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서 ‘가격 인하’ 나선 애플·테슬라…몸 낮춘 이유는?

입력 2024.01.22 (06:16) 수정 2024.01.22 (08: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웬만해선 할인을 해주지 않는 애플과 테슬라가 중국에서 일부 품목 할인에 들어갔습니다.

세계 최대 시장 중국에서 점유율이 낮아지자 고육지책으로 '할인 카드'를 들고 나왔는데요.

다른 나라 소비자들을 차별하는 게 아니냐는 논란도 일고 있습니다.

베이징 김효신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베이징 도심 애플 매장이 이른 아침부터 손님들로 북적입니다.

넉 달 전에 출시한 아이폰15 모델을 500위안, 우리 돈 9만 2천 원까지 할인행사를 진행했습니다.

[애플 매장 직원 : "아이폰 프로 시리즈는 500위안 저렴합니다. 매장에 와서 직접 사면 싸게 살 수 있습니다."]

중국 온라인 쇼핑몰 티몰 애플스토어에서는 같은 모델을 18만 5천 원까지 대폭 할인해줍니다.

아이폰15 공식 채널 가격이 5천 위안, 우리 돈으로 약 93만 원 이하로 떨어진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쇼핑몰 측은 밝혔습니다.

[황홍지에/아이폰 소비자 : "할인은 전혀 몰랐어요. 저는 (아이폰15) 첫 출시 한 달 만에 샀어요. 경기 침체 때문에 대부분 상품 가격이 내려갈 거라고 생각합니다."]

테슬라도 중국에서 인기 차종인 모델3와 모델Y의 가격을 할인해주고 있습니다.

모델3의 경우 최대 우리 돈 300만 원까지 깎아줍니다.

내로라하는 다국적 기업들이 가격 할인에 나선 건 점유율 하락 때문입니다.

중국에서 애플폰 판매량은 꾸준히 내리막길을 걸으면서 지난해 3분기 점유율이 중국 화웨이폰과 비슷해졌습니다.

테슬라도 지난해 중국 시장에서 비야디(BYD)에 밀려 7.8% 점유율에 그쳤습니다.

[제임스 애트우드/오토카 잡지 편집장 대행 : "비야디가 테슬라를 한 분기 이상 앞질렀습니다. 이 사실이 실제로 보여주는 것은 현재 자동차 산업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라고 생각합니다."]

할인 혜택이 중국에 집중되면서 국내 소비자들 사이에선 다국적 기업들이 왜 차별하느냐는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김효신입니다.

촬영기자:이창준/영상편집:이웅/그래픽:임홍근/자료조사:이수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서 ‘가격 인하’ 나선 애플·테슬라…몸 낮춘 이유는?
    • 입력 2024-01-22 06:16:33
    • 수정2024-01-22 08:00:15
    뉴스광장 1부
[앵커]

웬만해선 할인을 해주지 않는 애플과 테슬라가 중국에서 일부 품목 할인에 들어갔습니다.

세계 최대 시장 중국에서 점유율이 낮아지자 고육지책으로 '할인 카드'를 들고 나왔는데요.

다른 나라 소비자들을 차별하는 게 아니냐는 논란도 일고 있습니다.

베이징 김효신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베이징 도심 애플 매장이 이른 아침부터 손님들로 북적입니다.

넉 달 전에 출시한 아이폰15 모델을 500위안, 우리 돈 9만 2천 원까지 할인행사를 진행했습니다.

[애플 매장 직원 : "아이폰 프로 시리즈는 500위안 저렴합니다. 매장에 와서 직접 사면 싸게 살 수 있습니다."]

중국 온라인 쇼핑몰 티몰 애플스토어에서는 같은 모델을 18만 5천 원까지 대폭 할인해줍니다.

아이폰15 공식 채널 가격이 5천 위안, 우리 돈으로 약 93만 원 이하로 떨어진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쇼핑몰 측은 밝혔습니다.

[황홍지에/아이폰 소비자 : "할인은 전혀 몰랐어요. 저는 (아이폰15) 첫 출시 한 달 만에 샀어요. 경기 침체 때문에 대부분 상품 가격이 내려갈 거라고 생각합니다."]

테슬라도 중국에서 인기 차종인 모델3와 모델Y의 가격을 할인해주고 있습니다.

모델3의 경우 최대 우리 돈 300만 원까지 깎아줍니다.

내로라하는 다국적 기업들이 가격 할인에 나선 건 점유율 하락 때문입니다.

중국에서 애플폰 판매량은 꾸준히 내리막길을 걸으면서 지난해 3분기 점유율이 중국 화웨이폰과 비슷해졌습니다.

테슬라도 지난해 중국 시장에서 비야디(BYD)에 밀려 7.8% 점유율에 그쳤습니다.

[제임스 애트우드/오토카 잡지 편집장 대행 : "비야디가 테슬라를 한 분기 이상 앞질렀습니다. 이 사실이 실제로 보여주는 것은 현재 자동차 산업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라고 생각합니다."]

할인 혜택이 중국에 집중되면서 국내 소비자들 사이에선 다국적 기업들이 왜 차별하느냐는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김효신입니다.

촬영기자:이창준/영상편집:이웅/그래픽:임홍근/자료조사:이수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