 보이는 만큼 유엔 안보리 차원의 추가 결의 같은 구속력 있는 결론이 나오기는 쉽지 않기 때분입니다.
이에 따라 그런 만큼 일단 유엔 안보리 전체 회의에 이번 사안을 회부하고 결론이 나지 않을 경우 총회에서 결의안을 처리하는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촬영기자:오범석
이번엔 워싱턴 연결해 미국 반응 알아봅니다.
김기현 특파원...
미국 반응이 나왔나요?
[기자]
미국은 현재 북한의 발사 이후 상황을 정밀 분석 중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당초 북한이 예정했던 시각보다 발사가 빨라진 만큼 그 이유는 물론 발사체가 그린 궤적과 전체 이동 거리 등에 대한 자세한 분석을 토대로 반응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 국무부는 일단 북한이 위성이라고 주장하는 발사체의 기본 재원을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매튜 밀러 미 국무부 대변인은 실제, 발사에 앞서 가졌던 브리핑에서 위성 발사 계획과 관련한 질문에 미국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우려한다는 반응을 내기도 했습니다.
여기에 북한의 이른바 인공위성 발사 과정에서 러시아 측 기술 이전 가능성에도 주목하는 모습입니다.
밀러 대변인은 이와 관련해 러시아와 북한 간 군사 교류에 대한 미국 측 우려는 잘 알려져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러시아가 북한에 탄도 미사일 기술을 이전하는 건 스스로 찬성 투표했던 유엔 안보리 결의 사항 위반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여기에 북한을 향해서도 러시아의 침략 전쟁에 사용될 수 있는 무기를 공급하지 말라고 재차 촉구한 바 있습니다.
[앵커]
미국의 반응이 안나왔지만, 결국 규탄과 함께 도발 중단 촉구로 귀결될 것으로 보이죠?
[기자]
네, 북한의 발사 직후 현재 관련 내용을 파악하는 대로 입장을 내놓을 것을 보입니다.
북한은 정찰 위성 발사의 주요 이유로 미국의 군사행동을 감시하기 위해서라는 입장인 데, 미국 측에선 북한의 위성 발사 자체가 유엔 안보리 이사회 결의 위반에 해당된다는 입장입니다.
유엔 역시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에 따른 안보리를 소집한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비슷한 움직임 재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반, 안보리 차원에서 논의는 그동안 공전이 거듭됐던 만큼 이번에도 별도 결의 같은 추가 합의가 나올 가능성은 그다지 높지 않다는 관측입니다.
다만, 상임이사국 가운데 중국과 러시아가 미국과 다른 입장을 보이는 만큼 유엔 안보리 차원의 추가 결의 같은 구속력 있는 결론이 나오기는 쉽지 않기 때분입니다.
이에 따라 그런 만큼 일단 유엔 안보리 전체 회의에 이번 사안을 회부하고 결론이 나지 않을 경우 총회에서 결의안을 처리하는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촬영기자:오범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특보] 미 기본적으로 ICBM…러시아 기술 이전 ‘촉각’
-
- 입력 2023-11-22 00:25:39
- 수정2023-11-22 00:42:29
[앵커]
이번엔 워싱턴 연결해 미국 반응 알아봅니다.
김기현 특파원...
미국 반응이 나왔나요?
[기자]
미국은 현재 북한의 발사 이후 상황을 정밀 분석 중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당초 북한이 예정했던 시각보다 발사가 빨라진 만큼 그 이유는 물론 발사체가 그린 궤적과 전체 이동 거리 등에 대한 자세한 분석을 토대로 반응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 국무부는 일단 북한이 위성이라고 주장하는 발사체의 기본 재원을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매튜 밀러 미 국무부 대변인은 실제, 발사에 앞서 가졌던 브리핑에서 위성 발사 계획과 관련한 질문에 미국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우려한다는 반응을 내기도 했습니다.
여기에 북한의 이른바 인공위성 발사 과정에서 러시아 측 기술 이전 가능성에도 주목하는 모습입니다.
