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소비 역대 최고 전망…올 겨울 문제 없나?

입력 2023.12.02 (06:50) 수정 2023.12.02 (08: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본격적으로 추위가 시작되면서 집집마다 난방 시작하셨을텐데요, 지난 겨울엔 '난방비 대란'이라고 할 정도로 연료비 부담이 컸는데, 올 겨울은 어떨까요?

김지숙 기자가 전망했습니다.

[리포트]

아침 일찍부터 동네 어르신들이 경로당에 나왔습니다.

친구도 만나고, 게임도 할 수 있지만 무엇보다 난방비 걱정을 덜 수 있습니다.

[김옥경/서울 양천구 : "지난해에 보니까 (보일러를) 외출로만 해놓고 틀었는데도 십 몇만 원 나왔어요. 그래서 아예 끄고 살아요."]

'난방비 대란'을 겪었던 지난 겨울.

극심한 한파에 가스 요금과 전기 요금이 크게 오른 게 원인이었습니다.

최대전력수요가 가장 높았던 건 지난해 12월, 94.5GW(기가 와트)였습니다.

그런데 올 겨울엔 이보다 더 높은 97.2GW까지 기록할 수 있단 전망이 나왔습니다.

정부는 신한울 원전 2호기의 시운전 시기를 가장 추울 것으로 예상되는 1월 중순에 맞춰 예비 전력을 최대한 확보하기로 했습니다.

[방문규/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북극 한파와 폭설이 동시에 발생하면서 피크(정점) 수요가 실현되면 예비력은 8.7GW까지 낮아질 수 있겠습니다."]

전력 수요가 많아지면 그만큼 난방비 부담도 늘어납니다.

전기와 가스 요금은 이미 올해 2분기 각각 한차례씩 올라, 이전과 같은 양을 써도 4인 가구 기준 평균 7천 원 넘게 더 내고 있는 상황입니다.

정부는 우선 내년 봄까지 취약계층에 평균 30만 원의 난방비를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겨울부터는 어린이집을 가스 요금 할인 대상에 포함시키고, 지자체에서는 경로당에 한 달 최대 40만 원까지 난방비를 지원합니다.

정부는 또 전기나 가스를 절약하면 요금 일부를 돌려주는 캐시백 제도도 계속 운영한다는 방침입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문아미 황종원/영상편집:차정남/그래픽:김지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력 소비 역대 최고 전망…올 겨울 문제 없나?
    • 입력 2023-12-02 06:50:37
    • 수정2023-12-02 08:16:20
    뉴스광장 1부
[앵커]

본격적으로 추위가 시작되면서 집집마다 난방 시작하셨을텐데요, 지난 겨울엔 '난방비 대란'이라고 할 정도로 연료비 부담이 컸는데, 올 겨울은 어떨까요?

김지숙 기자가 전망했습니다.

[리포트]

아침 일찍부터 동네 어르신들이 경로당에 나왔습니다.

친구도 만나고, 게임도 할 수 있지만 무엇보다 난방비 걱정을 덜 수 있습니다.

[김옥경/서울 양천구 : "지난해에 보니까 (보일러를) 외출로만 해놓고 틀었는데도 십 몇만 원 나왔어요. 그래서 아예 끄고 살아요."]

'난방비 대란'을 겪었던 지난 겨울.

극심한 한파에 가스 요금과 전기 요금이 크게 오른 게 원인이었습니다.

최대전력수요가 가장 높았던 건 지난해 12월, 94.5GW(기가 와트)였습니다.

그런데 올 겨울엔 이보다 더 높은 97.2GW까지 기록할 수 있단 전망이 나왔습니다.

정부는 신한울 원전 2호기의 시운전 시기를 가장 추울 것으로 예상되는 1월 중순에 맞춰 예비 전력을 최대한 확보하기로 했습니다.

[방문규/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북극 한파와 폭설이 동시에 발생하면서 피크(정점) 수요가 실현되면 예비력은 8.7GW까지 낮아질 수 있겠습니다."]

전력 수요가 많아지면 그만큼 난방비 부담도 늘어납니다.

전기와 가스 요금은 이미 올해 2분기 각각 한차례씩 올라, 이전과 같은 양을 써도 4인 가구 기준 평균 7천 원 넘게 더 내고 있는 상황입니다.

정부는 우선 내년 봄까지 취약계층에 평균 30만 원의 난방비를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겨울부터는 어린이집을 가스 요금 할인 대상에 포함시키고, 지자체에서는 경로당에 한 달 최대 40만 원까지 난방비를 지원합니다.

정부는 또 전기나 가스를 절약하면 요금 일부를 돌려주는 캐시백 제도도 계속 운영한다는 방침입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문아미 황종원/영상편집:차정남/그래픽:김지혜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