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완 총통에 ‘독립’ 라이칭더…“외부 개입 막았다”

입력 2024.01.14 (21:02) 수정 2024.01.14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휴일 아홉 시 뉴스 문을 열겠습니다.

타이완의 선택은 집권 여당 라이칭더 후보였습니다.

타이완의 독립을 지지하는 쪽입니다.

당선 소식은 어제(13일) 이 시간에 자세히 전해드렸죠.

오늘(14일)은 한 발 더 들어가 보겠습니다.

국제정세, 그리고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까지 두루 보겠습니다.

먼저 타이완 현지 연결합니다.

김민정 특파원, 먼저 이번 선거 결과 현지에선 어떤 해석이 나오나요?

[기자]

중국의 라이칭더 당선인에 대한 견제가 역풍을 몰고 왔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선거 전 중국이 독립은 곧 전쟁이라며 군사적 압박을 계속한 것이 타이완 유권자들을 자극했다는 겁니다.

[린위팅/타이베이 시민 : "외국인들이 잘 모를 때는 '저는 타이완에서 왔고 중국이랑 다른 곳이에요'라고 설명합니다. 타이완인으로서의 정체성입니다."]

친중파 후보가 야권의 연합정부론을 제기했지만 중도파 후보에게 향한 2030세대의 표를 끌어오기엔 역부족이었습니다.

[앵커]

우리나라에도 영향이 적지 않을 거 같은데요.

어떤가요?

[기자]

앞으로 라이 당선인이 양안관계와 미국과의 관계를 어떻게 조율해 나가는지를 주목해야 합니다.

라이 당선인은 선거 승리 직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중국을 외부세력으로 지칭하며 독립 성향을 분명히 드러냈습니다.

[라이칭더/타이완 총통 당선인 : "타이완인들은 행동을 통해 외부 세력의 개입을 성공적으로 막아 냈습니다. 자신의 총통을 스스로 선출해야 한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라이 당선인도 현상 유지를 강조하기 때문에 급진적 변화를 도모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다만 국방력을 빠르게 키울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 반도체 영역에서 미국과 타이완의 협력이 강화된다면 한중 관계는 물론 우리 반도체 산업에도 연쇄적인 영향이 예상됩니다.

지금까지 타이베이에서 KBS 뉴스 김민정입니다.

촬영기자:이창준/영상편집:김인수/자료조사:이수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타이완 총통에 ‘독립’ 라이칭더…“외부 개입 막았다”
    • 입력 2024-01-14 21:02:14
    • 수정2024-01-14 22:04:11
    뉴스 9
[앵커]

휴일 아홉 시 뉴스 문을 열겠습니다.

타이완의 선택은 집권 여당 라이칭더 후보였습니다.

타이완의 독립을 지지하는 쪽입니다.

당선 소식은 어제(13일) 이 시간에 자세히 전해드렸죠.

오늘(14일)은 한 발 더 들어가 보겠습니다.

국제정세, 그리고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까지 두루 보겠습니다.

먼저 타이완 현지 연결합니다.

김민정 특파원, 먼저 이번 선거 결과 현지에선 어떤 해석이 나오나요?

[기자]

중국의 라이칭더 당선인에 대한 견제가 역풍을 몰고 왔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선거 전 중국이 독립은 곧 전쟁이라며 군사적 압박을 계속한 것이 타이완 유권자들을 자극했다는 겁니다.

[린위팅/타이베이 시민 : "외국인들이 잘 모를 때는 '저는 타이완에서 왔고 중국이랑 다른 곳이에요'라고 설명합니다. 타이완인으로서의 정체성입니다."]

친중파 후보가 야권의 연합정부론을 제기했지만 중도파 후보에게 향한 2030세대의 표를 끌어오기엔 역부족이었습니다.

[앵커]

우리나라에도 영향이 적지 않을 거 같은데요.

어떤가요?

[기자]

앞으로 라이 당선인이 양안관계와 미국과의 관계를 어떻게 조율해 나가는지를 주목해야 합니다.

라이 당선인은 선거 승리 직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중국을 외부세력으로 지칭하며 독립 성향을 분명히 드러냈습니다.

[라이칭더/타이완 총통 당선인 : "타이완인들은 행동을 통해 외부 세력의 개입을 성공적으로 막아 냈습니다. 자신의 총통을 스스로 선출해야 한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라이 당선인도 현상 유지를 강조하기 때문에 급진적 변화를 도모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다만 국방력을 빠르게 키울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 반도체 영역에서 미국과 타이완의 협력이 강화된다면 한중 관계는 물론 우리 반도체 산업에도 연쇄적인 영향이 예상됩니다.

지금까지 타이베이에서 KBS 뉴스 김민정입니다.

촬영기자:이창준/영상편집:김인수/자료조사:이수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