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중국 성장 주변국 영향 축소…이제 특수 누리기 어려워”

입력 2023.12.04 (12:07) 수정 2023.12.04 (12: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중국 경제 성장에 힘입어 우리 수출이 늘어나고 우리 경제 역시 성장하는 이른바 중국 특수를 이제는 누리기 어려울 거라는 한국은행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중국에 치우친 우리 수출 구조를 빨리 개선해야 하는 시점입니다.

김혜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국은행은 중국 성장구조 전환 과정과 그 파급 영향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보고서의 핵심은 앞으로 우리나라가 과거와 같은 중국 특수를 누리기 어렵다는 겁니다.

한국은행은 이 원인을 중국의 성장구조 전환에서 찾았습니다.

2010년대 중반 이후 중국은 부동산 위주의 투자에서 소비와 첨단산업 위주로 성장 동력을 바꿨습니다.

이에 따라 부동산 부문의 침체가 이어지면서 섬유와 의류, 컴퓨터 등 기존 산업은 축소됐습니다.

반면 전기차와 이차전지, 태양광 등 신성장산업이 크게 성장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중국의 성장에 따라 수입이 증가하는 정도를 뜻하는 '수입유발계수'가 2017년보다 2020년에 하락했는데 우리로서는 대중국 수출 증가 효과가 떨어진다는 의미입니다.

나아가 경제 성장의 효과가 중국 자국 내에 한정되는 효과도 나타났습니다.

중국 최종수요가 자국 내 부가가치를 유발하는 비중은 2018년 86%대에서 2020년 87%대로 늘어난 반면,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변국의 경우 해당 비율이 하락했습니다.

한국은행은 중국의 중간재 자립도와 기술 경쟁력이 높아진 점도 언급했습니다.

전기차를 중심으로 세계 최대 자동차 수출국이 되는 등 기술 개발로 경쟁력을 높인 중국이 세계 시장에서 우리와 경쟁을 확대할 거란 전망입니다.

한국은행은 우리가 대중 수출을 소비재 중심으로 확대하고, 중국에 편중된 수출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제시했습니다.

KBS 뉴스 김혜주입니다.

영상편집:김기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은 “중국 성장 주변국 영향 축소…이제 특수 누리기 어려워”
    • 입력 2023-12-04 12:07:40
    • 수정2023-12-04 12:15:35
    뉴스 12
[앵커]

중국 경제 성장에 힘입어 우리 수출이 늘어나고 우리 경제 역시 성장하는 이른바 중국 특수를 이제는 누리기 어려울 거라는 한국은행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중국에 치우친 우리 수출 구조를 빨리 개선해야 하는 시점입니다.

김혜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국은행은 중국 성장구조 전환 과정과 그 파급 영향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보고서의 핵심은 앞으로 우리나라가 과거와 같은 중국 특수를 누리기 어렵다는 겁니다.

한국은행은 이 원인을 중국의 성장구조 전환에서 찾았습니다.

2010년대 중반 이후 중국은 부동산 위주의 투자에서 소비와 첨단산업 위주로 성장 동력을 바꿨습니다.

이에 따라 부동산 부문의 침체가 이어지면서 섬유와 의류, 컴퓨터 등 기존 산업은 축소됐습니다.

반면 전기차와 이차전지, 태양광 등 신성장산업이 크게 성장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중국의 성장에 따라 수입이 증가하는 정도를 뜻하는 '수입유발계수'가 2017년보다 2020년에 하락했는데 우리로서는 대중국 수출 증가 효과가 떨어진다는 의미입니다.

나아가 경제 성장의 효과가 중국 자국 내에 한정되는 효과도 나타났습니다.

중국 최종수요가 자국 내 부가가치를 유발하는 비중은 2018년 86%대에서 2020년 87%대로 늘어난 반면,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변국의 경우 해당 비율이 하락했습니다.

한국은행은 중국의 중간재 자립도와 기술 경쟁력이 높아진 점도 언급했습니다.

전기차를 중심으로 세계 최대 자동차 수출국이 되는 등 기술 개발로 경쟁력을 높인 중국이 세계 시장에서 우리와 경쟁을 확대할 거란 전망입니다.

한국은행은 우리가 대중 수출을 소비재 중심으로 확대하고, 중국에 편중된 수출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제시했습니다.

KBS 뉴스 김혜주입니다.

영상편집:김기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