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콘텐츠를 살려라’ 1조 투자해 ‘토종 OTT’ 키운다

입력 2023.12.31 (21:44) 수정 2023.12.31 (22: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올해는 넷플릭스 같은 해외 OTT의 독식 구조가 더 공고해진 그런 해였습니다.

이런 가운데 이른바 토종 OTT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임재성 기잡니다.

[리포트]

전 세계에서 1억 명 넘게 시청한 '오징어게임'.

이 드라마의 지적재산권을 가진 넷플릭스는 1조 원 넘는 돈을 벌었지만, 국내 제작사 수익은 제작비 240억이 전부였습니다.

[유지태/배우/지난 2월 : "정당한 보상권을 보장하는 저작권법 개정안을 지지하고, 조속한 통과를 촉구하기 위해..."]

정부는 대책을 토종 온라인동영상서비스, OTT에서 찾기로 했습니다.

티빙, 웨이브 등 흩어진 채널의 자생적 통합 등으로 강력한 토종 OTT를 만들어 해외 시장을 겨냥하겠다는 겁니다.

[유인촌/문화체육관광부 장관 : "우리도 글로벌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처럼 일본, 중국, 동남아 또는 유럽이나 미주 대륙에 충분히 진출할 수 있거든요. 그러니까 그렇게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내년에 만들어야 되겠다."]

초기 동력 마련을 위해 콘텐츠 제작에 5년 동안 1조 원을 투자하겠다고도 했습니다.

예산은 문체부의 전략펀드와 모태펀드가 투입됩니다.

[유인촌/문화체육관광부 장관 : "양질의 영화나 드라마가 있어서 우리 OTT에 실려야 결국 구독자가 늘어나고 해외에 있는 OTT들이 사 가고..."]

숭례문 방화에 이어 경복궁 담장 낙서까지, 재임 기간 발생한 잇단 문화재 훼손.

유 장관은 법만으로 막을 수 없다며, 인식 개선을 강조했습니다.

또, 문화계 블랙리스트 논란에 대해서는 일상적인 정보보고였을 뿐, 의도적 불이익은 없었다고 거듭 밝혔습니다.

KBS 뉴스 임재성입니다.

영상편집:최정연/화면제공:넷플릭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K-콘텐츠를 살려라’ 1조 투자해 ‘토종 OTT’ 키운다
    • 입력 2023-12-31 21:44:46
    • 수정2023-12-31 22:25:55
    뉴스 9
[앵커]

올해는 넷플릭스 같은 해외 OTT의 독식 구조가 더 공고해진 그런 해였습니다.

이런 가운데 이른바 토종 OTT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임재성 기잡니다.

[리포트]

전 세계에서 1억 명 넘게 시청한 '오징어게임'.

이 드라마의 지적재산권을 가진 넷플릭스는 1조 원 넘는 돈을 벌었지만, 국내 제작사 수익은 제작비 240억이 전부였습니다.

[유지태/배우/지난 2월 : "정당한 보상권을 보장하는 저작권법 개정안을 지지하고, 조속한 통과를 촉구하기 위해..."]

정부는 대책을 토종 온라인동영상서비스, OTT에서 찾기로 했습니다.

티빙, 웨이브 등 흩어진 채널의 자생적 통합 등으로 강력한 토종 OTT를 만들어 해외 시장을 겨냥하겠다는 겁니다.

[유인촌/문화체육관광부 장관 : "우리도 글로벌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처럼 일본, 중국, 동남아 또는 유럽이나 미주 대륙에 충분히 진출할 수 있거든요. 그러니까 그렇게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내년에 만들어야 되겠다."]

초기 동력 마련을 위해 콘텐츠 제작에 5년 동안 1조 원을 투자하겠다고도 했습니다.

예산은 문체부의 전략펀드와 모태펀드가 투입됩니다.

[유인촌/문화체육관광부 장관 : "양질의 영화나 드라마가 있어서 우리 OTT에 실려야 결국 구독자가 늘어나고 해외에 있는 OTT들이 사 가고..."]

숭례문 방화에 이어 경복궁 담장 낙서까지, 재임 기간 발생한 잇단 문화재 훼손.

유 장관은 법만으로 막을 수 없다며, 인식 개선을 강조했습니다.

또, 문화계 블랙리스트 논란에 대해서는 일상적인 정보보고였을 뿐, 의도적 불이익은 없었다고 거듭 밝혔습니다.

KBS 뉴스 임재성입니다.

영상편집:최정연/화면제공:넷플릭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