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만 ‘1월 악몽’…주요 기업 실적·불안한 대외환경 영향

입력 2024.01.24 (07:25) 수정 2024.01.24 (07: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과 일본의 증시가 연초부터 강세를 보이는 반면 우리 주식 시장은 유독 부진한 모습입니다.

연초부터 하락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이런 흐름이 단기간에 추세적으로 반전되기는 어려울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

어떤 이유 때문인지 손서영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기관이 매수세로 돌아서며 소폭 회복했다지만, 코스피는 여전히 2,500선 아래 갇혀 있습니다.

3,300선을 넘었던 2021년 6월 역대 최고점보다 25% 낮은 수준이고 연초 고점과 비교해도 7% 하락했습니다.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는 해외 상황과는 동떨어진 흐름입니다.

먼저 반도체와 이차전지 등 주식시장을 주도하는 기업들이 힘을 못 쓰고 있다는 점이 원인으로 꼽힙니다.

대장주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4분기에도 깊은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반도체 업황이 나아지고 있다지만 삼성전자가 글로벌 경쟁사보다 전망이 밝은지 시장이 확신하지 못하는 분위기입니다.

[김형렬/교보증권 리서치센터장 : "타이완이라든지 일본 기업들한테 여기저기서 치이고 있어요. 제조업에 대한 의존도가 크다 보니 영향을 더 쉽게 받는 부분으로 볼 수 있고요."]

우리 경제가 중국에 많이 기대고 있다는 점도 주가 하락의 원인입니다.

대외교역국 가운데 중국의 실물 경제가 지난 1년간 코스피 수익률 변동에 가장 큰 충격을 가했다는 분석도 나왔는데, 실제 중국 비중이 높은 철강과 화학 업종 등의 주가 낙폭이 컸습니다.

[박상현/하이투자증권 전문위원 : "중국 경기의 정상화 자체가 상당히 지연되고 있다는 것이 국내 제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 악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대외 여건의 악화도 주가 상승에 부정적입니다.

최근 북한과 중동의 정세가 불안하고 중국-타이완 등에서도 지정학적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는 점은 외국인 투자에 마이너스 요인입니다.

금리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걷히는 3월 이후는 돼야 코스피가 추세적으로 반등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

촬영기자:문아미/영상편집:최찬종/그래픽:여현수 서수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코스피만 ‘1월 악몽’…주요 기업 실적·불안한 대외환경 영향
    • 입력 2024-01-24 07:25:38
    • 수정2024-01-24 07:29:42
    뉴스광장
[앵커]

미국과 일본의 증시가 연초부터 강세를 보이는 반면 우리 주식 시장은 유독 부진한 모습입니다.

연초부터 하락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이런 흐름이 단기간에 추세적으로 반전되기는 어려울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

어떤 이유 때문인지 손서영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기관이 매수세로 돌아서며 소폭 회복했다지만, 코스피는 여전히 2,500선 아래 갇혀 있습니다.

3,300선을 넘었던 2021년 6월 역대 최고점보다 25% 낮은 수준이고 연초 고점과 비교해도 7% 하락했습니다.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는 해외 상황과는 동떨어진 흐름입니다.

먼저 반도체와 이차전지 등 주식시장을 주도하는 기업들이 힘을 못 쓰고 있다는 점이 원인으로 꼽힙니다.

대장주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4분기에도 깊은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반도체 업황이 나아지고 있다지만 삼성전자가 글로벌 경쟁사보다 전망이 밝은지 시장이 확신하지 못하는 분위기입니다.

[김형렬/교보증권 리서치센터장 : "타이완이라든지 일본 기업들한테 여기저기서 치이고 있어요. 제조업에 대한 의존도가 크다 보니 영향을 더 쉽게 받는 부분으로 볼 수 있고요."]

우리 경제가 중국에 많이 기대고 있다는 점도 주가 하락의 원인입니다.

대외교역국 가운데 중국의 실물 경제가 지난 1년간 코스피 수익률 변동에 가장 큰 충격을 가했다는 분석도 나왔는데, 실제 중국 비중이 높은 철강과 화학 업종 등의 주가 낙폭이 컸습니다.

[박상현/하이투자증권 전문위원 : "중국 경기의 정상화 자체가 상당히 지연되고 있다는 것이 국내 제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 악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대외 여건의 악화도 주가 상승에 부정적입니다.

최근 북한과 중동의 정세가 불안하고 중국-타이완 등에서도 지정학적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는 점은 외국인 투자에 마이너스 요인입니다.

금리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걷히는 3월 이후는 돼야 코스피가 추세적으로 반등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

촬영기자:문아미/영상편집:최찬종/그래픽:여현수 서수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