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자금 스캔들’에 지지율 10%대까지…위태로운 기시다 내각 [특파원 리포트]

입력 2023.12.14 (18:36) 수정 2023.12.14 (18: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 캡션이미지 캡션

집권여당인 자민당의 '비자금 스캔들'로 기시다 내각이 위기를 맞았다는 분석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기시다 총리는 비자금 스캔들이 갈수록 확산하자, 13일 직접 기자회견을 열어 입장을 밝혔습니다.

정치자금의 관점에서 엄중한 시선을 받고, 국민으로부터 의혹을 받는 사태를 초래한 것은 매우 유감입니다.

또 자민당의 체질을 완전히 바꾸기 위해 선두에 서서 싸워나가겠다고 각오를 밝혔습니다.

기자회견 하는 기시다 총리기자회견 하는 기시다 총리

기시다 총리는14일 '아베파' 각료 4명을 전원 비(非) 아베파로 교체했습니다. 또 정부 고위직인 부대신(차관)과 정무관(차관급)까지, 이른바 '정무 3역'에서 아베파 10명을 경질했습니다.

아베파 비자금 조성 의혹으로 교체된 각료들아베파 비자금 조성 의혹으로 교체된 각료들

이번 비자금 사태로 기시다 내각과 자민당 내부에선 파열음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내각 초기부터 대변인 역할을 맡아 온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의 장관직 수행이 어려워지면서 기시다 총리는 하마다 전 방위상에게 이를 맡아달라고 부탁했지만 하마다 씨가 이를 고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관방장관은 이른바 '내각의 2인자'로 매일 두 차례씩 정례기자회견을 열어 내각의 정책을 브리핑하는 요직입니다.

비자금 조성 의혹으로 기자들의 질문공세를 받는 마쓰노 히로카즈비자금 조성 의혹으로 기자들의 질문공세를 받는 마쓰노 히로카즈

자민당 내 정치집단인 파벌의 정치자금 문제가 불거지자 기시다 총리는 자신도 '기시다파' 탈퇴를 선언했습니다.

이어 관방장관도 파벌에 소속돼 있지 않은 이른바 '무파벌'을 기용하려고 했지만 당사자가 거절한 겁니다.

일본에서는 기시다 총리의 구심력이 떨어진 상징적인 사건으로 보고 있습니다.

아베파 소속의 미야자와 히로유키 방위부대신은 경질되기 직전 비자금 조성은 '파벌의 지시'에 따른 것이라고 폭로했습니다.

기자들에게 ‘파벌의 지시’였다고 폭로하는 미야자와 히로유키 방위부대신기자들에게 ‘파벌의 지시’였다고 폭로하는 미야자와 히로유키 방위부대신

비자금 조성 방식은 각 파벌의 정치자금 모금 행사인 이른바 '파티'의 초대권을 각 의원실이 판매한 뒤, 할당량을 넘긴 초과 액수만큼 다시 돈을 건네받아 이를 정치자금 보고서에 기재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입니다.

미야자와는 이를 아베파가 조직적으로 허용했다는 사실뿐만 아니라, 사태가 확산되자 '함구령'이 내려졌다고도 폭로했습니다.

파벌 쪽에서 수지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아도 좋다는 지시가 있었습니다.

괜찮을까 라고 생각했지만, 이렇게 오랫동안 해왔다면 적법한 것이겠지 하고...

여기까지 온 이상 말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해서 결단했습니다.


일본 지지통신은 지난 8∼11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기시다 내각 지지율이 지난달보다 4.2%포인트 하락한 17.1%를 기록했다고 전했습니다.

그동안 '퇴진 위기' 수준이라는 20%대에 머물다가 이번 비자금 사태가 확산하며 10%대까지 추락한 겁니다.

일본 내각 지지율이 20% 미만으로 떨어진 것은 민주당 정권 탄생 직전인 2009년 9월 아소 다로 내각(13.4%) 이후 처음입니다.

검찰의 주요 수사 대상으로 알려진 아베파의 비자금 규모는 5억 엔가량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아베파 외에 다른 파벌에서도 정치자금 수지보고서 미기재액이 확인되고 있고, 기시다 총리가 회장을 맡았던 기시다파의 미기재액은 2천만 엔으로 알려졌습니다.

기시다 내각 지지율(NHK여론조사)기시다 내각 지지율(NHK여론조사)

입헌민주당 등 야당은 이번 비자금 사태가 자민당 내 일부 파벌의 문제가 아니라 당 전체의 비리라고 몰아붙이고 있고, 일본 언론은 각료 물갈이만으로는 사태가 수습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일본 최대 일간지 요미우리도 사설에서 "인적 쇄신만으로는 끝나지 않는다"며 기시다 총리의 어정쩡한 대처를 비판했습니다.

