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티베트 야크 개체 수 안정적 증가”
입력 2023.12.07 (09:45)
수정 2023.12.07 (09: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높은 해발고도의 극단적인 환경에서도 잘 적응하며 생활하는 티베트 야크를 만났습니다.
[리포트]
시커먼 털에 두 뿔을 가진 야크는 설원의 티베트 고원에서 몸집이 가장 큰 초식동물입니다.
해발고도 3천에서 6천미터되는 티베트고원.
중국 국가 1급보호동물인 야크는 이곳에서 해발고도의 극한 환경, 추위 그리고 허기를 견디며 생활합니다.
그래서인지 극한 환경에서 강한 생명력을 가진 동물로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장위광/중국임업과학연구원 : "야생 야크는 중국 1급 보호동물이고 티베트고원에서 서식하는 특유종입니다. 신장, 칭하이 등지에도 서식합니다."]
중국의 야생 야크는 20년 전부터 개체 수가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1995년 제1차 중국야생동물조사 때는 8천 마리였지만, 최근 조사에서는 만 2천 마리로 늘었다고 합니다.
높은 해발고도의 극단적인 환경에서도 잘 적응하며 생활하는 티베트 야크를 만났습니다.
[리포트]
시커먼 털에 두 뿔을 가진 야크는 설원의 티베트 고원에서 몸집이 가장 큰 초식동물입니다.
해발고도 3천에서 6천미터되는 티베트고원.
중국 국가 1급보호동물인 야크는 이곳에서 해발고도의 극한 환경, 추위 그리고 허기를 견디며 생활합니다.
그래서인지 극한 환경에서 강한 생명력을 가진 동물로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장위광/중국임업과학연구원 : "야생 야크는 중국 1급 보호동물이고 티베트고원에서 서식하는 특유종입니다. 신장, 칭하이 등지에도 서식합니다."]
중국의 야생 야크는 20년 전부터 개체 수가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1995년 제1차 중국야생동물조사 때는 8천 마리였지만, 최근 조사에서는 만 2천 마리로 늘었다고 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티베트 야크 개체 수 안정적 증가”
-
- 입력 2023-12-07 09:45:13
- 수정2023-12-07 09:49:44
[앵커]
높은 해발고도의 극단적인 환경에서도 잘 적응하며 생활하는 티베트 야크를 만났습니다.
[리포트]
시커먼 털에 두 뿔을 가진 야크는 설원의 티베트 고원에서 몸집이 가장 큰 초식동물입니다.
해발고도 3천에서 6천미터되는 티베트고원.
중국 국가 1급보호동물인 야크는 이곳에서 해발고도의 극한 환경, 추위 그리고 허기를 견디며 생활합니다.
그래서인지 극한 환경에서 강한 생명력을 가진 동물로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장위광/중국임업과학연구원 : "야생 야크는 중국 1급 보호동물이고 티베트고원에서 서식하는 특유종입니다. 신장, 칭하이 등지에도 서식합니다."]
중국의 야생 야크는 20년 전부터 개체 수가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1995년 제1차 중국야생동물조사 때는 8천 마리였지만, 최근 조사에서는 만 2천 마리로 늘었다고 합니다.
높은 해발고도의 극단적인 환경에서도 잘 적응하며 생활하는 티베트 야크를 만났습니다.
[리포트]
시커먼 털에 두 뿔을 가진 야크는 설원의 티베트 고원에서 몸집이 가장 큰 초식동물입니다.
해발고도 3천에서 6천미터되는 티베트고원.
중국 국가 1급보호동물인 야크는 이곳에서 해발고도의 극한 환경, 추위 그리고 허기를 견디며 생활합니다.
그래서인지 극한 환경에서 강한 생명력을 가진 동물로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장위광/중국임업과학연구원 : "야생 야크는 중국 1급 보호동물이고 티베트고원에서 서식하는 특유종입니다. 신장, 칭하이 등지에도 서식합니다."]
중국의 야생 야크는 20년 전부터 개체 수가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1995년 제1차 중국야생동물조사 때는 8천 마리였지만, 최근 조사에서는 만 2천 마리로 늘었다고 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