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뭘 좋아하고 잘하는지 몰라서’…중학생 41% “희망 직업 없다”

입력 2023.11.26 (11:06) 수정 2023.11.26 (11: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생의 40%는 스스로 뭘 좋아하고 잘하는지 몰라서 희망 직업을 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희망 직업이 있는 학생 중에선 초등학생의 경우 운동선수,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선 교사가 가장 선호되는 거로 조사됐습니다.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지난 6월 5일부터 7월 18일까지 초·중·고 1천200개교의 학생(2만 3천300명)·학부모(1만 2천202명)·교원(2천800명)을 온라인 조사한 ‘2023년 초·중등 진로 교육 현황조사’ 결과를 오늘(26일) 발표했습니다.

■ ‘교사’ 초중고 희망직업 톱3 포함…‘공무원’ 10위 아래로

조사 결과를 보면, 초등학생 희망 직업 1위는 운동선수(13.4%)였습니다.

운동선수는 2019년부터 초등학생 희망 직업 맨 꼭대기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위는 의사(7.1%)로, 지난해보다 2계단 상승했고 3위는 교사(5.4%)로 한 계단 내려왔습니다.

4위는 크리에이터(5.2%)가, 5위는 요리사/조리사(4.2%)가 각각 차지했습니다.

중학생의 희망 직업 1∼5위는 교사(9.1%), 의사(6.1%), 운동선수(5.5%), 경찰관/수사관(3.8%), 컴퓨터공학자/소프트웨어 개발자(2.6%) 순으로 지난해와 같았습니다.

고등학생의 경우 희망 직업 1위는 교사(6.3%), 2위는 간호사(5.9%)로 지난해와 차이가 없었습니다.

다만 3위는 지난해보다 6순위 상승한 생명과학자 및 연구원(3.7%)이 차지했고, 4위는 컴퓨터공학자/소프트웨어 개발자(3.6%), 5위는 의사(3.1%)로 조사됐습니다.

교사가 초·중·고생 희망 직업에서 모두 ‘톱3’에 오른 가운데, 이번 조사는 지난 7월 말 서울 서초구 교사 사망 이전에 이뤄져 교권 침해 이슈 등이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공무원은 초·중·고 희망 직업 ‘톱10’에 모두 들지 못했습니다.

반면 컴퓨터 공학자 등 신산업 분야 직업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입체(3D) 프린팅 전문가, 드론 전문가, 로봇공학자, 빅데이터·통계 분석 전문가 등 11개 신산업 분야 직업을 희망하는 학생 비중은 중학생의 경우 5.3%로, 10년 전과 비교하면 1.5배로 늘었습니다.

고등학생에선 11.6%로 같은 기간 3배 증가했습니다.

■ “희망 직업 없다.” 비중 상승…이유는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몰라서’

반면 희망 직업이 없다는 학생은 초등학생 20.7%, 중학생 41%, 고등학생 25.5%에 달했습니다.

특히 희망 직업 없다는 중학생 비중은 2018년 이래로 매년 상승하며 최근 10년간 가장 높은 수준이 됐습니다.

희망 직업이 없다고 응답한 학생들에게 그 이유를 조사한 결과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아직 잘 몰라서’가 가장 많았습니다.

초등학생의 43.9%, 중학생의 54.6%, 고등학생의 40.2%는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가 무엇인지 잘 모른다고 답한 겁니다.

그다음은 ‘내 강점과 약점을 몰라서’(초등학생 20.9%, 중학생 19.8%, 고등학생 29.7%)가 꼽혔습니다.

흥미와 적성, 희망 직업 등 진로에 관해 일주일에 한 번 이상 부모와 대화를 나누는 경우는 고등학생이 73.2%로 가장 높고, 중학생(65.3%), 초등학생(59.1%) 순이었습니다.

그중 거의 매일 부모와 진로 문제를 놓고 대화한다는 비중은 고등학생 23.3%, 중학생 20.0%, 초등학생 18.0%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고등학생의 창업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는 추세로 나타났습니다. 고등학교 졸업 후 창업을 진로 계획으로 세운 비율은 5.2%로, 1년 전(2.9%)보다도 2.3%포인트 높아졌습니다. 2015년(1.0%)보다는 4.2%포인트 확대됐습니다.

고등학생 중에서 창업에 관심 있다는 학생 비율도 41.5%로, 지난해(35.7%)보다 5.8%포인트 확대됐습니다.

