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7개국서 대사관 철수…“외화벌이 막히며 재정난 심화”

입력 2023.12.05 (16:04) 수정 2023.12.05 (16: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 올해 10월부터 7개국에서 대사관을 철수한 거로 확인됐습니다.

외교부 관계자는 오늘(5일) 기자들에게 이같이 밝히며 “북한이 해외에 설치한 공관은 총 53개에서 46개로 줄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북한이 대사관을 철수한 국가는 기니, 네팔, 방글라데시, 세네갈, 스페인, 앙골라, 우간다입니다.

아프리카가 4개국으로 가장 많고, 서남아시아 2개국, 유럽 1개국입니다.

일부 지역 대사관 폐쇄는 외신 등을 통해 알려졌지만, 기니와 세네갈 대사관 폐쇄 사실은 오늘 처음 공개됐습니다.

외교부는 △주재국에 철수 의사 공식 통보 △공관 건물에서 인공기나 현판 제거 △공관원 전원 출국 등 3개 조건을 모두 충족한 경우 공관 철수가 완료됐다고 판단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일부 외신이 북한이 콩고민주공화국 대사관과 홍콩 총영사관도 폐쇄했다고 보도했으나, 외교부는 아직 철수 철차가 완전히 끝나지 않은 거로 판단하는 거로 전해졌습니다.

2017년 6차 핵실험 이후 북한 외교관을 모두 추방한 페루의 경우에도 현지에는 아직 북한대사관 건물이 유지되고 있고 현판도 달려있는 거로 알려졌습니다.

외교부 관계자는 해외에서의 외화벌이 차단 등 북한의 경제난이 연이은 공관 폐쇄 원인이라고 추정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국제사회 대북제재 강화로 인해 재외공관에서의 외화벌이 어려움이 가중되고 재정난이 있었다”며 “또한 우리나라와 국제사회의 북한에 대한 불법자금 획득 차단 노력이 어느 정도 효과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북한이 재외공관 개편을 단행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북한의 불법 외화벌이가 지속되며 일부 국가들과의 관계가 악화한 것 역시 대사관 폐쇄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됩니다.

특히 북한의 외화벌이 및 밀수 거점지역이었던 아프리카에서도 관련 활동이 차단된 상황에서 “북한이 운영비조차 조달하기 어렵기 때문에 (공관을 폐쇄)하지 않았나”라고 외교부 관계자는 덧붙였습니다.

북한은 향후 폐쇄한 대사관 기능을 흡수한 ‘거점공관’을 운영하는 한편, 우호국에 설치된 대사관 기능을 강화할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외교부 관계자는 “러시아 공관이나 총영사관에서의 활동이 조금 더 활발해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답했습니다.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지난달 이같은 대사관 폐쇄를 ‘조절사업’이라고 표현하며 “외교적 역량을 효율적으로 재배치하고 운용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한편 북한은 올해 7월 독재정권 집권으로 미국을 제재를 받고 있는 남미국가 니카라과와 상호 대사관 개설에 합의했는데, 정부는 양측이 실제 공관을 개설할지는 미지수로 보는 거로 알려졌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한, 7개국서 대사관 철수…“외화벌이 막히며 재정난 심화”
    • 입력 2023-12-05 16:04:17
    • 수정2023-12-05 16:14:09
    정치
북한이 올해 10월부터 7개국에서 대사관을 철수한 거로 확인됐습니다.

외교부 관계자는 오늘(5일) 기자들에게 이같이 밝히며 “북한이 해외에 설치한 공관은 총 53개에서 46개로 줄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북한이 대사관을 철수한 국가는 기니, 네팔, 방글라데시, 세네갈, 스페인, 앙골라, 우간다입니다.

아프리카가 4개국으로 가장 많고, 서남아시아 2개국, 유럽 1개국입니다.

일부 지역 대사관 폐쇄는 외신 등을 통해 알려졌지만, 기니와 세네갈 대사관 폐쇄 사실은 오늘 처음 공개됐습니다.

외교부는 △주재국에 철수 의사 공식 통보 △공관 건물에서 인공기나 현판 제거 △공관원 전원 출국 등 3개 조건을 모두 충족한 경우 공관 철수가 완료됐다고 판단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일부 외신이 북한이 콩고민주공화국 대사관과 홍콩 총영사관도 폐쇄했다고 보도했으나, 외교부는 아직 철수 철차가 완전히 끝나지 않은 거로 판단하는 거로 전해졌습니다.

2017년 6차 핵실험 이후 북한 외교관을 모두 추방한 페루의 경우에도 현지에는 아직 북한대사관 건물이 유지되고 있고 현판도 달려있는 거로 알려졌습니다.

외교부 관계자는 해외에서의 외화벌이 차단 등 북한의 경제난이 연이은 공관 폐쇄 원인이라고 추정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국제사회 대북제재 강화로 인해 재외공관에서의 외화벌이 어려움이 가중되고 재정난이 있었다”며 “또한 우리나라와 국제사회의 북한에 대한 불법자금 획득 차단 노력이 어느 정도 효과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북한이 재외공관 개편을 단행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북한의 불법 외화벌이가 지속되며 일부 국가들과의 관계가 악화한 것 역시 대사관 폐쇄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됩니다.

특히 북한의 외화벌이 및 밀수 거점지역이었던 아프리카에서도 관련 활동이 차단된 상황에서 “북한이 운영비조차 조달하기 어렵기 때문에 (공관을 폐쇄)하지 않았나”라고 외교부 관계자는 덧붙였습니다.

북한은 향후 폐쇄한 대사관 기능을 흡수한 ‘거점공관’을 운영하는 한편, 우호국에 설치된 대사관 기능을 강화할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외교부 관계자는 “러시아 공관이나 총영사관에서의 활동이 조금 더 활발해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답했습니다.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지난달 이같은 대사관 폐쇄를 ‘조절사업’이라고 표현하며 “외교적 역량을 효율적으로 재배치하고 운용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한편 북한은 올해 7월 독재정권 집권으로 미국을 제재를 받고 있는 남미국가 니카라과와 상호 대사관 개설에 합의했는데, 정부는 양측이 실제 공관을 개설할지는 미지수로 보는 거로 알려졌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