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딩”에 “외유성 출장”…세금 허투루 쓴 공무원 적발

입력 2023.12.05 (21:03) 수정 2023.12.06 (07: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12월 5일 9시 뉴스입니다.

오늘(5일)은 국민 세금이 낭비되고 있는 실태를 적발한 국민권익위원회 뉴스로 시작합니다.

안전용품을 살 예산으로 패딩이나 등산화를 사고, 가짜 거래명세서로 개인 스마트워치를 산 부패행위가 권익위 조사로 드러났습니다.

권익위는 제보를 토대로 조사를 시작했는데 공공기관 14곳이 적발됐습니다.

김영은 기자가 첫 소식 보도합니다.

[리포트]

유명 아웃도어 상표가 붙은 수십만 원대의 등산 의류, 한 켤레 20~30만 원짜리 등산화도 눈에 띕니다.

모두 한 자치단체 공무원이 사들인 물품입니다.

현장 감독 공무원만 안전모 같은 안전용품을 살 때 쓸 수 있는 시설부대비로 산 건데 공금으로 개인용품을 마련한 겁니다.

공사 현장 업무가 아닌데도 이런 식으로 방한복, 신발 등을 산 공무원들까지 9개 자치단체에서 867회에 걸쳐 6억 4천만 원을 썼습니다.

문구점에서 가짜 거래명세서를 끊어 개인 스마트워치를 사거나, 수령 인원을 부풀려 방한복 두 벌을 챙겨간 공무원도 있었습니다.

공사와 관련 없는 해외출장비를 시설부대비로 쓰기도 했는데 직원 16명이 1억 천만 원을 들여 네덜란드, 벨기에 등 8박 9일 유럽 해외출장을 다녀온 사례도 나왔습니다.

[정승윤/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 "시설부대비는 국민의 세금인 만큼 개인이 부당하게 지급받는 것은 전형적인 부패행위로서..."]

2020년부터 올해 8월까지 14개 공공기관에서 공무원 천3백여 명이 세금 12억 원을 부당하게 쓴 것으로 권익위는 파악했습니다.

적발된 기관들 가운데 철도공단은 이미 정부 부처 경고를 받아 제도를 개선하고 있다고 밝혔고 농어촌공사는 지자체 발주 사업을 통해 받은 수수료 성격의 사업관리비로 업무 출장을 다녀온 것이라고 해명했습니다.

KBS 뉴스 김영은입니다.

촬영기자:이호/영상편집:김형기/그래픽: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패딩”에 “외유성 출장”…세금 허투루 쓴 공무원 적발
    • 입력 2023-12-05 21:03:22
    • 수정2023-12-06 07:52:44
    뉴스 9
[앵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12월 5일 9시 뉴스입니다.

오늘(5일)은 국민 세금이 낭비되고 있는 실태를 적발한 국민권익위원회 뉴스로 시작합니다.

안전용품을 살 예산으로 패딩이나 등산화를 사고, 가짜 거래명세서로 개인 스마트워치를 산 부패행위가 권익위 조사로 드러났습니다.

권익위는 제보를 토대로 조사를 시작했는데 공공기관 14곳이 적발됐습니다.

김영은 기자가 첫 소식 보도합니다.

[리포트]

유명 아웃도어 상표가 붙은 수십만 원대의 등산 의류, 한 켤레 20~30만 원짜리 등산화도 눈에 띕니다.

모두 한 자치단체 공무원이 사들인 물품입니다.

현장 감독 공무원만 안전모 같은 안전용품을 살 때 쓸 수 있는 시설부대비로 산 건데 공금으로 개인용품을 마련한 겁니다.

공사 현장 업무가 아닌데도 이런 식으로 방한복, 신발 등을 산 공무원들까지 9개 자치단체에서 867회에 걸쳐 6억 4천만 원을 썼습니다.

문구점에서 가짜 거래명세서를 끊어 개인 스마트워치를 사거나, 수령 인원을 부풀려 방한복 두 벌을 챙겨간 공무원도 있었습니다.

공사와 관련 없는 해외출장비를 시설부대비로 쓰기도 했는데 직원 16명이 1억 천만 원을 들여 네덜란드, 벨기에 등 8박 9일 유럽 해외출장을 다녀온 사례도 나왔습니다.

[정승윤/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 "시설부대비는 국민의 세금인 만큼 개인이 부당하게 지급받는 것은 전형적인 부패행위로서..."]

2020년부터 올해 8월까지 14개 공공기관에서 공무원 천3백여 명이 세금 12억 원을 부당하게 쓴 것으로 권익위는 파악했습니다.

적발된 기관들 가운데 철도공단은 이미 정부 부처 경고를 받아 제도를 개선하고 있다고 밝혔고 농어촌공사는 지자체 발주 사업을 통해 받은 수수료 성격의 사업관리비로 업무 출장을 다녀온 것이라고 해명했습니다.

KBS 뉴스 김영은입니다.

촬영기자:이호/영상편집:김형기/그래픽:김지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