한편 학생 1인당 진로 교육 예산은 초등학교 2만 5천600원, 중학교 7만 9천 원, 고등학교 6만 1천400원으로 조사됐습니다.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과 진로정보망 홈페이지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을 통해 제공할 예정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뭘 좋아하고 잘하는지 몰라서’…중학생 41% “희망 직업 없다”
    • 입력 2023-11-26 11:06:44
    • 수정2023-11-26 11:15:01
    사회
중학생의 40%는 스스로 뭘 좋아하고 잘하는지 몰라서 희망 직업을 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희망 직업이 있는 학생 중에선 초등학생의 경우 운동선수,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선 교사가 가장 선호되는 거로 조사됐습니다.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지난 6월 5일부터 7월 18일까지 초·중·고 1천200개교의 학생(2만 3천300명)·학부모(1만 2천202명)·교원(2천800명)을 온라인 조사한 ‘2023년 초·중등 진로 교육 현황조사’ 결과를 오늘(26일) 발표했습니다.

■ ‘교사’ 초중고 희망직업 톱3 포함…‘공무원’ 10위 아래로

조사 결과를 보면, 초등학생 희망 직업 1위는 운동선수(13.4%)였습니다.

운동선수는 2019년부터 초등학생 희망 직업 맨 꼭대기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위는 의사(7.1%)로, 지난해보다 2계단 상승했고 3위는 교사(5.4%)로 한 계단 내려왔습니다.

4위는 크리에이터(5.2%)가, 5위는 요리사/조리사(4.2%)가 각각 차지했습니다.

중학생의 희망 직업 1∼5위는 교사(9.1%), 의사(6.1%), 운동선수(5.5%), 경찰관/수사관(3.8%), 컴퓨터공학자/소프트웨어 개발자(2.6%) 순으로 지난해와 같았습니다.

고등학생의 경우 희망 직업 1위는 교사(6.3%), 2위는 간호사(5.9%)로 지난해와 차이가 없었습니다.

다만 3위는 지난해보다 6순위 상승한 생명과학자 및 연구원(3.7%)이 차지했고, 4위는 컴퓨터공학자/소프트웨어 개발자(3.6%), 5위는 의사(3.1%)로 조사됐습니다.

교사가 초·중·고생 희망 직업에서 모두 ‘톱3’에 오른 가운데, 이번 조사는 지난 7월 말 서울 서초구 교사 사망 이전에 이뤄져 교권 침해 이슈 등이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공무원은 초·중·고 희망 직업 ‘톱10’에 모두 들지 못했습니다.

반면 컴퓨터 공학자 등 신산업 분야 직업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입체(3D) 프린팅 전문가, 드론 전문가, 로봇공학자, 빅데이터·통계 분석 전문가 등 11개 신산업 분야 직업을 희망하는 학생 비중은 중학생의 경우 5.3%로, 10년 전과 비교하면 1.5배로 늘었습니다.

고등학생에선 11.6%로 같은 기간 3배 증가했습니다.

■ “희망 직업 없다.” 비중 상승…이유는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몰라서’

반면 희망 직업이 없다는 학생은 초등학생 20.7%, 중학생 41%, 고등학생 25.5%에 달했습니다.

특히 희망 직업 없다는 중학생 비중은 2018년 이래로 매년 상승하며 최근 10년간 가장 높은 수준이 됐습니다.

희망 직업이 없다고 응답한 학생들에게 그 이유를 조사한 결과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아직 잘 몰라서’가 가장 많았습니다.

초등학생의 43.9%, 중학생의 54.6%, 고등학생의 40.2%는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가 무엇인지 잘 모른다고 답한 겁니다.

그다음은 ‘내 강점과 약점을 몰라서’(초등학생 20.9%, 중학생 19.8%, 고등학생 29.7%)가 꼽혔습니다.

흥미와 적성, 희망 직업 등 진로에 관해 일주일에 한 번 이상 부모와 대화를 나누는 경우는 고등학생이 73.2%로 가장 높고, 중학생(65.3%), 초등학생(59.1%) 순이었습니다.

그중 거의 매일 부모와 진로 문제를 놓고 대화한다는 비중은 고등학생 23.3%, 중학생 20.0%, 초등학생 18.0%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고등학생의 창업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는 추세로 나타났습니다. 고등학교 졸업 후 창업을 진로 계획으로 세운 비율은 5.2%로, 1년 전(2.9%)보다도 2.3%포인트 높아졌습니다. 2015년(1.0%)보다는 4.2%포인트 확대됐습니다.

고등학생 중에서 창업에 관심 있다는 학생 비율도 41.5%로, 지난해(35.7%)보다 5.8%포인트 확대됐습니다.

한편 학생 1인당 진로 교육 예산은 초등학교 2만 5천600원, 중학교 7만 9천 원, 고등학교 6만 1천400원으로 조사됐습니다.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과 진로정보망 홈페이지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을 통해 제공할 예정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