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대 운전자 차에 보행자 3명 참변…고령운전자 사고는 급증

입력 2023.11.22 (18:20) 수정 2023.11.22 (18: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교통사고 중 음주운전보다 치사율이 높은 게 뭔 줄 아시나요?

바로 '고령 운전'입니다.

교통사고 사망자 4명 중 1명이 65세 이상 고령자 운전에 의한 사고인데요.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망자의 세배가 넘습니다.

운전은 뇌과학적 관점에서 다수의 작업을 동시에 하는 고도의 멀티태스킹이라 할 수 있죠.

시각, 공간 위치를 파악하는 건 물론V 팔, 다리를 움직이도록 명령을 내리고 이 모든 상황을 통제해야 합니다.

나이가 들면 어쩔 수 없이V 인지, 돌발 상황 대처 능력이 일정 수준 떨어지게 될 수밖에 없는데요.

이런 이유로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가 해마다 늘면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오늘 춘천에서 80대 운전자가 몰던 승용차에 보행자 3명이 치여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이유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른 아침 강원도 춘천의 8차선 도롭니다.

여성 3명이 보행자 신호에 따라 횡단보도를 건너는 순간, 갑자기 승용차 한 대가 빠른 속도로 달려와 보행자들을 그대로 들이받습니다.

사고가 발생한 현장입니다.

차에 치인 보행자들은 횡단보도에서 30m가량 떨어진 이곳에 떨어졌습니다.

새벽 기도를 다녀오던 6~70대 여성 3명은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결국 숨졌습니다.

사고 운전자 최 모 씨는 80살이 넘는 고령 운전자, 경찰 조사에서 신호와 보행자를 보지 못했다고 진술했습니다.

[경찰 관계자/음성변조 : "명백한 신호위반으로 인한 사고는 맞고 그분이 연세가 한 82세이시니까... 본인은 못 봤다고 얘기를 합니다. 신호 들어온 거를 보행자도 못 봤다 그러고."]

지난 10월 충북 청주에서도 70대 운전자가 몰던 차에 치여 50대 부부가 숨지거나 다쳤습니다.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 사고는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해는 3만 4천여 건으로 통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사망자도 7백 30여 명에 달합니다.

통계가 시작된 2005년 6천 백 여건에 비하면 6배 가까이 급증한 겁니다.

고령 운전자의 경우 행동 반응이 늦어져 대응 능력이 크게 떨어집니다.

각 지자체가 면허증을 반납받고 있지만. 지난해 반납률은 2%에 그칩니다.

[유정훈/아주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교수 : "고령 운전자 같은 경우에는 운동신경이라든지 반응 신경이 굉장히 뒤떨어집니다. 특히 시야가 확보되는 게 어렵기 때문에 운전 시에 상대적으로 굉장히 위험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인구 고령화로 전체 운전자 중 고령자 비율은 12%까지 늘었습니다.

적성검사 강화나 조건부면허제 도입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촬영기자:이장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80대 운전자 차에 보행자 3명 참변…고령운전자 사고는 급증
    • 입력 2023-11-22 18:20:56
    • 수정2023-11-22 18:38:53
    뉴스 6
[앵커]

교통사고 중 음주운전보다 치사율이 높은 게 뭔 줄 아시나요?

바로 '고령 운전'입니다.

교통사고 사망자 4명 중 1명이 65세 이상 고령자 운전에 의한 사고인데요.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망자의 세배가 넘습니다.

운전은 뇌과학적 관점에서 다수의 작업을 동시에 하는 고도의 멀티태스킹이라 할 수 있죠.

시각, 공간 위치를 파악하는 건 물론V 팔, 다리를 움직이도록 명령을 내리고 이 모든 상황을 통제해야 합니다.

나이가 들면 어쩔 수 없이V 인지, 돌발 상황 대처 능력이 일정 수준 떨어지게 될 수밖에 없는데요.

이런 이유로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가 해마다 늘면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오늘 춘천에서 80대 운전자가 몰던 승용차에 보행자 3명이 치여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이유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른 아침 강원도 춘천의 8차선 도롭니다.

여성 3명이 보행자 신호에 따라 횡단보도를 건너는 순간, 갑자기 승용차 한 대가 빠른 속도로 달려와 보행자들을 그대로 들이받습니다.

사고가 발생한 현장입니다.

차에 치인 보행자들은 횡단보도에서 30m가량 떨어진 이곳에 떨어졌습니다.

새벽 기도를 다녀오던 6~70대 여성 3명은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결국 숨졌습니다.

사고 운전자 최 모 씨는 80살이 넘는 고령 운전자, 경찰 조사에서 신호와 보행자를 보지 못했다고 진술했습니다.

[경찰 관계자/음성변조 : "명백한 신호위반으로 인한 사고는 맞고 그분이 연세가 한 82세이시니까... 본인은 못 봤다고 얘기를 합니다. 신호 들어온 거를 보행자도 못 봤다 그러고."]

지난 10월 충북 청주에서도 70대 운전자가 몰던 차에 치여 50대 부부가 숨지거나 다쳤습니다.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 사고는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해는 3만 4천여 건으로 통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사망자도 7백 30여 명에 달합니다.

통계가 시작된 2005년 6천 백 여건에 비하면 6배 가까이 급증한 겁니다.

고령 운전자의 경우 행동 반응이 늦어져 대응 능력이 크게 떨어집니다.

각 지자체가 면허증을 반납받고 있지만. 지난해 반납률은 2%에 그칩니다.

[유정훈/아주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교수 : "고령 운전자 같은 경우에는 운동신경이라든지 반응 신경이 굉장히 뒤떨어집니다. 특히 시야가 확보되는 게 어렵기 때문에 운전 시에 상대적으로 굉장히 위험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인구 고령화로 전체 운전자 중 고령자 비율은 12%까지 늘었습니다.

적성검사 강화나 조건부면허제 도입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촬영기자:이장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