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칼럼 “한국 인구 감소, 중세 유럽 흑사병 때보다 심각” [잇슈 SNS]

입력 2023.12.04 (06:51) 수정 2023.12.04 (07: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 세계 소셜미디어와 변화무쌍한 인터넷 세상에서 어떤 이슈와 영상들이 누리꾼의 주목을 받았을까요?

첫 번째는 흑사병 창궐로 인구가 급감했던 중세 유럽 때보다 더 심각하다고 지적되는 한국의 저출생 실태입니다.

지난 12월 2일 미국 대표 일간지 뉴욕 타임스에 기고된 칼럼입니다.

'한국은 사라지고 있는가'라는 제목의 이 칼럼에선 한국의 올해 3분기 합계 출산율이 0.7명 수준까지 떨어졌다며 선진국 대부분이 인구감소 문제를 안고 있지만 한국은 가장 두드러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고 전했는데요.

그러면서 이와 같은 인구 급감 속도는 흑사병 창궐로 인구가 감소했던 14세기 중세 유럽을 능가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더불어 2060년대 후반에는 우리나라 인구가 3,500만 명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는 인구 추계를 인용하면서 이대로라면 한국은 경제 위기는 물론 현재 합계 출산율이 1.8명 수준인 북한에게 침공당할 가능성도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해당 칼럼에선 한국의 이런 이례적인 저출생 원인도 조명했는데요.

첫 번째는 한국 특유의 가혹한 입시 경쟁 문화를 꼽았고요.

보수적인 사회 분위기와 극심한 남녀 갈등, 또 인터넷 게임 문화 등이 혼인율 하락으로 이어졌을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NYT 칼럼 “한국 인구 감소, 중세 유럽 흑사병 때보다 심각” [잇슈 SNS]
    • 입력 2023-12-04 06:51:53
    • 수정2023-12-04 07:00:34
    뉴스광장 1부
전 세계 소셜미디어와 변화무쌍한 인터넷 세상에서 어떤 이슈와 영상들이 누리꾼의 주목을 받았을까요?

첫 번째는 흑사병 창궐로 인구가 급감했던 중세 유럽 때보다 더 심각하다고 지적되는 한국의 저출생 실태입니다.

지난 12월 2일 미국 대표 일간지 뉴욕 타임스에 기고된 칼럼입니다.

'한국은 사라지고 있는가'라는 제목의 이 칼럼에선 한국의 올해 3분기 합계 출산율이 0.7명 수준까지 떨어졌다며 선진국 대부분이 인구감소 문제를 안고 있지만 한국은 가장 두드러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고 전했는데요.

그러면서 이와 같은 인구 급감 속도는 흑사병 창궐로 인구가 감소했던 14세기 중세 유럽을 능가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더불어 2060년대 후반에는 우리나라 인구가 3,500만 명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는 인구 추계를 인용하면서 이대로라면 한국은 경제 위기는 물론 현재 합계 출산율이 1.8명 수준인 북한에게 침공당할 가능성도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해당 칼럼에선 한국의 이런 이례적인 저출생 원인도 조명했는데요.

첫 번째는 한국 특유의 가혹한 입시 경쟁 문화를 꼽았고요.

보수적인 사회 분위기와 극심한 남녀 갈등, 또 인터넷 게임 문화 등이 혼인율 하락으로 이어졌을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