도쿄지검 특수부의 비자금 수사는 이제부터 본격화할 것이라고 일본 언론은 예고하고 있습니다.

이미 시작된 기시다 내각의 위기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비자금 스캔들’에 지지율 10%대까지…위태로운 기시다 내각 [특파원 리포트]
    • 입력 2023-12-14 18:36:52
    • 수정2023-12-14 18:42:35
    글로벌K
이미지 캡션
집권여당인 자민당의 '비자금 스캔들'로 기시다 내각이 위기를 맞았다는 분석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기시다 총리는 비자금 스캔들이 갈수록 확산하자, 13일 직접 기자회견을 열어 입장을 밝혔습니다.

정치자금의 관점에서 엄중한 시선을 받고, 국민으로부터 의혹을 받는 사태를 초래한 것은 매우 유감입니다.

또 자민당의 체질을 완전히 바꾸기 위해 선두에 서서 싸워나가겠다고 각오를 밝혔습니다.

기자회견 하는 기시다 총리
기시다 총리는14일 '아베파' 각료 4명을 전원 비(非) 아베파로 교체했습니다. 또 정부 고위직인 부대신(차관)과 정무관(차관급)까지, 이른바 '정무 3역'에서 아베파 10명을 경질했습니다.

아베파 비자금 조성 의혹으로 교체된 각료들
이번 비자금 사태로 기시다 내각과 자민당 내부에선 파열음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내각 초기부터 대변인 역할을 맡아 온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의 장관직 수행이 어려워지면서 기시다 총리는 하마다 전 방위상에게 이를 맡아달라고 부탁했지만 하마다 씨가 이를 고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관방장관은 이른바 '내각의 2인자'로 매일 두 차례씩 정례기자회견을 열어 내각의 정책을 브리핑하는 요직입니다.

비자금 조성 의혹으로 기자들의 질문공세를 받는 마쓰노 히로카즈
자민당 내 정치집단인 파벌의 정치자금 문제가 불거지자 기시다 총리는 자신도 '기시다파' 탈퇴를 선언했습니다.

이어 관방장관도 파벌에 소속돼 있지 않은 이른바 '무파벌'을 기용하려고 했지만 당사자가 거절한 겁니다.

일본에서는 기시다 총리의 구심력이 떨어진 상징적인 사건으로 보고 있습니다.

아베파 소속의 미야자와 히로유키 방위부대신은 경질되기 직전 비자금 조성은 '파벌의 지시'에 따른 것이라고 폭로했습니다.

기자들에게 ‘파벌의 지시’였다고 폭로하는 미야자와 히로유키 방위부대신
비자금 조성 방식은 각 파벌의 정치자금 모금 행사인 이른바 '파티'의 초대권을 각 의원실이 판매한 뒤, 할당량을 넘긴 초과 액수만큼 다시 돈을 건네받아 이를 정치자금 보고서에 기재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입니다.

미야자와는 이를 아베파가 조직적으로 허용했다는 사실뿐만 아니라, 사태가 확산되자 '함구령'이 내려졌다고도 폭로했습니다.

파벌 쪽에서 수지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아도 좋다는 지시가 있었습니다.

괜찮을까 라고 생각했지만, 이렇게 오랫동안 해왔다면 적법한 것이겠지 하고...

여기까지 온 이상 말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해서 결단했습니다.


일본 지지통신은 지난 8∼11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기시다 내각 지지율이 지난달보다 4.2%포인트 하락한 17.1%를 기록했다고 전했습니다.

그동안 '퇴진 위기' 수준이라는 20%대에 머물다가 이번 비자금 사태가 확산하며 10%대까지 추락한 겁니다.

일본 내각 지지율이 20% 미만으로 떨어진 것은 민주당 정권 탄생 직전인 2009년 9월 아소 다로 내각(13.4%) 이후 처음입니다.

검찰의 주요 수사 대상으로 알려진 아베파의 비자금 규모는 5억 엔가량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아베파 외에 다른 파벌에서도 정치자금 수지보고서 미기재액이 확인되고 있고, 기시다 총리가 회장을 맡았던 기시다파의 미기재액은 2천만 엔으로 알려졌습니다.

기시다 내각 지지율(NHK여론조사)
입헌민주당 등 야당은 이번 비자금 사태가 자민당 내 일부 파벌의 문제가 아니라 당 전체의 비리라고 몰아붙이고 있고, 일본 언론은 각료 물갈이만으로는 사태가 수습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일본 최대 일간지 요미우리도 사설에서 "인적 쇄신만으로는 끝나지 않는다"며 기시다 총리의 어정쩡한 대처를 비판했습니다.

도쿄지검 특수부의 비자금 수사는 이제부터 본격화할 것이라고 일본 언론은 예고하고 있습니다.

이미 시작된 기시다 내각의 위기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