밀러 대변인은 이와 관련해 러시아와 북한 간 군사 교류에 대한 미국 측 우려는 잘 알려져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러시아가 북한에 탄도 미사일 기술을 이전하는 건 스스로 찬성 투표했던 유엔 안보리 결의 사항 위반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여기에 북한을 향해서도 러시아의 침략 전쟁에 사용될 수 있는 무기를 공급하지 말라고 재차 촉구한 바 있습니다.
[앵커]
미국의 반응이 안나왔지만, 결국 규탄과 함께 도발 중단 촉구로 귀결될 것으로 보이죠?
[기자]
네, 북한의 발사 직후 현재 관련 내용을 파악하는 대로 입장을 내놓을 것을 보입니다.
북한은 정찰 위성 발사의 주요 이유로 미국의 군사행동을 감시하기 위해서라는 입장인 데, 미국 측에선 북한의 위성 발사 자체가 유엔 안보리 이사회 결의 위반에 해당된다는 입장입니다.
유엔 역시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에 따른 안보리를 소집한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비슷한 움직임 재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반, 안보리 차원에서 논의는 그동안 공전이 거듭됐던 만큼 이번에도 별도 결의 같은 추가 합의가 나올 가능성은 그다지 높지 않다는 관측입니다.
다만, 상임이사국 가운데 중국과 러시아가 미국과 다른 입장을 보이는 만큼 유엔 안보리 차원의 추가 결의 같은 구속력 있는 결론이 나오기는 쉽지 않기 때분입니다.
이에 따라 그런 만큼 일단 유엔 안보리 전체 회의에 이번 사안을 회부하고 결론이 나지 않을 경우 총회에서 결의안을 처리하는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촬영기자:오범석
이번엔 워싱턴 연결해 미국 반응 알아봅니다.
김기현 특파원...
미국 반응이 나왔나요?
[기자]
미국은 현재 북한의 발사 이후 상황을 정밀 분석 중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당초 북한이 예정했던 시각보다 발사가 빨라진 만큼 그 이유는 물론 발사체가 그린 궤적과 전체 이동 거리 등에 대한 자세한 분석을 토대로 반응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 국무부는 일단 북한이 위성이라고 주장하는 발사체의 기본 재원을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매튜 밀러 미 국무부 대변인은 실제, 발사에 앞서 가졌던 브리핑에서 위성 발사 계획과 관련한 질문에 미국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우려한다는 반응을 내기도 했습니다.
여기에 북한의 이른바 인공위성 발사 과정에서 러시아 측 기술 이전 가능성에도 주목하는 모습입니다.
밀러 대변인은 이와 관련해 러시아와 북한 간 군사 교류에 대한 미국 측 우려는 잘 알려져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러시아가 북한에 탄도 미사일 기술을 이전하는 건 스스로 찬성 투표했던 유엔 안보리 결의 사항 위반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여기에 북한을 향해서도 러시아의 침략 전쟁에 사용될 수 있는 무기를 공급하지 말라고 재차 촉구한 바 있습니다.
[앵커]
미국의 반응이 안나왔지만, 결국 규탄과 함께 도발 중단 촉구로 귀결될 것으로 보이죠?
[기자]
네, 북한의 발사 직후 현재 관련 내용을 파악하는 대로 입장을 내놓을 것을 보입니다.
북한은 정찰 위성 발사의 주요 이유로 미국의 군사행동을 감시하기 위해서라는 입장인 데, 미국 측에선 북한의 위성 발사 자체가 유엔 안보리 이사회 결의 위반에 해당된다는 입장입니다.
유엔 역시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에 따른 안보리를 소집한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비슷한 움직임 재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반, 안보리 차원에서 논의는 그동안 공전이 거듭됐던 만큼 이번에도 별도 결의 같은 추가 합의가 나올 가능성은 그다지 높지 않다는 관측입니다.
다만, 상임이사국 가운데 중국과 러시아가 미국과 다른 입장을 보이는 만큼 유엔 안보리 차원의 추가 결의 같은 구속력 있는 결론이 나오기는 쉽지 않기 때분입니다.
이에 따라 그런 만큼 일단 유엔 안보리 전체 회의에 이번 사안을 회부하고 결론이 나지 않을 경우 총회에서 결의안을 처리하는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촬영기자:오범석
-
-
김기현 기자 kimkh@kbs.co.kr
김기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