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 ‘안보리 이사국’된 한국…“북한 인권 논의의 장 만들 것”

입력 2024.01.02 (06:30) 수정 2024.01.02 (07: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새해부터 우리나라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비상임 이사국으로 활동하게 됐습니다.

우리나라가 안보리 이사국이 된 건 10년 만인데요.

북한 인권과 북핵 문제 등 한반도 문제에 대한 주목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김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이사국은 총 15개 나라,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 5개국은 상임으로 고정이고, 나머지 10개 나라는 2년 임기로 돌아가면서 맡는데, 투표로 선출됩니다.

["Republic of Korea, 180!"]

우리나라는 지난해 6월 비상임이사국에 선출됐고, 임기는 2024년 1월 1일 0시부터입니다.

우리나라의 UN 안보리 이사국 진출은 1996년과 2013년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입니다.

6월부터는 의장국도 맡을 예정인데, 사이버 안보 등 강점을 가진 분야에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경철/외교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담당 고위대표 : "글로벌 중추 국가의 비전을 실현하는 데 있어서 아주 요긴한 수단이 되고, 또 우리 외교가 쌓아온 실력을 발휘하고 한층 높일 수 있는 그런 계기가 될 것으로 봅니다."]

정부는 특히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 문제로 우선 순위에서 밀려난 북핵 문제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는 데 외교력을 집중할 방침입니다.

또 그동안은 다뤄지지 않았던 북한 인권 문제를 안보리 테이블에 올리겠단 계획입니다.

[박원곤/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 "회의 소집권을 갖게 되고, 한반도의 특수성과 보편성이 같이 아우러지는 북한 인권 문제라든지 비확산 문제, 핵 문제 같은 것을 다룰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안보리가 국제사회에서 실질적인 구속력을 갖는 유일한 안보기구지만, 최근 무용론도 제기되는 만큼 이를 극복할 방안은 고민해야 합니다.

안보리는 북한의 잇단 도발에도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 탓에 2017년 이후 단 한 건의 추가 제재도 내리지 못했습니다.

[황준국/주유엔대사/11월 27일 : "it is deeply concerning to see the authority of this vast body repeatedly eroded and ridiculed by the DPRK."]

정부는 이번 임기에 한미일이 모두 이사국으로 있는 만큼 3국 협력을 강화하고, 중국, 러시아와도 소통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영상편집:이형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UN ‘안보리 이사국’된 한국…“북한 인권 논의의 장 만들 것”
    • 입력 2024-01-02 06:30:30
    • 수정2024-01-02 07:57:31
    뉴스광장 1부
[앵커]

새해부터 우리나라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비상임 이사국으로 활동하게 됐습니다.

우리나라가 안보리 이사국이 된 건 10년 만인데요.

북한 인권과 북핵 문제 등 한반도 문제에 대한 주목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김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이사국은 총 15개 나라,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 5개국은 상임으로 고정이고, 나머지 10개 나라는 2년 임기로 돌아가면서 맡는데, 투표로 선출됩니다.

["Republic of Korea, 180!"]

우리나라는 지난해 6월 비상임이사국에 선출됐고, 임기는 2024년 1월 1일 0시부터입니다.

우리나라의 UN 안보리 이사국 진출은 1996년과 2013년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입니다.

6월부터는 의장국도 맡을 예정인데, 사이버 안보 등 강점을 가진 분야에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경철/외교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담당 고위대표 : "글로벌 중추 국가의 비전을 실현하는 데 있어서 아주 요긴한 수단이 되고, 또 우리 외교가 쌓아온 실력을 발휘하고 한층 높일 수 있는 그런 계기가 될 것으로 봅니다."]

정부는 특히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 문제로 우선 순위에서 밀려난 북핵 문제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는 데 외교력을 집중할 방침입니다.

또 그동안은 다뤄지지 않았던 북한 인권 문제를 안보리 테이블에 올리겠단 계획입니다.

[박원곤/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 "회의 소집권을 갖게 되고, 한반도의 특수성과 보편성이 같이 아우러지는 북한 인권 문제라든지 비확산 문제, 핵 문제 같은 것을 다룰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안보리가 국제사회에서 실질적인 구속력을 갖는 유일한 안보기구지만, 최근 무용론도 제기되는 만큼 이를 극복할 방안은 고민해야 합니다.

안보리는 북한의 잇단 도발에도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 탓에 2017년 이후 단 한 건의 추가 제재도 내리지 못했습니다.

[황준국/주유엔대사/11월 27일 : "it is deeply concerning to see the authority of this vast body repeatedly eroded and ridiculed by the DPRK."]

정부는 이번 임기에 한미일이 모두 이사국으로 있는 만큼 3국 협력을 강화하고, 중국, 러시아와도 소통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영상편집:이형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