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지난해보다 짙을 가능성 커”…이유는?

입력 2023.12.28 (21:22) 수정 2023.12.29 (09: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 겨울은 시작부터 미세먼지의 기세가 만만치 않습니다.

그런데 올겨울 내내 이렇게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거란 망까지 나왔습니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 김민경 기상전문기자가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그제(26일) 천리안 환경위성에 포착된 중국발 미세먼지의 흐름입니다.

붉은색으로 표시된 짙은 미세먼지 일부가 서풍을 따라 한반도로 들어왔습니다.

이후 한반도에 머물면서 국내 미세먼지와 뒤섞이고 있습니다.

[이동원/국립환경과학원 환경위성센터장 : "환경위성 영상을 분석해봤더니 26일 늦게 국외 미세먼지가 유입되기 시작했고, 이후에는 해소되지 않고 한반도 부근에서 계속 쌓여가는 모습이 관측됩니다."]

이번 겨울 이 같은 미세먼지 흐름이 자주 반복되면서, 지난 겨울보다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릴 거란 전망이 나왔습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시범 운용 중인 초미세먼지 겨울철 전망에서 지난해보다 농도가 높을 확률을 50%로 봤습니다.

가장 큰 원인은 '북서풍의 약화'입니다.

엘니뇨의 영향으로 남풍이 예년 겨울보다 자주 불고, 평년보다 높은 베링해 수온의 영향으로 한반도에 고기압이 형성되면서 북서풍이 내려오는 걸 막는다는 겁니다.

중국발 미세먼지가 일단 유입되면 빠져나가기 어려운 셈입니다.

[윤진호/교수/광주과학기술원 지구환경공학부 : "북서풍이 강하면 강할수록 미세먼지를 흘려보내는 역할을 잘하고요, 엘니뇨라든지 혹은 다른 기후조건들이 고기압성 흐름을 강화시키고 북서풍을 약화시키면서 미세먼지를 축적시키는 조건들을 만들어내고…"]

다만 북극 해빙 면적이 평년보다 줄어든 점은 변수입니다.

지난주같은 북극 한파가 밀려올 수 있어 미세먼지 농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KBS 뉴스 김민경입니다.

촬영기자:이상훈/영상편집:이현모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세먼지, 지난해보다 짙을 가능성 커”…이유는?
    • 입력 2023-12-28 21:22:05
    • 수정2023-12-29 09:00:36
    뉴스 9
[앵커]

이번 겨울은 시작부터 미세먼지의 기세가 만만치 않습니다.

그런데 올겨울 내내 이렇게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거란 망까지 나왔습니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 김민경 기상전문기자가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그제(26일) 천리안 환경위성에 포착된 중국발 미세먼지의 흐름입니다.

붉은색으로 표시된 짙은 미세먼지 일부가 서풍을 따라 한반도로 들어왔습니다.

이후 한반도에 머물면서 국내 미세먼지와 뒤섞이고 있습니다.

[이동원/국립환경과학원 환경위성센터장 : "환경위성 영상을 분석해봤더니 26일 늦게 국외 미세먼지가 유입되기 시작했고, 이후에는 해소되지 않고 한반도 부근에서 계속 쌓여가는 모습이 관측됩니다."]

이번 겨울 이 같은 미세먼지 흐름이 자주 반복되면서, 지난 겨울보다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릴 거란 전망이 나왔습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시범 운용 중인 초미세먼지 겨울철 전망에서 지난해보다 농도가 높을 확률을 50%로 봤습니다.

가장 큰 원인은 '북서풍의 약화'입니다.

엘니뇨의 영향으로 남풍이 예년 겨울보다 자주 불고, 평년보다 높은 베링해 수온의 영향으로 한반도에 고기압이 형성되면서 북서풍이 내려오는 걸 막는다는 겁니다.

중국발 미세먼지가 일단 유입되면 빠져나가기 어려운 셈입니다.

[윤진호/교수/광주과학기술원 지구환경공학부 : "북서풍이 강하면 강할수록 미세먼지를 흘려보내는 역할을 잘하고요, 엘니뇨라든지 혹은 다른 기후조건들이 고기압성 흐름을 강화시키고 북서풍을 약화시키면서 미세먼지를 축적시키는 조건들을 만들어내고…"]

다만 북극 해빙 면적이 평년보다 줄어든 점은 변수입니다.

지난주같은 북극 한파가 밀려올 수 있어 미세먼지 농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KBS 뉴스 김민경입니다.

촬영기자:이상훈/영상편집:이현모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