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위 속 연탄 나눔 시작됐지만…기부는 ‘반토막’

입력 2023.12.01 (21:20) 수정 2023.12.01 (22: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올해 연탄 한 장에 지난해보다 백원이 올라서 연탄 사용하는 저소득층 부담이 커졌습니다.

취약계층을 위한 전국 연탄은행 기부 규모도 절반으로 줄었다고 합니다.

김예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단독주택에 홀로 살며 연탄 난방을 하는 유유순 할머니.

추위 속 겨울을 나려면 하루에 연탄 8장이 필요합니다.

연탄 한 장 값이 지난해보다 백 원이 올라 그마저 양껏 땔 수 없습니다.

[유유순/대전시 판암동 : "엄청 추워요, 연탄 안 때면. 연탄 안 주면 사서 때려면 부담이 되죠."]

전국에서 7만 4천여 가구가 이렇게 연탄을 때는데요.

한 가정이 겨울을 나려면 한 달에 연탄 240장 정도가 필요합니다.

["계속 하세요."]

올해도 어김없이 연탄 나눔은 이어졌습니다.

영하의 날씨, 좁은 골목길에서 이웃을 위해 굵은 땀방울을 쏟아냈습니다.

[박우영/연탄 나눔 자원봉사자 : "많이 추워져서 여기 와 보니까 조금 걱정이 많이 되더라고요. 지대가 높기도 하고 그리고 이제 따뜻한 연탄 때시면서…"]

하지만 올해는 연탄 기부가 크게 줄면서 연탄 나눔도 어려움에 부딪혔습니다.

지금까지 전국연탄은행에 기부된 연탄은 159만 장, 지난해 같은 기간 330만 장의 절반도 안 됩니다.

연탄은행은 연탄 나눔 목표치를 지난해보다 25%가량 낮췄습니다.

[신원규/대전연탄은행 대표 : "경제적인 어려움도 있었고 후원을 하는 업체들도 반으로 줄여서 연탄 후원을 해 주니까…"]

사비로 연탄을 사야 하는 데다 자원봉사자도 줄어드는 상황, 어려운 이웃의 겨울나기가 더욱 힘겨워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예은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추위 속 연탄 나눔 시작됐지만…기부는 ‘반토막’
    • 입력 2023-12-01 21:20:09
    • 수정2023-12-01 22:10:50
    뉴스 9
[앵커]

올해 연탄 한 장에 지난해보다 백원이 올라서 연탄 사용하는 저소득층 부담이 커졌습니다.

취약계층을 위한 전국 연탄은행 기부 규모도 절반으로 줄었다고 합니다.

김예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단독주택에 홀로 살며 연탄 난방을 하는 유유순 할머니.

추위 속 겨울을 나려면 하루에 연탄 8장이 필요합니다.

연탄 한 장 값이 지난해보다 백 원이 올라 그마저 양껏 땔 수 없습니다.

[유유순/대전시 판암동 : "엄청 추워요, 연탄 안 때면. 연탄 안 주면 사서 때려면 부담이 되죠."]

전국에서 7만 4천여 가구가 이렇게 연탄을 때는데요.

한 가정이 겨울을 나려면 한 달에 연탄 240장 정도가 필요합니다.

["계속 하세요."]

올해도 어김없이 연탄 나눔은 이어졌습니다.

영하의 날씨, 좁은 골목길에서 이웃을 위해 굵은 땀방울을 쏟아냈습니다.

[박우영/연탄 나눔 자원봉사자 : "많이 추워져서 여기 와 보니까 조금 걱정이 많이 되더라고요. 지대가 높기도 하고 그리고 이제 따뜻한 연탄 때시면서…"]

하지만 올해는 연탄 기부가 크게 줄면서 연탄 나눔도 어려움에 부딪혔습니다.

지금까지 전국연탄은행에 기부된 연탄은 159만 장, 지난해 같은 기간 330만 장의 절반도 안 됩니다.

연탄은행은 연탄 나눔 목표치를 지난해보다 25%가량 낮췄습니다.

[신원규/대전연탄은행 대표 : "경제적인 어려움도 있었고 후원을 하는 업체들도 반으로 줄여서 연탄 후원을 해 주니까…"]

사비로 연탄을 사야 하는 데다 자원봉사자도 줄어드는 상황, 어려운 이웃의 겨울나기가 더욱 힘겨워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예은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