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상인에 가짜 돈…전통시장 위조지폐 ‘주의’

입력 2023.12.14 (10:56) 수정 2023.12.14 (11: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고령의 상인이 많은 전통시장이나 노점에서 위조지폐가 잇따라 발견되고 있습니다.

오만 원짜리 지폐를 내고 거스름돈으로 몇만 원을 받아 챙기는 수법인데,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보도에 이자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통시장을 순찰하던 경찰이 한 노점상에게 다가갑니다.

위조지폐 의심 신고가 들어온 겁니다.

70대 이 노점상 할머니는 한 남성에게 청국장을 팔고, 5만 원짜리 지폐를 받았습니다.

그런데 이 돈이 가짜였습니다.

용의자는 거스름돈으로 4만 8천 원을 받아갔습니다.

[오영희/피해 노점상 : "돈을 주는데 가짜 돈인지를 모르고 받았다가 펴보니까 가짜 돈이야. (돈) 색깔이 달라."]

용의자는 다른 상점에서도 5만 원권 위조지폐를 사용하다 들켜, 달아났습니다.

[인근 상인/음성변조 : "5만 원짜리를 만져보니까 이상하고 색깔도 딱 다르더라고요. 한국은행이 아니고 이름이 달라요. 연세 드신 분들은 속기 딱 좋죠."]

지난 10월 대구에서도 60대 여성이 앞 뒤가 같은 5만 원권 위조 지폐로 나물 8천 원 어치를 사고 거스름돈을 받아갔습니다.

용의자는 CCTV 영상에서 신원이 밝혀져 경찰에 붙잡혔습니다.

당국에 신고된 위조지폐는 2019년 292장에서 감소해 왔지만 올 상반기 다시 116장이 발견되는 등 증가 추세입니다.

발견 장소는 대부분 전통시장으로 피해자는 주로 노인 상인들입니다.

[이창민/한국은행 발권정책팀 과장 : "빛에 비춰 보고 기울여 보고 만져보는 방식의 위폐 식별요령을 잘 이행하셔서 화폐 위조 범죄에 피해가 없도록 주의하셨으면 합니다."]

한국은행은 인쇄가 조잡하거나 홀로그램 식별이 안 될 경우 즉시 경찰이나 은행에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이자현입니다.

촬영기자:김성은/화면제공:대구 성서경찰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고령 상인에 가짜 돈…전통시장 위조지폐 ‘주의’
    • 입력 2023-12-14 10:56:48
    • 수정2023-12-14 11:43:31
    930뉴스(청주)
[앵커]

고령의 상인이 많은 전통시장이나 노점에서 위조지폐가 잇따라 발견되고 있습니다.

오만 원짜리 지폐를 내고 거스름돈으로 몇만 원을 받아 챙기는 수법인데,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보도에 이자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통시장을 순찰하던 경찰이 한 노점상에게 다가갑니다.

위조지폐 의심 신고가 들어온 겁니다.

70대 이 노점상 할머니는 한 남성에게 청국장을 팔고, 5만 원짜리 지폐를 받았습니다.

그런데 이 돈이 가짜였습니다.

용의자는 거스름돈으로 4만 8천 원을 받아갔습니다.

[오영희/피해 노점상 : "돈을 주는데 가짜 돈인지를 모르고 받았다가 펴보니까 가짜 돈이야. (돈) 색깔이 달라."]

용의자는 다른 상점에서도 5만 원권 위조지폐를 사용하다 들켜, 달아났습니다.

[인근 상인/음성변조 : "5만 원짜리를 만져보니까 이상하고 색깔도 딱 다르더라고요. 한국은행이 아니고 이름이 달라요. 연세 드신 분들은 속기 딱 좋죠."]

지난 10월 대구에서도 60대 여성이 앞 뒤가 같은 5만 원권 위조 지폐로 나물 8천 원 어치를 사고 거스름돈을 받아갔습니다.

용의자는 CCTV 영상에서 신원이 밝혀져 경찰에 붙잡혔습니다.

당국에 신고된 위조지폐는 2019년 292장에서 감소해 왔지만 올 상반기 다시 116장이 발견되는 등 증가 추세입니다.

발견 장소는 대부분 전통시장으로 피해자는 주로 노인 상인들입니다.

[이창민/한국은행 발권정책팀 과장 : "빛에 비춰 보고 기울여 보고 만져보는 방식의 위폐 식별요령을 잘 이행하셔서 화폐 위조 범죄에 피해가 없도록 주의하셨으면 합니다."]

한국은행은 인쇄가 조잡하거나 홀로그램 식별이 안 될 경우 즉시 경찰이나 은행에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이자현입니다.

촬영기자:김성은/화면제공:대구 성서경찰서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청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