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마약 조직 거점됐다…SNS 마약 유통한 사범 100명 검거

입력 2023.12.14 (21:20) 수정 2023.12.14 (22: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한국을 거점으로 삼은 국제 마약유통 조직이 사상 처음으로 적발됐습니다.

이들은 서울 강남 등에 거점을 두고 주로 텔레그램을 통해 마약을 유통시켰는데 한국의 마약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는 걸 보여주는 새로운 현상입니다.

최혜림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삼단봉을 든 경찰이 서울 도심의 한 아파트를 급습합니다.

경찰이 들이닥친 곳은 국제 마약 유통 조직의 합숙소.

이들은 싱가포르에서 범행이 적발되자, 지난해 9월 한국으로 거점을 옮겼습니다.

[조승노/서울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 : "싱가포르는 마약 사범이 처벌이 엄청 세요. 이 친구(총책)는 자기 나라에서는 거의 사형을 구형한다고 하더라고요. 그러다 보니 이 친구가 그 쪽(싱가포르)으로 못 가니까 국내에 거점을 만들어놓고..."]

이들은 서울 강남과 이태원에 숙소를 마련했고 이곳을 지휘소로 삼아 SNS를 통해 동남아시아 지역의 고객들에게 케타민과 엑스터시 등 마약류를 유통시켰습니다.

이 조직은 국내로 마약류를 반입해 유통시키려던 단계에서 경찰에 적발됐습니다.

반대로 해외에 거점을 두고 국내에 마약을 판매한 조직도 검거됐습니다.

이들은 러시아어 대화방을 개설해 국내 거주 외국인을 상대로 마약을 판매했습니다.

경찰은 7개월 동안 사이버 마약 범죄 집중 단속을 벌여, 외국인을 포함한 마약사범 100명을 입건하고 이 가운데 24명을 구속했습니다.

압수한 마약류는 모두 4.5킬로그램으로, 16만 명이 동시에 투약할 수 있는 분량입니다.

이 가운데는 심각한 공황발작을 유발하는 신종마약 메페드론과 대마를 압축해 화학물질과 섞은 해시시 오일도 포함됐습니다.

경찰은 소셜미디어 등을 통한 비대면 마약 유통이 늘어나고 있다며 국가정보원 등과 수사 공조를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최혜림입니다.

촬영기자:홍병국 김형준/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해외 마약 조직 거점됐다…SNS 마약 유통한 사범 100명 검거
    • 입력 2023-12-14 21:20:05
    • 수정2023-12-14 22:28:34
    뉴스 9
[앵커]

한국을 거점으로 삼은 국제 마약유통 조직이 사상 처음으로 적발됐습니다.

이들은 서울 강남 등에 거점을 두고 주로 텔레그램을 통해 마약을 유통시켰는데 한국의 마약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는 걸 보여주는 새로운 현상입니다.

최혜림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삼단봉을 든 경찰이 서울 도심의 한 아파트를 급습합니다.

경찰이 들이닥친 곳은 국제 마약 유통 조직의 합숙소.

이들은 싱가포르에서 범행이 적발되자, 지난해 9월 한국으로 거점을 옮겼습니다.

[조승노/서울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 : "싱가포르는 마약 사범이 처벌이 엄청 세요. 이 친구(총책)는 자기 나라에서는 거의 사형을 구형한다고 하더라고요. 그러다 보니 이 친구가 그 쪽(싱가포르)으로 못 가니까 국내에 거점을 만들어놓고..."]

이들은 서울 강남과 이태원에 숙소를 마련했고 이곳을 지휘소로 삼아 SNS를 통해 동남아시아 지역의 고객들에게 케타민과 엑스터시 등 마약류를 유통시켰습니다.

이 조직은 국내로 마약류를 반입해 유통시키려던 단계에서 경찰에 적발됐습니다.

반대로 해외에 거점을 두고 국내에 마약을 판매한 조직도 검거됐습니다.

이들은 러시아어 대화방을 개설해 국내 거주 외국인을 상대로 마약을 판매했습니다.

경찰은 7개월 동안 사이버 마약 범죄 집중 단속을 벌여, 외국인을 포함한 마약사범 100명을 입건하고 이 가운데 24명을 구속했습니다.

압수한 마약류는 모두 4.5킬로그램으로, 16만 명이 동시에 투약할 수 있는 분량입니다.

이 가운데는 심각한 공황발작을 유발하는 신종마약 메페드론과 대마를 압축해 화학물질과 섞은 해시시 오일도 포함됐습니다.

경찰은 소셜미디어 등을 통한 비대면 마약 유통이 늘어나고 있다며 국가정보원 등과 수사 공조를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최혜림입니다.

촬영기자:홍병국 김형준/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박미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