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정류장 ‘작은 도서관’…빈 책장만 덩그러니

입력 2023.11.24 (07:41) 수정 2023.11.24 (08: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전주시는 몇 해 전부터 도심 버스 정류장 곳곳을 도서관으로 꾸며왔습니다.

버스를 기다리는 동안 무료함도 달래고 마음의 양식도 채우라는 배려입니다.

'작은 도서관'이라고 이름 지은 이 정류장, 지금은 어떤 모습일까요.

오정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북도청 앞 버스정류장.

칸막이 부스가 옆으로 달렸고, 구석에 빈 책장이 덩그러니 섰습니다.

[버스정류장 이용객 : "(저게 뭔지 아세요?) 책장처럼 보여요. (책장?) 책들이 있어야 하는데, 없네요?"]

버스를 타고 몇 정류장 더 가니, 같은 부스가 설치된 정류장이 또 나옵니다.

그러나 여기도 책장 대부분 비었고, 그나마 남은 책들은 손 대기 꺼려질 정도로 상태가 좋지 않습니다.

[버스정류장 이용객 : "(예전엔) 꽤 있었어요. 큰 책들도 많이 있었고. 많이 없네요, 지금은. 효율성은 없는 거 같아요, 솔직히. (버스 기다리는 데) 10분, 5분 정도 걸리는데 그 시간에 책을 본다는 건, 제목 정도는 봐도."]

전주시가 2019년부터 도심 곳곳에 만들기 시작한 '작은 도서관' 정류장입니다.

모두 14곳이 있는데, 어떻게 된 일인지, 책을 제대로 갖춘 곳은 한 곳도 없습니다.

[전주시 관계자/음성변조 : "이번에 싹 대부분 수거했어요. 책들이 좀 뭐랄까 좀 낡았고 좀 의미가 없고. 승강장에서 짧은 기간에 책을 읽기가 좀 부담스럽나, 요새는 다 핸드폰 보시니까."]

사실상 운영을 중단한 전주시.

막상 정류장에 도서관을 만들고 보니 관리는 쉽지 않고, 사람들도 썩 책을 보지 않더라는 게 이유입니다.

게다가 종교단체들이 책자를 두는 일이 잦아, 잇따르는 민원에 골치를 앓았다고 털어놓습니다.

정류장에 도서관 일체형 부스를 만드는 데는 적잖은 돈이 쓰였습니다.

[전주시 관계자/음성변조 : "(승강장 만든 비용도 있을 거 아니에요?) 다 다른데 보통 3천에서 5천만 원. 민원이 또 (종교 책자) 빨리 수거하라고 하는데, 그때그때 나가서 수거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

전주시는 이참에 정류장 '작은 도서관'을 아예 폐쇄하는 걸 염두에 두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만드는 것도, 없애는 것도 큰 고민 없이 일을 하다 보니 시민들 세금만 낭비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오정현입니다.

촬영기자:한문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버스정류장 ‘작은 도서관’…빈 책장만 덩그러니
    • 입력 2023-11-24 07:41:31
    • 수정2023-11-24 08:34:13
    뉴스광장(전주)
[앵커]

전주시는 몇 해 전부터 도심 버스 정류장 곳곳을 도서관으로 꾸며왔습니다.

버스를 기다리는 동안 무료함도 달래고 마음의 양식도 채우라는 배려입니다.

'작은 도서관'이라고 이름 지은 이 정류장, 지금은 어떤 모습일까요.

오정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북도청 앞 버스정류장.

칸막이 부스가 옆으로 달렸고, 구석에 빈 책장이 덩그러니 섰습니다.

[버스정류장 이용객 : "(저게 뭔지 아세요?) 책장처럼 보여요. (책장?) 책들이 있어야 하는데, 없네요?"]

버스를 타고 몇 정류장 더 가니, 같은 부스가 설치된 정류장이 또 나옵니다.

그러나 여기도 책장 대부분 비었고, 그나마 남은 책들은 손 대기 꺼려질 정도로 상태가 좋지 않습니다.

[버스정류장 이용객 : "(예전엔) 꽤 있었어요. 큰 책들도 많이 있었고. 많이 없네요, 지금은. 효율성은 없는 거 같아요, 솔직히. (버스 기다리는 데) 10분, 5분 정도 걸리는데 그 시간에 책을 본다는 건, 제목 정도는 봐도."]

전주시가 2019년부터 도심 곳곳에 만들기 시작한 '작은 도서관' 정류장입니다.

모두 14곳이 있는데, 어떻게 된 일인지, 책을 제대로 갖춘 곳은 한 곳도 없습니다.

[전주시 관계자/음성변조 : "이번에 싹 대부분 수거했어요. 책들이 좀 뭐랄까 좀 낡았고 좀 의미가 없고. 승강장에서 짧은 기간에 책을 읽기가 좀 부담스럽나, 요새는 다 핸드폰 보시니까."]

사실상 운영을 중단한 전주시.

막상 정류장에 도서관을 만들고 보니 관리는 쉽지 않고, 사람들도 썩 책을 보지 않더라는 게 이유입니다.

게다가 종교단체들이 책자를 두는 일이 잦아, 잇따르는 민원에 골치를 앓았다고 털어놓습니다.

정류장에 도서관 일체형 부스를 만드는 데는 적잖은 돈이 쓰였습니다.

[전주시 관계자/음성변조 : "(승강장 만든 비용도 있을 거 아니에요?) 다 다른데 보통 3천에서 5천만 원. 민원이 또 (종교 책자) 빨리 수거하라고 하는데, 그때그때 나가서 수거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

전주시는 이참에 정류장 '작은 도서관'을 아예 폐쇄하는 걸 염두에 두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만드는 것도, 없애는 것도 큰 고민 없이 일을 하다 보니 시민들 세금만 낭비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오정현입니다.

촬영기자:한문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전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