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면 거래 늘자 폐기 화폐도 증가…쌓으면 한라산 70배

입력 2024.01.24 (22:03) 수정 2024.01.24 (22: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심하게 손상돼서 버리는 화폐가 크게 늘었습니다.

지난해 폐기된 물량을 쌓으면, 무려 한라산 높이의 70배나 된다고 하는데요.

왜 이렇게 손상 화폐가 늘어났을까요?

황경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불에 타고, 잔뜩 구겨졌습니다.

얼마짜리였는지 알기 어려울 만큼 크게 훼손되거나 오염된 화폐들입니다.

이렇게 심하게 손상돼 폐기한 화폐가 지난해만 4억 8천 3백여 만 장, 액수로는 약 3조 8천8백억 원어치입니다.

폐기 물량을 낱장으로 쌓으면 한라산의 70배 이상 길게 이으면 경부고속도로를 76회 왕복한 거리가 됩니다.

전년도보다 17%나 증가했습니다.

이 같은 증가세의 이유, 먼저 코로나 19 대유행이 끝나면서 대면 거래가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5만 원 권 지폐의 유통 수명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5만 원 권은 2009년 6월 처음 도입됐는데, 유통 수명이 15년 1개월로 처음 풀린 물량이 수명을 다할 시기가 돌아왔습니다.

지난해 5만원 권 환수율은 2018년 이후 역대 최고치인 67%를 기록했습니다.

[김병조/팀장/한국은행 발권기획국 : "(5만 원 권) 초기에 발행된 것들은 14년 이렇게 된 거죠. 유통 수명을 보통 저희가 15년, 16년 정도로 보고 있는데..."]

손상 화폐는 남은 면적이 4분의 3 이상이면 전액을, 5분의 2 이상에서 4분의 3 미만이면 반액을 새 화폐로 바꿀 수 있습니다.

이렇게 헌 돈을 버리고, 새 돈을 찍는 데 드는 비용은 매년 천2백억 원 수준입니다.

KBS 뉴스 황경주입니다.

촬영기자:방세준/영상편집:최찬종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면 거래 늘자 폐기 화폐도 증가…쌓으면 한라산 70배
    • 입력 2024-01-24 22:03:56
    • 수정2024-01-24 22:34:40
    뉴스 9
[앵커]

최근 심하게 손상돼서 버리는 화폐가 크게 늘었습니다.

지난해 폐기된 물량을 쌓으면, 무려 한라산 높이의 70배나 된다고 하는데요.

왜 이렇게 손상 화폐가 늘어났을까요?

황경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불에 타고, 잔뜩 구겨졌습니다.

얼마짜리였는지 알기 어려울 만큼 크게 훼손되거나 오염된 화폐들입니다.

이렇게 심하게 손상돼 폐기한 화폐가 지난해만 4억 8천 3백여 만 장, 액수로는 약 3조 8천8백억 원어치입니다.

폐기 물량을 낱장으로 쌓으면 한라산의 70배 이상 길게 이으면 경부고속도로를 76회 왕복한 거리가 됩니다.

전년도보다 17%나 증가했습니다.

이 같은 증가세의 이유, 먼저 코로나 19 대유행이 끝나면서 대면 거래가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5만 원 권 지폐의 유통 수명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5만 원 권은 2009년 6월 처음 도입됐는데, 유통 수명이 15년 1개월로 처음 풀린 물량이 수명을 다할 시기가 돌아왔습니다.

지난해 5만원 권 환수율은 2018년 이후 역대 최고치인 67%를 기록했습니다.

[김병조/팀장/한국은행 발권기획국 : "(5만 원 권) 초기에 발행된 것들은 14년 이렇게 된 거죠. 유통 수명을 보통 저희가 15년, 16년 정도로 보고 있는데..."]

손상 화폐는 남은 면적이 4분의 3 이상이면 전액을, 5분의 2 이상에서 4분의 3 미만이면 반액을 새 화폐로 바꿀 수 있습니다.

이렇게 헌 돈을 버리고, 새 돈을 찍는 데 드는 비용은 매년 천2백억 원 수준입니다.

KBS 뉴스 황경주입니다.

촬영기자:방세준/영상편집:최찬종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