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공립어린이집 파행에도…손 놓은 세종시

입력 2023.11.24 (19:53) 수정 2023.11.24 (22: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세종의 한 국공립 어린이집에서 반년 가까이 진흙탕 싸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어린이집 운영이 엉망이 돼 원아들이 어린이집을 떠나는 사이, 정작 관리 감독 책임이 있는 세종시는 손을 놓고 있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한솔 기자입니다.

[리포트]

세종시 출범과 함께 문을 연 1호 국공립어린이집입니다.

한때 세 자릿수 대기 인원을 기록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습니다.

하지만 지난 6월, 부실 급식 논란이 불거지며 진흙탕 싸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학부모들에 퇴직 교사까지 합세해 부실 급식 등의 책임을 묻겠다며 원장을 세종시에 고발했는데 세종시가 자체 감사에서 "부실 급식이 확인되지 않았다"며 원장을 복귀시킨 뒤 다툼은 고소 고발전으로 확산됐습니다.

학부모들은 원장이 세종시에 제출한 문서를 위조한 정황이 있다며 경찰에 고발했고

[해당 어린이집 퇴소 학부모 : "그렇게 일이 커지게 만들었던 원장님이 과연 이 어린이집을 제대로 헤쳐나갈 수 있는 운영을 할 수 있는지…."]

복귀한 원장도 명예를 훼손당했다며 학부모와 퇴직 교사에 대한 고소·고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해당 어린이집 원장 : "오죽하면 제가 학부모들을 법에 호소(고소)했겠습니까. 누가 35차례나 되는 그거(조사를) 견뎌낼 수 있는 사람이 진짜 어디 있겠습니까?"]

파행이 다섯 달 넘게 이어지면서 어린이집 원아는 75명에서 20명 대로 줄었습니다.

내년도 어린이집 대기 인원도 10명 안팎으로 크게 줄었습니다.

갈수록 상황이 악화되고 있지만 세종시는 사실상 손을 놓은 상태입니다.

[세종시 관계자/음성변조 : "경찰은 저희보다 더 잘하겠죠. 수사권이 있으니까."]

세금이 투입되는 국공립 어린이집을 둘러싼 다툼이 장기화되면서 세종시의 역할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한솔입니다.

촬영기자:안성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공립어린이집 파행에도…손 놓은 세종시
    • 입력 2023-11-24 19:53:34
    • 수정2023-11-24 22:24:45
    뉴스7(대전)
[앵커]

세종의 한 국공립 어린이집에서 반년 가까이 진흙탕 싸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어린이집 운영이 엉망이 돼 원아들이 어린이집을 떠나는 사이, 정작 관리 감독 책임이 있는 세종시는 손을 놓고 있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한솔 기자입니다.

[리포트]

세종시 출범과 함께 문을 연 1호 국공립어린이집입니다.

한때 세 자릿수 대기 인원을 기록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습니다.

하지만 지난 6월, 부실 급식 논란이 불거지며 진흙탕 싸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학부모들에 퇴직 교사까지 합세해 부실 급식 등의 책임을 묻겠다며 원장을 세종시에 고발했는데 세종시가 자체 감사에서 "부실 급식이 확인되지 않았다"며 원장을 복귀시킨 뒤 다툼은 고소 고발전으로 확산됐습니다.

학부모들은 원장이 세종시에 제출한 문서를 위조한 정황이 있다며 경찰에 고발했고

[해당 어린이집 퇴소 학부모 : "그렇게 일이 커지게 만들었던 원장님이 과연 이 어린이집을 제대로 헤쳐나갈 수 있는 운영을 할 수 있는지…."]

복귀한 원장도 명예를 훼손당했다며 학부모와 퇴직 교사에 대한 고소·고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해당 어린이집 원장 : "오죽하면 제가 학부모들을 법에 호소(고소)했겠습니까. 누가 35차례나 되는 그거(조사를) 견뎌낼 수 있는 사람이 진짜 어디 있겠습니까?"]

파행이 다섯 달 넘게 이어지면서 어린이집 원아는 75명에서 20명 대로 줄었습니다.

내년도 어린이집 대기 인원도 10명 안팎으로 크게 줄었습니다.

갈수록 상황이 악화되고 있지만 세종시는 사실상 손을 놓은 상태입니다.

[세종시 관계자/음성변조 : "경찰은 저희보다 더 잘하겠죠. 수사권이 있으니까."]

세금이 투입되는 국공립 어린이집을 둘러싼 다툼이 장기화되면서 세종시의 역할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한솔입니다.

촬영기자:안성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