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정부 행정망 고장 나도 ‘즉시 복구’ 불가능…왜? [탐사K]

입력 2024.01.13 (21:07) 수정 2024.01.14 (08: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아주 불편이 컸습니다.

복구하는데 너무 오래걸렸죠.

두달 전 정부 행정망에 발생한 장애.

원인은 인증 시스템의 오류였습니다.

이 시스템은 즉시 복구가 불가능한 것으로 KBS 취재 결과 파악됐습니다.

탐사보도부 차정인 기자의 단독 보돕니다.

[리포트]

지난해 말 정부는 행정망 장애 발생 이유를 이렇게 발표했습니다.

[서보람/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실장 : "공무원들이 사용하기 위한 인증시스템에 오류가 있다는 것을 찾아냈습니다."]

'GPKI'라 불리는 이 인증시스템은 공무원들이 행정망에 접속하는데 필수적인 '행정전자서명' 개념으로, 장애가 발생하면 사실상 모든 민원 업무가 마비됩니다.

당시 정부는 장애 원인을 제때 찾지 못해 복구까지 24시간 이상 걸렸습니다.

일각에선 긴급 상황에서 '재해복구시스템'을 왜 작동시키지 않았는지 의문을 제기했지만 정부는 명확한 답을 내놓지 않았습니다.

흔히 'DR'이라 불리는 재해복구시스템은 각종 재난 재해로 데이터 센터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다른 곳에 있는 센터에서 복구하는 '이원화' 시스템입니다.

KBS 취재 결과 이런 이원화 시스템은 애초부터 갖춰지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예산이 많이 든다는 게 가장 큰 이유였습니다.

현재 행정안전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과 광주 센터의 전산 업무는 모두 1,430개.

이 가운데 중요한 100개를 재해복구대상으로 정하고 네 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만일의 상황에 대비한다면서도 중요 백업 데이터들을 '즉시 복구'가 불가능한 서버나 단순 저장장치인 스토리지에 저장해놨다는 점입니다.

특히 이번에 장애를 일으킨 'GPKI 인증시스템'도 마찬가지입니다.

장애가 발생할 경우 자동 복구가 되지 않아서 복원하려면 수작업을 거쳐야 해 복구까지 오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는 얘기입니다.

[김승주/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 "(GPKI 같은 경우에는) 데이터 백업 방식이 아니라 적어도 '웜 사이트'(서버 백업) 정도는 되게끔 했어야 하는데 후속조치가 이뤄지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행정망 재해복구시스템의 전반을 들여다보고 있다면서 조만간 대책을 마련해 발표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차정인입니다.

촬영기자:이재섭/영상편집:이상미/그래픽:최창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독] 정부 행정망 고장 나도 ‘즉시 복구’ 불가능…왜? [탐사K]
    • 입력 2024-01-13 21:07:42
    • 수정2024-01-14 08:04:57
    뉴스 9
[앵커]

아주 불편이 컸습니다.

복구하는데 너무 오래걸렸죠.

두달 전 정부 행정망에 발생한 장애.

원인은 인증 시스템의 오류였습니다.

이 시스템은 즉시 복구가 불가능한 것으로 KBS 취재 결과 파악됐습니다.

탐사보도부 차정인 기자의 단독 보돕니다.

[리포트]

지난해 말 정부는 행정망 장애 발생 이유를 이렇게 발표했습니다.

[서보람/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실장 : "공무원들이 사용하기 위한 인증시스템에 오류가 있다는 것을 찾아냈습니다."]

'GPKI'라 불리는 이 인증시스템은 공무원들이 행정망에 접속하는데 필수적인 '행정전자서명' 개념으로, 장애가 발생하면 사실상 모든 민원 업무가 마비됩니다.

당시 정부는 장애 원인을 제때 찾지 못해 복구까지 24시간 이상 걸렸습니다.

일각에선 긴급 상황에서 '재해복구시스템'을 왜 작동시키지 않았는지 의문을 제기했지만 정부는 명확한 답을 내놓지 않았습니다.

흔히 'DR'이라 불리는 재해복구시스템은 각종 재난 재해로 데이터 센터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다른 곳에 있는 센터에서 복구하는 '이원화' 시스템입니다.

KBS 취재 결과 이런 이원화 시스템은 애초부터 갖춰지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예산이 많이 든다는 게 가장 큰 이유였습니다.

현재 행정안전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과 광주 센터의 전산 업무는 모두 1,430개.

이 가운데 중요한 100개를 재해복구대상으로 정하고 네 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만일의 상황에 대비한다면서도 중요 백업 데이터들을 '즉시 복구'가 불가능한 서버나 단순 저장장치인 스토리지에 저장해놨다는 점입니다.

특히 이번에 장애를 일으킨 'GPKI 인증시스템'도 마찬가지입니다.

장애가 발생할 경우 자동 복구가 되지 않아서 복원하려면 수작업을 거쳐야 해 복구까지 오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는 얘기입니다.

[김승주/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 "(GPKI 같은 경우에는) 데이터 백업 방식이 아니라 적어도 '웜 사이트'(서버 백업) 정도는 되게끔 했어야 하는데 후속조치가 이뤄지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행정망 재해복구시스템의 전반을 들여다보고 있다면서 조만간 대책을 마련해 발표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차정인입니다.

촬영기자:이재섭/영상편집:이상미/그래픽:최창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