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에 ‘쓰레기 수거’까지 구독?…몸집 키우는 ‘구독경제’

입력 2023.12.29 (19:17) 수정 2023.12.29 (22: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보통, '구독'하면 정기적으로 받아보는 잡지나 OTT 서비스를 떠올리게 되는데요.

요즘은 구독 대상이 전방위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쓰레기 수거까지 구독한다고 하는데, 급성장하고 있는 구독 경제 시장을 황정호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리포트]

사무공간에다 휴식공간, 거실 한쪽에는 술을 마실 수 있는 홈바도 있습니다.

서울 강남에 마련된 100㎡크기의 공간.

100명의 회원이 매달 일정 금액을 내고 이 공간을 구독하고 있습니다.

필요할 때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고, 비용도 상대적으로 저렴합니다.

[한소희/구독자 : "친구를 초대해서 여기에서 위스키 한 잔 정도 하면서 대화를 한 시간이고 두 시간이고 편하게 한다든지 가성비 있다고 느꼈었던 것 같아요."]

공간을 이렇게 정기적으로 활용하는 것까지 구독 서비스의 범위가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귀찮은 쓰레기 처리도 구독 경제에 추가됐습니다.

음식물 쓰레기와 재활용 쓰레기 등을 비닐에 넣고 문 앞에 내놓기만 하면 끝.

구독 횟수만 정해놓으면 쓰레기를 대신 버려주고 무게 만큼만 이용료를 내면 됩니다.

[곽도영/구독자 : "추운 날 혹은 여름같이 더운 날에 (쓰레기를) 들고 가서 음식물 쓰레기 또 분리하고 분리수거 하고 이것도 번거롭고 귀찮은 일이거든요."]

소비자는 저렴하게 이용하고, 기업은 정기 고객을 확보해 안정적으로 매출을 올릴 수 있다는 게 구독 서비스의 장점입니다.

이 때문에 국내 구독 경제 시장 규모는 2025년에는 100조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전호겸/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구독경제전략연구센터장 : "편리성이 강화 된 거고요. 불황이다 보니까 가성비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찾다 보니까 그 대표 트렌드인 구독경제로…"]

다만 서비스를 구독하기 전 자신의 이용 패턴을 파악하고 해지 규약을 잘 확인해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황정호입니다.

촬영기자:이재섭 송혜성/영상편집:박은주 /그래픽: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간’에 ‘쓰레기 수거’까지 구독?…몸집 키우는 ‘구독경제’
    • 입력 2023-12-29 19:17:07
    • 수정2023-12-29 22:03:33
    뉴스 7
[앵커]

보통, '구독'하면 정기적으로 받아보는 잡지나 OTT 서비스를 떠올리게 되는데요.

요즘은 구독 대상이 전방위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쓰레기 수거까지 구독한다고 하는데, 급성장하고 있는 구독 경제 시장을 황정호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리포트]

사무공간에다 휴식공간, 거실 한쪽에는 술을 마실 수 있는 홈바도 있습니다.

서울 강남에 마련된 100㎡크기의 공간.

100명의 회원이 매달 일정 금액을 내고 이 공간을 구독하고 있습니다.

필요할 때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고, 비용도 상대적으로 저렴합니다.

[한소희/구독자 : "친구를 초대해서 여기에서 위스키 한 잔 정도 하면서 대화를 한 시간이고 두 시간이고 편하게 한다든지 가성비 있다고 느꼈었던 것 같아요."]

공간을 이렇게 정기적으로 활용하는 것까지 구독 서비스의 범위가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귀찮은 쓰레기 처리도 구독 경제에 추가됐습니다.

음식물 쓰레기와 재활용 쓰레기 등을 비닐에 넣고 문 앞에 내놓기만 하면 끝.

구독 횟수만 정해놓으면 쓰레기를 대신 버려주고 무게 만큼만 이용료를 내면 됩니다.

[곽도영/구독자 : "추운 날 혹은 여름같이 더운 날에 (쓰레기를) 들고 가서 음식물 쓰레기 또 분리하고 분리수거 하고 이것도 번거롭고 귀찮은 일이거든요."]

소비자는 저렴하게 이용하고, 기업은 정기 고객을 확보해 안정적으로 매출을 올릴 수 있다는 게 구독 서비스의 장점입니다.

이 때문에 국내 구독 경제 시장 규모는 2025년에는 100조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전호겸/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구독경제전략연구센터장 : "편리성이 강화 된 거고요. 불황이다 보니까 가성비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찾다 보니까 그 대표 트렌드인 구독경제로…"]

다만 서비스를 구독하기 전 자신의 이용 패턴을 파악하고 해지 규약을 잘 확인해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황정호입니다.

촬영기자:이재섭 송혜성/영상편집:박은주 /그래픽:박미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