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도 ‘골다공증’…“70세 이상 5명 중 1명”

입력 2023.12.20 (21:44) 수정 2023.12.21 (07: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눈이 많이 왔는데 특히 길에서 넘어지지 않도록 조심하셔야 합니다.

나이가 들수록 뼈가 약해지는데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들도 골다공증 환자가 늘고 있는데 남성의 고관절 골절은 더 치명적이라고 합니다.

이충헌 의학전문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이 남성은 무거운 물건을 옮기다가 등에 심한 통증이 생겨 병원을 찾았습니다.

엑스레이를 찍어 보니 척추뼈가 마름모꼴로 주저앉았습니다.

척추뼈가 약해 무너져 내린 겁니다.

40대 후반인데도 골다공증이 심해, 골 형성을 촉진하는 주사를 맞았습니다.

[남성 골다공증 환자 : "등 쪽에 통증이 와서 처음에는 그냥 단순히 삔 것으로 생각해서 한의원 쪽도 가고 했었는데 통증이 계속 있어서."]

골다공증은 폐경기 이후 여성에게 주로 나타나지만 나이가 들면 남성도 예외는 아닙니다.

남성 골다공증 환자는 지난 5년 새 16% 늘어 70살 이상 남성 5명 중 1명이 골다공증을 갖고 있습니다.

골다공증 환자는 작은 충격에도 뼈가 부러지기 쉽고, 특히 낙상으로 고관절 골절이 생기면 치명적입니다.

고관절 골절에는 남성이 더 취약해, 1년 내 사망률이 21.5%에 이릅니다.

[이유미/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 "여성처럼 초반기에 관리가 돼서 골밀도를 유지하는 율이 굉장히 낮기 때문에 한 번 골절이 됐을 때, 특히 고관절 골절이 됐을 때 1년 내 사망률이 여성분들의 거의 1.5에서 2배 정도로 높습니다."]

골절 위험은 골다공증 치료제를 꾸준히 복용하면,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

다만, 직접 효과를 느끼기 어렵고 투여법도 복잡해 치료 중단이 잦습니다.

전문가들은 골다공증 약을 끊으면 골밀도가 급격히 떨어지는만큼, 피 검사를 통해 효과를 관찰하면서 치료를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합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촬영기자:정형철/영상편집:고응용/그래픽: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남성도 ‘골다공증’…“70세 이상 5명 중 1명”
    • 입력 2023-12-20 21:44:34
    • 수정2023-12-21 07:52:38
    뉴스 9
[앵커]

최근 눈이 많이 왔는데 특히 길에서 넘어지지 않도록 조심하셔야 합니다.

나이가 들수록 뼈가 약해지는데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들도 골다공증 환자가 늘고 있는데 남성의 고관절 골절은 더 치명적이라고 합니다.

이충헌 의학전문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이 남성은 무거운 물건을 옮기다가 등에 심한 통증이 생겨 병원을 찾았습니다.

엑스레이를 찍어 보니 척추뼈가 마름모꼴로 주저앉았습니다.

척추뼈가 약해 무너져 내린 겁니다.

40대 후반인데도 골다공증이 심해, 골 형성을 촉진하는 주사를 맞았습니다.

[남성 골다공증 환자 : "등 쪽에 통증이 와서 처음에는 그냥 단순히 삔 것으로 생각해서 한의원 쪽도 가고 했었는데 통증이 계속 있어서."]

골다공증은 폐경기 이후 여성에게 주로 나타나지만 나이가 들면 남성도 예외는 아닙니다.

남성 골다공증 환자는 지난 5년 새 16% 늘어 70살 이상 남성 5명 중 1명이 골다공증을 갖고 있습니다.

골다공증 환자는 작은 충격에도 뼈가 부러지기 쉽고, 특히 낙상으로 고관절 골절이 생기면 치명적입니다.

고관절 골절에는 남성이 더 취약해, 1년 내 사망률이 21.5%에 이릅니다.

[이유미/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 "여성처럼 초반기에 관리가 돼서 골밀도를 유지하는 율이 굉장히 낮기 때문에 한 번 골절이 됐을 때, 특히 고관절 골절이 됐을 때 1년 내 사망률이 여성분들의 거의 1.5에서 2배 정도로 높습니다."]

골절 위험은 골다공증 치료제를 꾸준히 복용하면,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

다만, 직접 효과를 느끼기 어렵고 투여법도 복잡해 치료 중단이 잦습니다.

전문가들은 골다공증 약을 끊으면 골밀도가 급격히 떨어지는만큼, 피 검사를 통해 효과를 관찰하면서 치료를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합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촬영기자:정형철/영상편집:고응용/그래픽:김지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