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마스까지만 달리는 바다열차의 퇴장, 이유는?

입력 2023.12.25 (07:28) 수정 2023.12.25 (07: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강원도 동해안을 따라 16년간 달려온 바다열차가 올해 크리스마스를 끝으로 운행을 종료합니다.

예산 부족 때문이라는데, 아쉬워하는 관광객들이 많습니다.

바다열차의 마지막 모습을 신선민 기자가 담아왔습니다.

[리포트]

동해 바다를 따라 달리는 열차입니다.

창문을 마주보는 좌석에 앉으면 푸른 바다가 그림처럼 펼쳐집니다.

[김동희/강원도 동해시 : "풍경이 너무 좋아요. 여기 송정 지나고나면 그때부터는 계속 바다를 보게 돼 있어요. 그래서 너무 좋아요."]

2007년부터 하루 두세 번씩 강원도 강릉과 동해, 삼척 해안 53km를 왕복해온 국내 첫 '바다열차'입니다.

[김동희/강원도 동해시 : "저는 혼자 이걸 타봤는데 저희 아저씨는 한 번도 안타봐서 이게 없어진다고 하니까 한 번 타보고 싶어서 그래서 오늘 타게 됐어요."]

오붓하게 함께한 엄마와 아들은 창밖 풍경에 눈을 떼지 못합니다.

[곽민성/경기도 화성시 : "신기했어요. 이렇게 가까이서 (바다를) 볼 수 있다는 게..."]

저마다 다른 여행...

달리는 열차는 그 사연도 쉴새없이 풀어냅니다.

[열차 DJ : "바다열차 타고 가족과 추억 쌓기 허니잼(재미 있어요.) 엄마 최고, 보영 최고, 소영 최고, 이렇게 '3최고' 외쳐주셨습니다."]

열차는 간이역에서 시간도 허락해줍니다.

가족들은 추억을 풍경으로 담습니다.

[이보영/세종시 : "마침 한 자리가 남아가지고 가족석을 예매해가지고 오늘 강릉으로 오게 됐어요. 너무 재미 있었고요. 가족들이랑 잊지 못할 추억이었어요."]

2007년 첫 운행 후 누적 이용객은 195만 명.

영동고속도로 확장으로 경쟁력을 잃게 된 영동선 철도 활용 전략으로 탄생했지만, 올해 성탄절까지만 운행합니다.

낡은 열차를 새로 바꿔야하는데 140억 원에 이르는 예산 분담 문제가 생긴 겁니다.

코레일과 강릉·동해·삼척시가 끝내 합의점을 찾지 못했습니다.

[김동희/강원도 동해시 : "없어진다니까 좀 섭섭해요. 좀 계속 이어졌으면 좋았을 텐데 없어진다고 하니까 어딘가 모르게 허전한 느낌이 든달까 그렇게 생각이 드네요."]

겨울 바다를 선물한 마지막 열차가 조용히 추억 속으로 사라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신선민입니다.

영상편집:이현모/항공촬영:이상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크리스마스까지만 달리는 바다열차의 퇴장, 이유는?
    • 입력 2023-12-25 07:28:58
    • 수정2023-12-25 07:50:45
    뉴스광장
[앵커]

강원도 동해안을 따라 16년간 달려온 바다열차가 올해 크리스마스를 끝으로 운행을 종료합니다.

예산 부족 때문이라는데, 아쉬워하는 관광객들이 많습니다.

바다열차의 마지막 모습을 신선민 기자가 담아왔습니다.

[리포트]

동해 바다를 따라 달리는 열차입니다.

창문을 마주보는 좌석에 앉으면 푸른 바다가 그림처럼 펼쳐집니다.

[김동희/강원도 동해시 : "풍경이 너무 좋아요. 여기 송정 지나고나면 그때부터는 계속 바다를 보게 돼 있어요. 그래서 너무 좋아요."]

2007년부터 하루 두세 번씩 강원도 강릉과 동해, 삼척 해안 53km를 왕복해온 국내 첫 '바다열차'입니다.

[김동희/강원도 동해시 : "저는 혼자 이걸 타봤는데 저희 아저씨는 한 번도 안타봐서 이게 없어진다고 하니까 한 번 타보고 싶어서 그래서 오늘 타게 됐어요."]

오붓하게 함께한 엄마와 아들은 창밖 풍경에 눈을 떼지 못합니다.

[곽민성/경기도 화성시 : "신기했어요. 이렇게 가까이서 (바다를) 볼 수 있다는 게..."]

저마다 다른 여행...

달리는 열차는 그 사연도 쉴새없이 풀어냅니다.

[열차 DJ : "바다열차 타고 가족과 추억 쌓기 허니잼(재미 있어요.) 엄마 최고, 보영 최고, 소영 최고, 이렇게 '3최고' 외쳐주셨습니다."]

열차는 간이역에서 시간도 허락해줍니다.

가족들은 추억을 풍경으로 담습니다.

[이보영/세종시 : "마침 한 자리가 남아가지고 가족석을 예매해가지고 오늘 강릉으로 오게 됐어요. 너무 재미 있었고요. 가족들이랑 잊지 못할 추억이었어요."]

2007년 첫 운행 후 누적 이용객은 195만 명.

영동고속도로 확장으로 경쟁력을 잃게 된 영동선 철도 활용 전략으로 탄생했지만, 올해 성탄절까지만 운행합니다.

낡은 열차를 새로 바꿔야하는데 140억 원에 이르는 예산 분담 문제가 생긴 겁니다.

코레일과 강릉·동해·삼척시가 끝내 합의점을 찾지 못했습니다.

[김동희/강원도 동해시 : "없어진다니까 좀 섭섭해요. 좀 계속 이어졌으면 좋았을 텐데 없어진다고 하니까 어딘가 모르게 허전한 느낌이 든달까 그렇게 생각이 드네요."]

겨울 바다를 선물한 마지막 열차가 조용히 추억 속으로 사라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신선민입니다.

영상편집:이현모/항공촬영:이상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