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근택 ‘성희롱성 발언’ 논란…이재명 대표, 윤리 감찰 지시

입력 2024.01.09 (21:24) 수정 2024.01.10 (07: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더불어민주당 민주연구원의 현근택 부원장이 한 지역 정치인의 여성 비서에게 성희롱성 발언을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이에 대해 이재명 대표가 윤리 감찰을 지시했는데, 이 과정에서 이 대표와 정성호 의원이 나눈 문자 메시지가 공개돼 파문이 일고 있습니다.

김성주 기잡니다.

[리포트]

현근택 민주연구원 부원장이 지난달 29일 경기 성남의 한 술집에서 지역 정치인 A 씨의 수행비서인 여성 B씨에게 "너희 부부냐", "같이 사냐" 등의 성희롱성 발언을 했다고 JTBC가 보도했습니다.

B 씨는 JTBC와의 인터뷰에서 "'너네 같이 사냐'에서 뒤통수를 한 대 맞는 느낌이었다"고 밝혔습니다.

현 부원장은 사건 다음 날 B 씨에게 전화 10여 통을 했고, '죄송하다'는 문자도 남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현 부원장은 오늘(9일) 입장문을 내고 A씨가 '그런 표현은 하지 않는 게 좋겠다'고 해서 그대로 따랐다"며 문자를 보낸 경위를 설명했습니다. .

또 "기회가 된다면 직접 만나 사과를 하고 싶다"고 밝혔습니다.

논란이 확산하자 이재명 대표는 윤리 감찰을 지시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이 대표가 친명계 좌장인 정성호 의원과 문자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포착됐습니다.

문자 대화에서 정 의원은 "당직 자격정지" 등을 언급했지만 이 대표는 "너무 심한 것 아니냐"고 답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대해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의 신당 창당을 돕고 있는 민주주의 실천행동 측은 논평을 내고 병상에 있는 이 대표가 정 의원과 사실상 징계 수위를 흥정한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또 당 윤리심판원은 대의기관과 집행기관으로부터 독립된 기구라며 이번 사건을 통해 민주당에 민주적 시스템이 작동하고 있는지 의문이 들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김성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현근택 ‘성희롱성 발언’ 논란…이재명 대표, 윤리 감찰 지시
    • 입력 2024-01-09 21:24:35
    • 수정2024-01-10 07:52:16
    뉴스 9
[앵커]

더불어민주당 민주연구원의 현근택 부원장이 한 지역 정치인의 여성 비서에게 성희롱성 발언을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이에 대해 이재명 대표가 윤리 감찰을 지시했는데, 이 과정에서 이 대표와 정성호 의원이 나눈 문자 메시지가 공개돼 파문이 일고 있습니다.

김성주 기잡니다.

[리포트]

현근택 민주연구원 부원장이 지난달 29일 경기 성남의 한 술집에서 지역 정치인 A 씨의 수행비서인 여성 B씨에게 "너희 부부냐", "같이 사냐" 등의 성희롱성 발언을 했다고 JTBC가 보도했습니다.

B 씨는 JTBC와의 인터뷰에서 "'너네 같이 사냐'에서 뒤통수를 한 대 맞는 느낌이었다"고 밝혔습니다.

현 부원장은 사건 다음 날 B 씨에게 전화 10여 통을 했고, '죄송하다'는 문자도 남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현 부원장은 오늘(9일) 입장문을 내고 A씨가 '그런 표현은 하지 않는 게 좋겠다'고 해서 그대로 따랐다"며 문자를 보낸 경위를 설명했습니다. .

또 "기회가 된다면 직접 만나 사과를 하고 싶다"고 밝혔습니다.

논란이 확산하자 이재명 대표는 윤리 감찰을 지시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이 대표가 친명계 좌장인 정성호 의원과 문자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포착됐습니다.

문자 대화에서 정 의원은 "당직 자격정지" 등을 언급했지만 이 대표는 "너무 심한 것 아니냐"고 답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대해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의 신당 창당을 돕고 있는 민주주의 실천행동 측은 논평을 내고 병상에 있는 이 대표가 정 의원과 사실상 징계 수위를 흥정한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또 당 윤리심판원은 대의기관과 집행기관으로부터 독립된 기구라며 이번 사건을 통해 민주당에 민주적 시스템이 작동하고 있는지 의문이 들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김성주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