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제성장률 1.4%…코로나19 이후 최저

입력 2024.01.25 (08:01) 수정 2024.01.25 (17: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우리 경제가 1.4% 성장한 것으로 집계돼 코로나 19 대유행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25일) 발표한 '2023년 4/4분기 및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을 보면, 2023년 실질 국내총생산은 전년보다 1.4% 상승했습니다.

연간 경제성장률은 코로나 19 대유행이 시작된 2020년 -0.7%로 역성장했다가, 2021년 4.3%, 2022년 2.6%를 기록했는데 지난해 다시 1%대로 떨어졌습니다.

내수 부진과 함께 수출 회복세가 더뎌진 점이 지난해 경제성장률의 발목을 잡았습니다.

지난해 민간소비와 정부소비 증가는 각각 1.8%, 1.3%를 기록해, 2022년의 4.1%, 4%와 비교해 증가폭이 크게 줄었습니다.

수출 증가폭 역시 2022년(3.4%)보다 줄어 2.8% 성장했습니다.

다만 건설투자와 설비투자가 2022년 감소에서 지난해 각각 1.4%, 0.5%로 성장 전환했습니다.

경제 활동별로 보면 지난해 연간 제조업이 1% 성장했고 서비스업은 2.0%, 건설업은 2.8%로 성장률이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실질 국민총소득(GNI) 증가율은 1.4%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은 "고물가와 고금리, IT 경기 회복 지연 등의 영향으로 민간 소비와 수출의 증가세가 둔화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해 4분기만 보면, 우리 경제는 3분기 대비 0.6%, 전년동기대비 2.2% 성장했습니다.

먼저 IT 경기 반등에 힘입어 반도체 등을 중심으로 수출이 2.6% 늘었고, 수입은 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1% 증가했습니다.

정부소비는 물건비와 건강보험급여 같은 사회보장현물수혜를 중심으로 0.4% 늘었습니다.

민간소비는 재화소비가 줄었지만, 거주자 국외소비지출 등이 늘면서 0.2% 증가했습니다.

반면 건설투자는 건물건설, 토목건설이 모두 줄어 4.2% 감소했습니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4분기 내수는 예상보다 부진했지만, 수출은 예상보다 양호한 모습을 나타냈다"며, "국내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작곡 물량 감소 영향이 누적되는 등 민간 소비와 건설 투자가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고 설명했습니다.

경제 활동별로 보면 제조업은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제조업 등을 중심으로 1.1% 증가했습니다.

전기·가스 및 수도사업은 전기업 등을 중심으로 11.1% 크게 늘었습니다.

서비스업은 금융 및 보험업 등이 감소했지만, 사업서비스업, 의료·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등이 늘어 0.6% 증가했습니다.

반면 농산물 생산량 감소 등으로 농림어업은 6.1% 줄었고, 건설업도 건물건설, 토목건설이 모두 줄어 3.6%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4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3분기보다 0.4% 늘었습니다.

올해 우리 경제는 지난해보다 개선될 것으로 보이지만, 저성장 기조를 이어갈 전망입니다.

신승철 한국은행 경제통계부장은 "IT 경기 회복이 연중 계속돼 올해 우리 경제는 2% 초반대 성장 흐름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잠재성장률이 앞으로 0%대까지 떨어질 것이란 전망도 많이 나오는 상황"이라며, "저출산·고령화와 같은 국내 인구 변화 문제, 인도·중국 등과의 경쟁, 전 세계적 공급망 재편 등 잠재 성장률 하락에 영향을 주는 문제들을 잘 해결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난해 경제성장률 1.4%…코로나19 이후 최저
    • 입력 2024-01-25 08:01:05
    • 수정2024-01-25 17:56:24
    경제
지난해 우리 경제가 1.4% 성장한 것으로 집계돼 코로나 19 대유행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25일) 발표한 '2023년 4/4분기 및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을 보면, 2023년 실질 국내총생산은 전년보다 1.4% 상승했습니다.

연간 경제성장률은 코로나 19 대유행이 시작된 2020년 -0.7%로 역성장했다가, 2021년 4.3%, 2022년 2.6%를 기록했는데 지난해 다시 1%대로 떨어졌습니다.

내수 부진과 함께 수출 회복세가 더뎌진 점이 지난해 경제성장률의 발목을 잡았습니다.

지난해 민간소비와 정부소비 증가는 각각 1.8%, 1.3%를 기록해, 2022년의 4.1%, 4%와 비교해 증가폭이 크게 줄었습니다.

수출 증가폭 역시 2022년(3.4%)보다 줄어 2.8% 성장했습니다.

다만 건설투자와 설비투자가 2022년 감소에서 지난해 각각 1.4%, 0.5%로 성장 전환했습니다.

경제 활동별로 보면 지난해 연간 제조업이 1% 성장했고 서비스업은 2.0%, 건설업은 2.8%로 성장률이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실질 국민총소득(GNI) 증가율은 1.4%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은 "고물가와 고금리, IT 경기 회복 지연 등의 영향으로 민간 소비와 수출의 증가세가 둔화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해 4분기만 보면, 우리 경제는 3분기 대비 0.6%, 전년동기대비 2.2% 성장했습니다.

먼저 IT 경기 반등에 힘입어 반도체 등을 중심으로 수출이 2.6% 늘었고, 수입은 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1% 증가했습니다.

정부소비는 물건비와 건강보험급여 같은 사회보장현물수혜를 중심으로 0.4% 늘었습니다.

민간소비는 재화소비가 줄었지만, 거주자 국외소비지출 등이 늘면서 0.2% 증가했습니다.

반면 건설투자는 건물건설, 토목건설이 모두 줄어 4.2% 감소했습니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4분기 내수는 예상보다 부진했지만, 수출은 예상보다 양호한 모습을 나타냈다"며, "국내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작곡 물량 감소 영향이 누적되는 등 민간 소비와 건설 투자가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고 설명했습니다.

경제 활동별로 보면 제조업은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제조업 등을 중심으로 1.1% 증가했습니다.

전기·가스 및 수도사업은 전기업 등을 중심으로 11.1% 크게 늘었습니다.

서비스업은 금융 및 보험업 등이 감소했지만, 사업서비스업, 의료·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등이 늘어 0.6% 증가했습니다.

반면 농산물 생산량 감소 등으로 농림어업은 6.1% 줄었고, 건설업도 건물건설, 토목건설이 모두 줄어 3.6%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4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3분기보다 0.4% 늘었습니다.

올해 우리 경제는 지난해보다 개선될 것으로 보이지만, 저성장 기조를 이어갈 전망입니다.

신승철 한국은행 경제통계부장은 "IT 경기 회복이 연중 계속돼 올해 우리 경제는 2% 초반대 성장 흐름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잠재성장률이 앞으로 0%대까지 떨어질 것이란 전망도 많이 나오는 상황"이라며, "저출산·고령화와 같은 국내 인구 변화 문제, 인도·중국 등과의 경쟁, 전 세계적 공급망 재편 등 잠재 성장률 하락에 영향을 주는 문제들을 잘 해결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