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요소 3개월분 이상 확보…사재기 자제 당부”

입력 2023.12.06 (14:46) 수정 2023.12.06 (14: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중국이 수출을 중단한 산업용 요소의 국내 재고가 충분하고, 베트남 등 다른 국가에서 수입도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면서 불필요한 요소수 사재기를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오늘(6일) 서울 롯데마트 월드타워점을 방문해 롯데정밀화학, 롯데마트 등 요소수 수입·유통 기업 관계자들과 면담하고 판매 현장을 점검했습니다.

장 차관은 “국내 재고 및 중국 외 계약 물량으로 3개월분 이상을 확보하고 있다”며 “이미 수입 대체선이 확보돼 기업들도 추가 물량 확보가 가능한 만큼 (요소수 대란이 있던) 2021년과 달리 충분히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장 차관은 이어 “수입선 다변화를 위한 제도적 방안으로 기업들이 제3국으로 수입 다변화를 할 때 지원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현재 운영 중인 공공 비축 물량도 과감히 확대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장 차관은 “차량용 요소의 안정적 수급에 문제가 없으니 안심하고 필요한 물량만 구매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관세청에 따르면 산업용 요소 수입액 중 중국산 비중은 2021년 71%에서 ‘요소수 사태’를 겪으며 2022년 67%로 한때 낮아졌습니다. 그러나 저렴한 운송비 등 가격 요인이 작용해 중국산 요소의 수입 비중은 작년 다시 90%로 높아졌습니다.

중국의 수출 제한 등 공급망 교란 요인이 발생했을 때는 수입 업체들이 적극적으로 제3국으로 도입선을 바꾸지만, 공급이 안정되면 시장 원리에 따라 이익 극대화를 위해 다시 가격 경쟁력이 강한 중국산 도입을 늘리기 때문입니다.

이에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중국발 요소 수급 불안이 반복되는 만큼 제3국에서 국내 산업에 필수적인 상품들을 들여올 때 정부가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유인책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윤희용 롯데정밀화학 상무는 이날 장 차관과 만나 베트남산 요소 5,000톤을 추가로 계약했다면서 중동, 동남아 등에 다양한 수입 대체선이 이미 확보된 상태라고 설명했습니다.

국내 산업용 요소 수요는 매달 6,000톤 수준입니다. 롯데정밀화학은 국내 산업용 요소의 절반가량을 공급합니다.

롯데정밀화학의 베트남산 요소 추가 계약으로 요소 물량 확보량은 국내 비축 및 중국 외 제3국 계약분을 더해 기존의 3개월분에서 3.7개월분으로 늘어났다고 산업부는 전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부 “요소 3개월분 이상 확보…사재기 자제 당부”
    • 입력 2023-12-06 14:46:54
    • 수정2023-12-06 14:48:07
    경제
정부가 중국이 수출을 중단한 산업용 요소의 국내 재고가 충분하고, 베트남 등 다른 국가에서 수입도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면서 불필요한 요소수 사재기를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오늘(6일) 서울 롯데마트 월드타워점을 방문해 롯데정밀화학, 롯데마트 등 요소수 수입·유통 기업 관계자들과 면담하고 판매 현장을 점검했습니다.

장 차관은 “국내 재고 및 중국 외 계약 물량으로 3개월분 이상을 확보하고 있다”며 “이미 수입 대체선이 확보돼 기업들도 추가 물량 확보가 가능한 만큼 (요소수 대란이 있던) 2021년과 달리 충분히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장 차관은 이어 “수입선 다변화를 위한 제도적 방안으로 기업들이 제3국으로 수입 다변화를 할 때 지원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현재 운영 중인 공공 비축 물량도 과감히 확대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장 차관은 “차량용 요소의 안정적 수급에 문제가 없으니 안심하고 필요한 물량만 구매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관세청에 따르면 산업용 요소 수입액 중 중국산 비중은 2021년 71%에서 ‘요소수 사태’를 겪으며 2022년 67%로 한때 낮아졌습니다. 그러나 저렴한 운송비 등 가격 요인이 작용해 중국산 요소의 수입 비중은 작년 다시 90%로 높아졌습니다.

중국의 수출 제한 등 공급망 교란 요인이 발생했을 때는 수입 업체들이 적극적으로 제3국으로 도입선을 바꾸지만, 공급이 안정되면 시장 원리에 따라 이익 극대화를 위해 다시 가격 경쟁력이 강한 중국산 도입을 늘리기 때문입니다.

이에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중국발 요소 수급 불안이 반복되는 만큼 제3국에서 국내 산업에 필수적인 상품들을 들여올 때 정부가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유인책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윤희용 롯데정밀화학 상무는 이날 장 차관과 만나 베트남산 요소 5,000톤을 추가로 계약했다면서 중동, 동남아 등에 다양한 수입 대체선이 이미 확보된 상태라고 설명했습니다.

국내 산업용 요소 수요는 매달 6,000톤 수준입니다. 롯데정밀화학은 국내 산업용 요소의 절반가량을 공급합니다.

롯데정밀화학의 베트남산 요소 추가 계약으로 요소 물량 확보량은 국내 비축 및 중국 외 제3국 계약분을 더해 기존의 3개월분에서 3.7개월분으로 늘어났다고 산업부는 전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