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 가스 폭발…겨울에 더 취약

입력 2023.12.26 (18:18) 수정 2023.12.26 (18: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인적이 드문 거리에서 발생한 갑작스러운 폭발 사고.

이 폭발의 여파로 벽은 통째로 무너졌고, 주변 건물 수십 채 유리창이 깨졌습니다.

지난 10월, 충남 서산에서 발생한 사고인데요.

원인은 가정용 액화석유가스 'LP 가스'였습니다.

도시가스를 더 많이 쓰는 요즘, 회색 가스통으로 기억하는 분들 많으시죠.

LP가스 폭발 사고는 여전히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2018년부터 5년간 발생한 LP 가스 사고만 200건이 넘습니다.

도시가스 사고의 2배 수준인데요.

공기보다 무거워서 누출 시 바닥에 깔리는 성질을 가졌는데, 환기를 잘 하지 않는 겨울에 특히 위험합니다.

그래서 수시로 안전관리를 꼭 해야만 합니다.

지난 주말, 대전에서 또다시 폭발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곽동화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식당이 있던 1층짜리 상가 건물이 내려앉았고, 인근 주택 창문과 차량도 온통 산산조각이 났습니다.

폭발과 함께 불이 나면서 주변에 있던 10여 명이 다쳤습니다.

식당에서 쓰던 LP 가스가 폭발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전기덕/사고 목격자 : "'빵' 하는데 보니까 거기 여자도 있었거든요. 공중으로 뜨더라고요. 어제 저녁도 잠을 한 숨도 못 잤어요. 얘가 떠올라서..."]

지난 달 경북 구미의 한 식당에서도 LP 가스가 폭발해 3명이 다치는 등 겨울로 접어들면서 폭발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최근 5년 동안 전국에서 발생한 LP 가스 사고는 모두 2백10여 건.

이 가운데 3분의 1가량은 겨울철인 12월에서 2월 사이에 발생했습니다.

추운 날씨 탓에 난방 등에 LP 가스 사용이 급증하지만, 누출될 경우 바닥에 깔리기 때문에 제대로 환기가 되지 않으면 전원을 켜는 것만으로도 폭발을 부를 수 있습니다.

환기를 할 때도 요령이 필요합니다.

[오현영/대전 대덕소방서 조사팀장 : "절대 전자기기는 작동시키지 마시고 빗자루를 이용해 정전기가 일어나지 않을 정도로 살살 쓸어서..."]

올바른 환기 방법 숙지와 꾸준한 자가 점검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김대태/한국가스안전공사 대전광역본부 검사2부장 : "비눗물 같은 걸 이용해서 이제 이음매 부분에 대해서 누출 점검을 할 수가 있고요. 주기적으로 1년에 1회 또는 시설에 따라서 이제 2년마다 정기 점검을..."]

법령에서는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에만 가스누설 경보기를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히고 있지민, 가스통에 가스누설자동 차단장치를 설치하는 것도 권장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곽동화입니다.

촬영기자:안성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LP 가스 폭발…겨울에 더 취약
    • 입력 2023-12-26 18:18:20
    • 수정2023-12-26 18:37:39
    뉴스 6
[앵커]

인적이 드문 거리에서 발생한 갑작스러운 폭발 사고.

이 폭발의 여파로 벽은 통째로 무너졌고, 주변 건물 수십 채 유리창이 깨졌습니다.

지난 10월, 충남 서산에서 발생한 사고인데요.

원인은 가정용 액화석유가스 'LP 가스'였습니다.

도시가스를 더 많이 쓰는 요즘, 회색 가스통으로 기억하는 분들 많으시죠.

LP가스 폭발 사고는 여전히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2018년부터 5년간 발생한 LP 가스 사고만 200건이 넘습니다.

도시가스 사고의 2배 수준인데요.

공기보다 무거워서 누출 시 바닥에 깔리는 성질을 가졌는데, 환기를 잘 하지 않는 겨울에 특히 위험합니다.

그래서 수시로 안전관리를 꼭 해야만 합니다.

지난 주말, 대전에서 또다시 폭발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곽동화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식당이 있던 1층짜리 상가 건물이 내려앉았고, 인근 주택 창문과 차량도 온통 산산조각이 났습니다.

폭발과 함께 불이 나면서 주변에 있던 10여 명이 다쳤습니다.

식당에서 쓰던 LP 가스가 폭발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전기덕/사고 목격자 : "'빵' 하는데 보니까 거기 여자도 있었거든요. 공중으로 뜨더라고요. 어제 저녁도 잠을 한 숨도 못 잤어요. 얘가 떠올라서..."]

지난 달 경북 구미의 한 식당에서도 LP 가스가 폭발해 3명이 다치는 등 겨울로 접어들면서 폭발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최근 5년 동안 전국에서 발생한 LP 가스 사고는 모두 2백10여 건.

이 가운데 3분의 1가량은 겨울철인 12월에서 2월 사이에 발생했습니다.

추운 날씨 탓에 난방 등에 LP 가스 사용이 급증하지만, 누출될 경우 바닥에 깔리기 때문에 제대로 환기가 되지 않으면 전원을 켜는 것만으로도 폭발을 부를 수 있습니다.

환기를 할 때도 요령이 필요합니다.

[오현영/대전 대덕소방서 조사팀장 : "절대 전자기기는 작동시키지 마시고 빗자루를 이용해 정전기가 일어나지 않을 정도로 살살 쓸어서..."]

올바른 환기 방법 숙지와 꾸준한 자가 점검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김대태/한국가스안전공사 대전광역본부 검사2부장 : "비눗물 같은 걸 이용해서 이제 이음매 부분에 대해서 누출 점검을 할 수가 있고요. 주기적으로 1년에 1회 또는 시설에 따라서 이제 2년마다 정기 점검을..."]

법령에서는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에만 가스누설 경보기를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히고 있지민, 가스통에 가스누설자동 차단장치를 설치하는 것도 권장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곽동화입니다.

촬영기자:안성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