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탄핵 악행”…야 “꼼수 사퇴”

입력 2023.12.01 (21:03) 수정 2023.12.01 (21: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에 대한 탄핵안은 사라졌는데 여야는 오늘(1일)도 공방을 계속했습니다.

위원 1명만 남게된 방통위는 당분간 제 기능을 하기 힘들 전망입니다.

보도에 정재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민의힘은 '탄핵 중독', '탄핵 남발'이라며 더불어민주당을 거세게 비난했습니다.

'불법 탄핵 악행'을 멈추라고 밝혔습니다.

[김기현/국민의힘 대표 : "지난 11월 한 달 동안 민주당이 공식적으로 거론한 탄핵이 무려 41번이나 됩니다. 매일 1번 이상씩 탄핵을…."]

이동관 위원장의 사의를 수용하지 말라고 민주당이 대통령을 압박한 것도 비판했습니다.

[윤재옥/국민의힘 원내대표 : "그만두라고 할 때는 언제고, 스스로 물러나니 사표를 수리하지 말라는 게 무슨 코미디입니까?"]

방통위 마비가 탄핵의 목적이었다는 거를 스스로 인정했다는 게 국민의힘 시각,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이 위원장 사퇴가 방송 장악을 이어나가려는 꼼수라고 했습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 : "이동관의 아바타를 임명하기 위해서 이렇게 국회를 무시하고 사퇴시키는 꼼수로 국정을 훼손하고…."]

사표를 수리할 게 아니라 파면했어야 한다고도 주장했습니다.

[홍익표/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범죄 혐의가 인용될 것을 우려해서 이동관의 뺑소니를 사표 수리란 이름으로 허용한 것은 매우 잘못됐습니다."]

정의당도 정당한 법 절차를 밟으려던 국회의 뒤통수를 쳤다고 비판했습니다.

방통위는 당장 지상파 방송국 재허가 등 처리해야 할 과제가 쌓였는데 의결 기능이 중단되면서 사실상 개점 휴업에 상태에 놓이게 됐습니다.

탄핵을 놓고 그동안 여야가 벌인 극한 대치로 예산과 민생 법안들만 멈춰선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

KBS 뉴스 정재우입니다.

촬영기자:임동수·윤재구/영상편집:김유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 “탄핵 악행”…야 “꼼수 사퇴”
    • 입력 2023-12-01 21:03:53
    • 수정2023-12-01 21:11:22
    뉴스 9
[앵커]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에 대한 탄핵안은 사라졌는데 여야는 오늘(1일)도 공방을 계속했습니다.

위원 1명만 남게된 방통위는 당분간 제 기능을 하기 힘들 전망입니다.

보도에 정재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민의힘은 '탄핵 중독', '탄핵 남발'이라며 더불어민주당을 거세게 비난했습니다.

'불법 탄핵 악행'을 멈추라고 밝혔습니다.

[김기현/국민의힘 대표 : "지난 11월 한 달 동안 민주당이 공식적으로 거론한 탄핵이 무려 41번이나 됩니다. 매일 1번 이상씩 탄핵을…."]

이동관 위원장의 사의를 수용하지 말라고 민주당이 대통령을 압박한 것도 비판했습니다.

[윤재옥/국민의힘 원내대표 : "그만두라고 할 때는 언제고, 스스로 물러나니 사표를 수리하지 말라는 게 무슨 코미디입니까?"]

방통위 마비가 탄핵의 목적이었다는 거를 스스로 인정했다는 게 국민의힘 시각,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이 위원장 사퇴가 방송 장악을 이어나가려는 꼼수라고 했습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 : "이동관의 아바타를 임명하기 위해서 이렇게 국회를 무시하고 사퇴시키는 꼼수로 국정을 훼손하고…."]

사표를 수리할 게 아니라 파면했어야 한다고도 주장했습니다.

[홍익표/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범죄 혐의가 인용될 것을 우려해서 이동관의 뺑소니를 사표 수리란 이름으로 허용한 것은 매우 잘못됐습니다."]

정의당도 정당한 법 절차를 밟으려던 국회의 뒤통수를 쳤다고 비판했습니다.

방통위는 당장 지상파 방송국 재허가 등 처리해야 할 과제가 쌓였는데 의결 기능이 중단되면서 사실상 개점 휴업에 상태에 놓이게 됐습니다.

탄핵을 놓고 그동안 여야가 벌인 극한 대치로 예산과 민생 법안들만 멈춰선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

KBS 뉴스 정재우입니다.

촬영기자:임동수·윤재구/영상편집:김유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