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가리비, 중국 대신 한국·EU 수출”…한국 “수입규제 유지”

입력 2023.12.26 (18:13) 수정 2023.12.26 (18: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일본에서 장관이 직접 제발 좀 더 먹어달라고 호소한 것.

뭘까요?

일본 미야시타 이치로 농림수산상이 든 이 팻말.

"먹고 말 거야"라고 적혀있는데요.

"국민 1인당 5~7개 정도 더 먹어 달라"고 한 것은 바로 가리비입니다.

일본 수산물이죠.

말레이시아까지 건너가서 일본산 가리비를 홍보하기도 했는데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이후에 가장 큰 타격을 받은 품목이 바로 가리비이기 때문입니다.

가리비 산지로 유명한 일본 홋카이도 한 창고에는 그 재고가 보관 창고 천장까지 쌓여있을 정돕니다.

최대 수입국이었던 중국이 수입을 전면 중단하면서, 수출할 곳이 마땅치 않아졌기 때문인데요.

그런데, 일본 정부가 이런 자국산 가리비에 대해 우리나라와 유럽연합 등으로 판로를 확대하겠다고 계획한 사실이 알려졌습니다.

도쿄 박원기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일본 최북단 홋카이도에 있는 저장 창곱니다.

일본산 가리비가 검은 포대에 담겨 가득 쌓여 있습니다.

지난 8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시작과 함께 중국이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하면서 수출길이 꽉 막혀 버렸습니다.

지난해 일본 전체 가리비 수출액 910억엔 가운데 절반 이상이 중국 수출이었지만, 방류 이후엔 창고에 쌓여만 가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농수산물 수출 확대를 논의하는 각료회의에서, 한국과 유럽연합 EU 등을 새로운 가리비 수출 시장으로 개척하겠다는 방침을 세웠습니다.

2025년 목표액은 6백56억엔, 이 가운데 한국 수출은 약 6%인 41억 엔입니다.

[NHK 뉴스 : "특히 (중국의 수입 금지) 영향이 큰 가리비에 대해, 새롭게 한국이나 유럽연합(EU) 등으로 수출을 중점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입니다."]

일본 정부 방침에 대해, 우리 정부는 '어디까지나 일본 측의 계획에 불과하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인 2013년 9월부터 지금까지도 유지하고 있는 '후쿠시마 인근 8개 현 대상, 모든 수산물에 대한 수입 금지'를 변함없이 이어가겠다는 겁니다.

[박구연/국무조정실 국무1차장 : "현재의 일본산 수산물 수입 규제 하에 그간 지속해 온 방사능 검사를 한 치의 빈틈 없이 계속해 나가겠다는 입장임을 다시 한번 강조 드립니다."]

이와 함께 8개 현에 속하지 않는 홋카이도 등지의 수산물에 대해서도 검사를 철저히 하고 있으며, 방사능이 미량이라도 검출되면 사실상 수입을 금지하고 있다고 정부는 설명했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박원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본 “가리비, 중국 대신 한국·EU 수출”…한국 “수입규제 유지”
    • 입력 2023-12-26 18:13:11
    • 수정2023-12-26 18:37:39
    뉴스 6
[앵커]

일본에서 장관이 직접 제발 좀 더 먹어달라고 호소한 것.

뭘까요?

일본 미야시타 이치로 농림수산상이 든 이 팻말.

"먹고 말 거야"라고 적혀있는데요.

"국민 1인당 5~7개 정도 더 먹어 달라"고 한 것은 바로 가리비입니다.

일본 수산물이죠.

말레이시아까지 건너가서 일본산 가리비를 홍보하기도 했는데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이후에 가장 큰 타격을 받은 품목이 바로 가리비이기 때문입니다.

가리비 산지로 유명한 일본 홋카이도 한 창고에는 그 재고가 보관 창고 천장까지 쌓여있을 정돕니다.

최대 수입국이었던 중국이 수입을 전면 중단하면서, 수출할 곳이 마땅치 않아졌기 때문인데요.

그런데, 일본 정부가 이런 자국산 가리비에 대해 우리나라와 유럽연합 등으로 판로를 확대하겠다고 계획한 사실이 알려졌습니다.

도쿄 박원기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일본 최북단 홋카이도에 있는 저장 창곱니다.

일본산 가리비가 검은 포대에 담겨 가득 쌓여 있습니다.

지난 8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시작과 함께 중국이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하면서 수출길이 꽉 막혀 버렸습니다.

지난해 일본 전체 가리비 수출액 910억엔 가운데 절반 이상이 중국 수출이었지만, 방류 이후엔 창고에 쌓여만 가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농수산물 수출 확대를 논의하는 각료회의에서, 한국과 유럽연합 EU 등을 새로운 가리비 수출 시장으로 개척하겠다는 방침을 세웠습니다.

2025년 목표액은 6백56억엔, 이 가운데 한국 수출은 약 6%인 41억 엔입니다.

[NHK 뉴스 : "특히 (중국의 수입 금지) 영향이 큰 가리비에 대해, 새롭게 한국이나 유럽연합(EU) 등으로 수출을 중점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입니다."]

일본 정부 방침에 대해, 우리 정부는 '어디까지나 일본 측의 계획에 불과하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인 2013년 9월부터 지금까지도 유지하고 있는 '후쿠시마 인근 8개 현 대상, 모든 수산물에 대한 수입 금지'를 변함없이 이어가겠다는 겁니다.

[박구연/국무조정실 국무1차장 : "현재의 일본산 수산물 수입 규제 하에 그간 지속해 온 방사능 검사를 한 치의 빈틈 없이 계속해 나가겠다는 입장임을 다시 한번 강조 드립니다."]

이와 함께 8개 현에 속하지 않는 홋카이도 등지의 수산물에 대해서도 검사를 철저히 하고 있으며, 방사능이 미량이라도 검출되면 사실상 수입을 금지하고 있다고 정부는 설명했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박원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