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100마리 ‘뿔제비갈매기’…국내 서식 최종 확인

입력 2023.12.10 (21:30) 수정 2023.12.10 (22: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전 세계에 백 마리도 채 남지 않은 '뿔제비갈매기'라는 새가 있습니다.

이 뿔제비갈매기가 7년 전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견됐는데, 총 7마리가 국내에 서식 중인 것으로 최종 확인됐습니다.

이슬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뿔이 삐죽삐죽 난 것처럼 까만 볏이 달린 뿔제비갈매기입니다.

동남아에서 겨울을 난 뒤 3월에 북쪽으로 올라와 번식하는 여름 철새로, 해양 오염과 무분별한 알 채집 탓에 전 세계에 백 마리도 채 안 남은 멸종위기종입니다.

국내에서는 2016년 전남 육산도에서 처음 발견됐고, 국립생태원 연구진이 2020년부터 본격적인 추적, 관찰에 들어갔습니다.

다른 새들과 달리 부부가 알을 교대로 품는 게 특징입니다.

[이윤경/국립생태원 전임연구원 : "한쪽만 치우치지 않고 포란(알품기)이나 먹이를 먹이는 거에도 새끼를 키울 때도 참여를 하고 있습니다. 거의 동일한 에너지를 쏟으면서 같이 하기 때문에 둘의 관계가 좋아야 돼요."]

하지만 발견지인 육산도는 자연 보존을 위해 연구진도 1년에 10번만 출입할 수 있는 곳입니다.

밀착 연구가 어렵자 연구진은 사진 수백 장을 정밀 분석했습니다.

새마다 조금씩 다른 부리의 무늬를 비교해, 수년간 우리나라를 찾은 뿔제비갈매기 7마리가 모두 같은 개체들인 걸 파악했습니다.

국내 발견 7년 만에 서식이 최종 확인된 겁니다.

[박소영/환경부 자연생태정책과장 : "성조의 고유 얼굴 특징을 발견하고 개체를 구분해 냈다는 데 큰 의의가 있습니다. 이렇게 개체를 식별하게 되면 개체 간의 관계를 알 수 있어서 종 특성을 밝혀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연구진은 수명과 번식 등 뿔제비갈매기의 구체적인 생태로 연구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슬기입니다.

영상편집:김유진/그래픽:채상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 세계 100마리 ‘뿔제비갈매기’…국내 서식 최종 확인
    • 입력 2023-12-10 21:30:59
    • 수정2023-12-10 22:29:40
    뉴스 9
[앵커]

전 세계에 백 마리도 채 남지 않은 '뿔제비갈매기'라는 새가 있습니다.

이 뿔제비갈매기가 7년 전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견됐는데, 총 7마리가 국내에 서식 중인 것으로 최종 확인됐습니다.

이슬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뿔이 삐죽삐죽 난 것처럼 까만 볏이 달린 뿔제비갈매기입니다.

동남아에서 겨울을 난 뒤 3월에 북쪽으로 올라와 번식하는 여름 철새로, 해양 오염과 무분별한 알 채집 탓에 전 세계에 백 마리도 채 안 남은 멸종위기종입니다.

국내에서는 2016년 전남 육산도에서 처음 발견됐고, 국립생태원 연구진이 2020년부터 본격적인 추적, 관찰에 들어갔습니다.

다른 새들과 달리 부부가 알을 교대로 품는 게 특징입니다.

[이윤경/국립생태원 전임연구원 : "한쪽만 치우치지 않고 포란(알품기)이나 먹이를 먹이는 거에도 새끼를 키울 때도 참여를 하고 있습니다. 거의 동일한 에너지를 쏟으면서 같이 하기 때문에 둘의 관계가 좋아야 돼요."]

하지만 발견지인 육산도는 자연 보존을 위해 연구진도 1년에 10번만 출입할 수 있는 곳입니다.

밀착 연구가 어렵자 연구진은 사진 수백 장을 정밀 분석했습니다.

새마다 조금씩 다른 부리의 무늬를 비교해, 수년간 우리나라를 찾은 뿔제비갈매기 7마리가 모두 같은 개체들인 걸 파악했습니다.

국내 발견 7년 만에 서식이 최종 확인된 겁니다.

[박소영/환경부 자연생태정책과장 : "성조의 고유 얼굴 특징을 발견하고 개체를 구분해 냈다는 데 큰 의의가 있습니다. 이렇게 개체를 식별하게 되면 개체 간의 관계를 알 수 있어서 종 특성을 밝혀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연구진은 수명과 번식 등 뿔제비갈매기의 구체적인 생태로 연구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슬기입니다.

영상편집:김유진/그래픽:채상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