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설 과학기술수석실 “디지털과 바이오로 규모 키운다”

입력 2023.12.01 (06:35) 수정 2023.12.01 (06: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 대통령실 개편에서 눈에 띄는 건 신설되는 과학기술수석입니다.

연초까진 구성을 마치겠다고 했는데 디지털과 바이오 분야를 중심으로 규모를 확대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김영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신설될 과학기술수석비서관실은 산하 4개 비서관, 20여 명의 인력으로 구성됩니다.

디지털과 바이오가 핵심 분야입니다.

디지털 분야에서는 정부 초거대 AI 등 정부 데이터 활용 능력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윤석열 정부 1호 공약인 '디지털플랫폼 정부' 구현을 위한 본격적인 작업입니다.

또 다른 축인 바이오 분야에서는 반도체 이후 정체된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해, AI기술과 바이오를 결합한 '디지털 바이오', 바이오 의료 등을 통한 새로운 '바이오 경제' 활성화에 주력한다는 계획입니다.

최근 정부 행정망 먹통 사태와 R&D 예산 삭감 논란도 있었던 만큼, 과학기술 분야 전체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기 위해 기존 비서관에서 수석비서관으로 격상하고 규모도 함께 키운다는 구상입니다.

[지난달 27일 국무회의 : "저성장의 늪에서 빠져나와 세계 최고를 지향하는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연구에 투자해서 우리 미래의 성장과 번영을 앞당겨야 할 것입니다."]

신임 과학기술수석에는 유지상 전 광운대 총장과 이용훈 유니스트 총장 등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고 여권 고위 관계자는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김영은입니다.

촬영기자:송상엽 권순두/영상편집:신남규/그래픽:김성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신설 과학기술수석실 “디지털과 바이오로 규모 키운다”
    • 입력 2023-12-01 06:35:39
    • 수정2023-12-01 06:39:55
    뉴스광장 1부
[앵커]

이번 대통령실 개편에서 눈에 띄는 건 신설되는 과학기술수석입니다.

연초까진 구성을 마치겠다고 했는데 디지털과 바이오 분야를 중심으로 규모를 확대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김영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신설될 과학기술수석비서관실은 산하 4개 비서관, 20여 명의 인력으로 구성됩니다.

디지털과 바이오가 핵심 분야입니다.

디지털 분야에서는 정부 초거대 AI 등 정부 데이터 활용 능력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윤석열 정부 1호 공약인 '디지털플랫폼 정부' 구현을 위한 본격적인 작업입니다.

또 다른 축인 바이오 분야에서는 반도체 이후 정체된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해, AI기술과 바이오를 결합한 '디지털 바이오', 바이오 의료 등을 통한 새로운 '바이오 경제' 활성화에 주력한다는 계획입니다.

최근 정부 행정망 먹통 사태와 R&D 예산 삭감 논란도 있었던 만큼, 과학기술 분야 전체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기 위해 기존 비서관에서 수석비서관으로 격상하고 규모도 함께 키운다는 구상입니다.

[지난달 27일 국무회의 : "저성장의 늪에서 빠져나와 세계 최고를 지향하는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연구에 투자해서 우리 미래의 성장과 번영을 앞당겨야 할 것입니다."]

신임 과학기술수석에는 유지상 전 광운대 총장과 이용훈 유니스트 총장 등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고 여권 고위 관계자는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김영은입니다.

촬영기자:송상엽 권순두/영상편집:신남규/그래픽:김성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