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지난해 영업이익 6조 원대…반도체 회복 신호?

입력 2024.01.09 (23:04) 수정 2024.01.09 (23: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삼성전자의 지난해 영업이익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인 6조 원대를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다만 반도체 수요가 되살아나면서 실적은 점차 개선되고 있는데, 올해에도 이 흐름을 이어갈 수 있을지, 김지숙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삼성전자가 발표한 지난해 잠정 영업이익은 6조 5,400억 원.

지난 2022년보다 85%가까이 줄어든 수치입니다.

연간 영업이익이 10조 원대를 밑돈 건 글로벌 금융위기가 있었던 2008년 이후 15년 만입니다.

삼성전자의 실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건 반도체 실적 악화입니다.

반도체 부문은 세계 경기 둔화로 인해 지난해 3분기까지 누적 12조 원대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다만 지난해 4분기에는 실적이 회복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4분기만 놓고 봤을 때 영업이익은 2조 8천억 원.

직전 3분기보다 15% 넘게 늘었습니다.

지난해 상반기부터 메모리 반도체의 생산량을 줄여 가격 상승을 유도하면서, 쌓여있던 재고를 줄인 효과가 나타났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승우/유진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 : "(삼성전자는 다른 곳보다) 재고 레벨(수준)이 훨씬 높은 수준이었구요. 뒤늦게 감산을 하면서 재고를 좀 줄였습니다. 하반기 들면서 가격 상황을 반전시키는 계기가 됐고요."]

시장의 가장 큰 관심은 지난해 하반기의 회복세가 올해로 이어질지입니다.

[김양팽/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 : "PC나 스마트폰이 (수요에서) 커다란 반전을 보일 기미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상반기보다는 하반기에 실적이 더 개선될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 반도체 수요는 스마트폰 등 IT기기 소비에 달려있는데, 세계 경기 상황에 따라 우리 반도체 산업의 성과가 결정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상편집:차정남/그래픽: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삼성전자 지난해 영업이익 6조 원대…반도체 회복 신호?
    • 입력 2024-01-09 23:04:22
    • 수정2024-01-09 23:12:02
    뉴스라인 W
[앵커]

삼성전자의 지난해 영업이익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인 6조 원대를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다만 반도체 수요가 되살아나면서 실적은 점차 개선되고 있는데, 올해에도 이 흐름을 이어갈 수 있을지, 김지숙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삼성전자가 발표한 지난해 잠정 영업이익은 6조 5,400억 원.

지난 2022년보다 85%가까이 줄어든 수치입니다.

연간 영업이익이 10조 원대를 밑돈 건 글로벌 금융위기가 있었던 2008년 이후 15년 만입니다.

삼성전자의 실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건 반도체 실적 악화입니다.

반도체 부문은 세계 경기 둔화로 인해 지난해 3분기까지 누적 12조 원대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다만 지난해 4분기에는 실적이 회복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4분기만 놓고 봤을 때 영업이익은 2조 8천억 원.

직전 3분기보다 15% 넘게 늘었습니다.

지난해 상반기부터 메모리 반도체의 생산량을 줄여 가격 상승을 유도하면서, 쌓여있던 재고를 줄인 효과가 나타났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승우/유진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 : "(삼성전자는 다른 곳보다) 재고 레벨(수준)이 훨씬 높은 수준이었구요. 뒤늦게 감산을 하면서 재고를 좀 줄였습니다. 하반기 들면서 가격 상황을 반전시키는 계기가 됐고요."]

시장의 가장 큰 관심은 지난해 하반기의 회복세가 올해로 이어질지입니다.

[김양팽/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 : "PC나 스마트폰이 (수요에서) 커다란 반전을 보일 기미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상반기보다는 하반기에 실적이 더 개선될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 반도체 수요는 스마트폰 등 IT기기 소비에 달려있는데, 세계 경기 상황에 따라 우리 반도체 산업의 성과가 결정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상편집:차정남/그래픽:박미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